$\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험공식 및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한 붕괴 저수지(습지) 비퇴사량 추정
Estimation of sediment deposition rate in collapsed reservoirs(wetlands) using empirical formulas and multiple regression models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3 no.4, 2021년, pp.287 - 295  

김동현 (인하대학교 스마트시티공학과) ,  이하늘 (인하대학교 스마트시티공학과) ,  배영혜 (인하대학교 스마트시티공학과) ,  주홍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본부) ,  김덕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시험인증본부) ,  김형수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댐 저수지(dam reservoir wetland)나 농업용 저수지 습지(irrigation reservoir wetland) 같은 시설물은 준공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침식(erosion), 유사이송(sediment transport), 그리고 유사가 침전(sediment deposition)되어 퇴적이 발생하게 된다. 장기간 유사가 퇴적되면 홍수 및 가뭄 조절 기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퇴적 문제는 저수지 습지의 유지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퇴사에 관한 연구는 가용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주로 경험공식에 의해 추정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측자료 및 경험공식과 더불어 다중회귀모형을 개발하여 비퇴사량(sediment deposition rate)을 산정하고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저수지 습지의 퇴사(reservoir wetland sedimentation) 및 노후화로 인해 2020년 긴 장마에 따른 홍수피해가 발생한 64개소의 저수지 습지에 적용하여 잠재적인 붕괴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저수지는 실측 정보가 있는 한국의 경상남도 밀양시(Miryang city, Gyeongsangnam province)에 위치한 가곡(GaGog) 저수지 등 10개소를 선정하였다. 저수지 유효저수용량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비퇴사량을 산정하였고 기존에 개발된 총 4가지 경험공식과 물리적/기후적 특성 등을 고려한 다중회귀모형을 개발하여 비퇴사량을 산정하였다. 비퇴사량 산정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다중회귀모형의 오차가 0.21(m3km2/yr)부터 2.13(m3km2/yr)으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다중회귀모형에 의해 추정한 비퇴사량을 토대로 저수지 습지의 유효저수용량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였는데 유효저수용량이 0.21(%)부터 16.56(%)까지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월류 피해가 발생한 저수지 습지의 비퇴사량은 파이핑 피해 등이 발생한 저수지의 비퇴사량 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즉, 저수지 바닥에 비퇴사량이 축적되면 허용할 수 있는 유효저수용량이 부족해지고, 저수지의 홍수 및 가뭄 조절 능력이 감소되어 호우로 인한 저수지 붕괴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facilities such as dam reservoir wetlands and agricultural irrigation reservoir wetlands are built, sedimentation occurs over time through erosion, sedimentation transport, and sediment deposition. Sedimentation issues are very important for the maintenance of reservoir wetlands because long-term...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밀 기기로 실측한 저수지 유효저수용량 자료를 활용하여 비퇴사량을 추정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존에 개발된 비퇴사량을 산정하는 경험공식을 조사 및 분석하고 경험공식으로 산정된 비퇴사량 값과 실측에 의한 비퇴사량 값의 오차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물리적/기후적 특성 및 지형적인 특성 등을 고려한 다중회귀모형을 개발하여 비퇴사량을 산정하고 실측 퇴사량, 경험공식으로 산정한 퇴사량 및 다중회귀모형으로 산정한 퇴사량의 오차를 비교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밀 기기로 실측한 저수지 유효저수용량 자료를 활용하여 비퇴사량을 추정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존에 개발된 비퇴사량을 산정하는 경험공식을 조사 및 분석하고 경험공식으로 산정된 비퇴사량 값과 실측에 의한 비퇴사량 값의 오차를 파악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로 인해 붕괴한 저수지의 잠재적인 붕괴 원인을 파악고자, 2020년 피해가 발생한 저수지를 대상으로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비퇴사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다음 Eq.
  • 그리고 기존에 개발된 비퇴사량을 산정하는 경험공식을 조사 및 분석하고 경험공식으로 산정된 비퇴사량 값과 실측에 의한 비퇴사량 값의 오차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물리적/기후적 특성 및 지형적인 특성 등을 고려한 다중회귀모형을 개발하여 비퇴사량을 산정하고 실측 퇴사량, 경험공식으로 산정한 퇴사량 및 다중회귀모형으로 산정한 퇴사량의 오차를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활용하여 2020년 피해가 발생한 64개소의 저수지에 적용하여 잠재적인 붕괴 원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수지 바닥에 비퇴사량이 쌓여 이로 인해 감소된 유효저수용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측량을 이용한 실측 비퇴사량을 기준으로 건설교통부(1992)에서 제안한 경험공식 및 비퇴사량을 추정할 수 있는 다중회귀모형을 구축하여 산정된 비퇴사량을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는 경상남도 밀양시에 위치한 가곡 저수지 등 10개소의 유효저수용량을 무인수심측량장비를 활용하여 저수지의 유효저수용량의 증가 및 감소된 양을 분석하였다. 유효저수용량은 사수위 확인이 불가능하여 저수지 바닥에서 만수위까지의 높이로 가정하였다. 지자체 제원정보 대비 가곡(38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ckers, P. and White, W.R. (1973) Sediment Transport : A New Approach and Analysis J. of the Hydraulics Division, ASCE, vol. 99, no. HY11, Nov.[https://doi.org/10.1061/JYCEAJ.0003791] 

  2. Ahn, J. H., Jang, S. H., Choi, W. S. and Yoon, Y. N. (2006) An Efficient Management of Sediment Deposit for Reservoir Long-Term Operation (1) - Reservoir Sediment Esti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Vol. 22, No. 6, pp. 1088-1093. 

  3. Brune, G. N. (1953), Trap efficiency of reservoirs. Transactions of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34, No.3.[https://doi.org/10.1029/TR034i003p00407] 

  4. Burns, M., and MacArthur, R(1996). Sediment deposition in Jennings Randolph Reservoir, Maryland and West Virginia", Proc., 6th Federal interagency Sedimentation Conf., Lasvegas, 10.16-1021. 

  5. Choi, C. H., Kim, J. S., Kim, J. H., Kim, H. Y., Lee, W. J., and Kim, H.S. (2017). Development of heavy rain damage prediction function using statistical methodology.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7, No. 3, pp. 331-338.[https://doi.org/10.9798/KOSHAM.2017.17.3.331] 

  6. Choi, G. W., Kim, K. N., Han, M. S. and Yun, Y. J. (2011) The Analysis of Sediment Reduction Effect by Installing Check Dams at Domestic Multi-Purpose Dams. J. Korean Soc. Vol. 11, No. 3, pp. 183-189.[https://doi.org/10.9798/KOSHAM.2011.11.3.183] 

  7. Churchill, M. A. (1948) Discussion of analysis and use of reservoir sedimentation data. by L. C. Gottschalk, Federal Inter-Agency Sedimentation Conference. pp. 139-140. 

  8. Hair, Joseph F., William C. Black, Barry J. Babin, and Rolph E. Anderson. (2010) Multivariate Data Analysi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9. Hiroshi Ishigai. "On the Amount of Bottom Sediments in Reservoirs" Journal of the Japan Society of Engineering Geology. Vol. 7, No. 4, pp. 173-190.[https://doi.org/10.5110/jjseg.7.173] 

  10. Jang, S. W., Hwang, P. S., Kim, K. H and Shin, Y. H. (2012) A Study on Estimation Method of Sediment Deposition Rate of Reservoir.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012. 

  11. Kim, D. H., Choi, C. H., Kim, J. S., Joo, H. J., Kim, J. W., & Kim, H. S. (2018). Development of a heavy rain damage prediction function by risk class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8(7), 503-512.[https://doi.org/10.9798/KOSHAM.2018.18.7.503] 

  12. Kim, J. S., Choi, C. H., Kim, D. H., Lee, M. J., and Kim, H.S. (2017). Development of heavy rain damage prediction functi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multiple regression model.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7, No. 6, pp. 73-80.[https://doi.org/10.9798/KOSHAM.2017.17.6.73] 

  13.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Construction methods of sand storage dam for reservoir sedimentation reduction, (2004). 

  14. Lee, J. W., Paik, K. R. and Yoo, C. S (2016) Empirical equation for estimating specific sediment of the multipurpose dams in Korea.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016. 

  15. Morris, G.L. and Fan, J.(2009) Reservoir Sedimentation Handbook. 

  16. Rubey, W. W. (1933). Settling Velocities of Gravel, Sand and Silt Particles, American J. of Science, 5th series, vol. 25, no. 148. 

  17. Ryu, H. J. and Kim, S. W. (1976) Study on Sedimentation in Reservoir.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9, No. 2, pp. 67-75. 

  18. Strand, R.I. and Pemberton, E.L.(1987) "Reservoir Sedimentation", In Design of Small Dams. U.S. Bureau of Reclamation, Denver. 

  19. Suh, S. D., Lim, H. I., Cheon, M. B. and Yoon, K. D. (1988) Regression Analysis Between Specific Sediments of Reservoirs and Physiographic Factors of Watershe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30, No. 4, pp. 45-61. 

  20. Yoon, Y. N. (1981) Estimation of Silting Load and Capacity Loss Rate of Irrigation Reservoir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magazine. Vol. 1, No. 1, pp. 69-76. 

  21. You, S. C. and Min, B. H. (1975) A Study for Sedimentation in Reservoir -on district of Chin You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17, No. 3, pp. 3840-3847. 

  22. Maatooq, J., Omran, H., & Aliwe, H. (2016). Empirical Formula for Estimation the Sediment Load in Shat AL-Gharaf River. Basrah Journal for Engineering Sciences, 16, 38-41. 

  23. Bhattacharya, B., & Solomatine, D. P. (2006). Machine learning in sedimentation modelling. Neural Networks, 19(2), 208-214.[DOI:10.1016/j.neunet.2006.01.007] 

  24. Ghose, D. K., & Samantaray, S. (2019). Sedimentation process and its assessment through integrated sensor networks and machine learning process. In Computational intelligence in sensor networks (pp. 473-488). Springer, Berlin, Heidelberg.[DOI: 10.1007/978-3-662-57277-1_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