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영향개발기법이 도시 유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ow Impact Development Techniques on Urban Runoff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3 no.4, 2021년, pp.307 - 316  

김희수 (호서대학교 재난안전시스템학과) ,  정건희 (호서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개발의 지나친 진행에 따라 불투수면의 증가로 인해 유출이 증가되어 도시 홍수에 대한 우려가 증가되고 있으며, 도시 유역의 물순환을 개발 이전과 같은 상태로 되돌리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이를 위한 노력으로 저영향 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술이 저류, 침투, 증발산과 같은 기작을 통해 도시개발 전후의 수문 현상을 모사하기 위해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LID를 실제 유역에 도입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소유역에 강우-유출 수문모형인 SWMM의 모의를 통해 LID를 적용하여 목표로 유출량 저감 효과를 시나리오 별로 분석 및 평가하였다. SWMM-LID 모형을 가산1빗물펌프장 유역을 대상으로 구축하였으며 옥상녹화와 투수성 블록 포장 기법을 기법별 정성평가를 통해 유역에 적용할 LID 기법으로 선정하였다. SWMM내에서 저류 및 침투를 통한 총 유출량 감소 효과를 위해 설정되어야 하는 각 인자들을 설계 하였으며, 6가지 시나리오를 선정하여 모의한 결과, 투수성 포장에 의한 저감 효과가 옥상녹화에 의한 저감 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향후 유역의 특성에 맞는 LID 시설의 설계가 필요하며, 특히 서로 영향을 미치는 하천이나 지하수위 등 도시 수자원 요소들은 전체 시스템에서 고려할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rapidly increased urbanization, impervious area has been extended and concerns about urban flooding has been increased as well. A lot of effort has been made to restore the urban water circulation.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ology that consist of retention, infiltration, and evapotrans...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LID 기법을 도시 소유역에 적용하여 강우-유출 수문모형인 SWMM의 모의를 통해 시나리오별 유출량 저감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앞서 대상유역에서의 저감 목표 및 LID 기법을 설정하고 LID 장치의 제원을 설계함으로써 저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해 고려하고자 하였다.
  • 옥상녹화와 투수성 포장 LID 기법을 가산1빗물펌프장 유역을 대상으로 적용함에 있어 그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시나리오를 선정하였다. 이와 같은 시나리오 설정은 적용 전의 기존 수문학적 조건과 LID 기법의 적용에 따른 영향을 비교 분석하기 적합하며, 면적 대비 두 기법의 효과와 두 기법 간의 시너지에 대하여 고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LID 기법을 도시 소유역에 적용하여 강우-유출 수문모형인 SWMM의 모의를 통해 시나리오별 유출량 저감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앞서 대상유역에서의 저감 목표 및 LID 기법을 설정하고 LID 장치의 제원을 설계함으로써 저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해 고려하고자 하였다. 특히 LID 적용 면적을 소유역 별 불투수 면적 중에서 직접 산정을 하여 SWMM 5.
  • 이에 앞서 대상유역에서의 저감 목표 및 LID 기법을 설정하고 LID 장치의 제원을 설계함으로써 저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해 고려하고자 하였다. 특히 LID 적용 면적을 소유역 별 불투수 면적 중에서 직접 산정을 하여 SWMM 5.0 버전부터 새로 도입된 LID control 모듈을 이용한 실강우를 통한 유출 모의를 실시한 다음 이에 따른 결과 분석을 통해 LID 기법의 효율성과 적용성을 검증 및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6 mm의 값을 도입하였으며, 식생체적은 90%를 갖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SWMM 매뉴얼에서 제안한 Manning의 조도계수 표를 참고하여 표면 조도계수을 값을 설정하였고, 지표경사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여 0.01로 설정하였다.
  • 또한 여과율도 10 inch. 약 254 mm로 자갈층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저류층 내 막힘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막힘계수(clogging factor)는 0으로 가정하였다.
  • 포면층의 저류수심은 Fairfax county에서 제안한 투수성 포장기법에 대해 제안한 수치로 12인치, 약 304.8mm를 적용하였으며, 식생효과는 투수성 포장에 없는 것으로 가정하여 온전히 유출량 저감 효과를 투수성포장 기법에 의해 산정하고자 하였다. 표면 조도계수의 경우 기본 콘크리트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Manning의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ck, JS (2015). A study on adaptive LID region selection based on urban Hydro-Geomorphological properties.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pp. 63-65. [Korean Literature] 

  2. Baek, JR (2014). Improvement of SWMM-LID module for water quaility modeling of bioretention.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pp. 1,16. [Korean Literature] 

  3. Brown, T., Turner, D., Soukup, L., and Wall, N. (2007). Low impact stormwater management approaches fow college gardens.. ASCE-EWRI 2nd National Low Impact Development Conference in Wilmington, North Carolina, USA[https://doi.org/10.1061/41007(331)30] 

  4. Cho, EY (2012). The analysis of LID adaptation efficiency on urban basin based on SWMM-LID model.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pp. 17-28, 60. [Korean Literature] 

  5. Choi, JY (2009). Development project for total contamination management and research on optimal management methods for non-point sources of contamination in the workplac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Korean Literature] 

  6. Choi, hs, Kim, DH, and Cho, SY (2010) Application and effects of low Impact development in urban regeneration of waterfront areas. research report 1-187. [Korean Literature] 

  7. Department of Environmental resources. (1999). Lowimpact development: an integrated desing approach. Department of Environmental Resources, Prince George's County, Maryland, USA. 

  8. Elliott, A.H., and Trowsdale, S.A. (2007). A review of models for low impact urban stormwater drainage. Environmental Modelling and Software.22, 394- 405. [https://doi.org/10.1016/j.envsoft.2005.12.005] 

  9. EPA. (2007). Fact sheet: Reducing stormwater costs through low impact development(LID) strategies and practices. EPA publication number 841-F-07-006. 

  10. EPA. (2010).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application manual Version 5.0.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incinnati, OH 45268. EPA/600/R-09/000. 

  11. Fairfax County. (2018). Public facilities manual. 6-1309. 

  12. Han, Y.H. (2014). Research for management in urban small stream using automatic flow-quality monitoring system.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pp. 13-21. [Korean Literature] 

  13. Hyun, KH, Kim, JK, Lee, JM, Jung, JS, Kim, JN, and Lee, YJ. (2010). Development plan for water-cycle green city in Asan new town.1. Land & Housing Institute ; LHI. [Korean Literature] 

  14. Joo, JS (2012).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 runoff and effects of SWMM-LID in industrial area.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pp. 65-68. [Korean Literature] 

  15. Kim, RH (2016). Low impact development and green infrastructure in SouthKorea: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pp. 84-88. [Korean Literature] 

  16. Kim, YM (2020). A study on the effective urban runoff reduction using SWMM-LID model.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pp. 4-7. [Korean Literature] 

  17. Lee, HM (2019). Cost-effective application of pipelines and LID techniques for reduction of urban flooding and environmental loa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ungcheongnam-do, pp. 14-15. [Korean Literature] 

  18. Lee, MJ (2021). An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Effect by using SWMM-LID model in university campus. Master's thesis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llabuk-do, pp. 39-48. [Korean Literature] 

  19. Lim, YK (2011). A study of LID technologies for friendly environmental urban development.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pp. 79-85. [Korean Literature] 

  2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Guideline for non-point sources management in TMDL. 

  21.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Preparation of management plan for natural boiling point pollution sources using LID method. 

  22.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Guidelines for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ology elements. 

  23. Palla, A., Berretta, C., Lanza, L.G., and Barbera, P.La. (2008). Modelling storm water control operated by green roofs at the urban catchment scale.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rban Drainage, Edinburgh, Scotland, UK. 

  24. Park, JH, Yoo, YG, Park, YK, Yoon, HT, Kim, JG, Park, YS, Jeon, JH, and Lim, KJ (2008).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with LID adoption using the SWMM. J.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4.6: 806-816. [Korean Literature] 

  25. SEMCOG. (2008). Low impact development manual for Michigan: A Design Guide for Implementors and Reviewer. 

  26. Shin, DS, Park, JB, Kang, DK, and Jo, DJ (2013). An analysis of runoff mitigation effect using SWMM-LID model for frequently inundated basin. J.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3(4), 303-309. [Korean Literature] 

  27. The Philadelphia Water Department. (2009). Amended green city, clean waters-The city of Philadelphia's program for combined sewer overflow control program summary, PWD. 

  28. U.S. Departament of HUD. (2003). The practice of low impact development. HUD's Office of Polict Development and Research. 

  29. Wright, J.,and Struck, S. (2011). LID types, selection, design and construction considerations. 2011 Philadelphia Low Impact Development Symposium workshop in Philadelphia, PA, USA[https://doi.org/10.1061/41173(414)64] 

  30. Yoon, JB (2013). Urban design mitigation tools for heavy rainfall hazard : Focusing on the flooding hazard area in Gamjeon-1 Dong, Busan.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pp. 82-85.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