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회청 안료의 보존 환경에 따른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the Color-change and Stability of Hoecheong (Smalt) Pigments When Exposed to Airborne Environmental Pollutants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4 no.4, 2021년, pp.22 - 35  

박주현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이선명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김명남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기후가 급격히 변하고 미세 먼지가 증가하는 등 대기 환경 오염 물질의 양상도 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채색 문화재에 사용되는 안료의 안정성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회청은 전통 인공 무기 안료로 스몰트(Smalt)라고 불리는 청색의 유리 안료이다. 포타쉬 유리에 코발트를 녹여 만드는데 벽화, 회화 등의 채색 문화재에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는 회청 안료 3종을 수집하여 안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회청은 제조사에 따라 발색 원소인 Co와 융제인 K의 함량에 차이를 보였는데 Smalt-3의 경우 Co 함량이 15.1 wt.%로 가장 적았고, K 함량은 29.6 wt.%로 가장 많았다. 채색 시편을 제작하여 안료의 보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자외선, CO2/NO2 등의 대기 오염 가스, 그리고 미세 먼지에 이온 상태로 존재하는 염(NaCl) 등 주요 환경 인자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색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 인자는 NO2 가스, 자외선, 수용성 염(NaCl)이며 이 중 NO2 가스가 색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성분 분석 결과, 안료의 색 변화에 K와 Co의 함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malt-3은 NO2와 수용성 염(NaCl)에서 색의 안정성이 가장 취약하였다. 특히 수용성 염(NaCl)은 색 변화에도 작용하지만 이보다 채색층 표면 물성을 약화시켜 채색층 도막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반면 CO2 가스에 노출된 시편들은 색상 및 성분에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CO2를 제외하고 시험에 적용된 모든 환경 인자가 회청의 색상을 변화시키고 도막의 안정성도 저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s the climate changes rapidly and the prevalence of airborne fine particulate matter increases, the pattern of pollutants in the atmospheric environment is also changing. Therefore, the importance of studying the stability of pigments used in colored cultural properties is emerging. Hoech...

주제어

표/그림 (18)

참고문헌 (21)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a, 「전통 단청 안료의 과학적 조사.분석 - 전라남도 편」, pp.101~413. 

  2.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b, 「전통 단청 안료의 과학적 조사.분석 - 전라북도 편」, pp.235~236. 

  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a, 「전통 단청 안료의 과학적 조사.분석 - 경상남도 편」, pp.103~104. 

  4.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b, 「전통 단청 안료의 과학적 조사.분석 - 경상북도 편 1」, pp.37~144. 

  5. 국립문화재연구소, 2020a, 「전통 단청 안료의 과학적 조사.분석 - 서울 편」, pp.190~277. 

  6. 국립문화재연구소, 2020b, 「천연 무기 안료 1」, pp.57, 70~71. 

  7. 김나영.김규호, 2015, 「한국 포타쉬 유리 구슬의 조성 분류에 따른 특성 비교」, 「보존과학회지」 31(3), pp.255~265. 

  8. 김명남.김지선.정혜영, 2018, 「숭례문 주변 공기 질 특성」, 「제50회 한국보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pp.187~188. 

  9. 김지선.정혜영.변두진.유민재.김명남.이선명, 2020, 「전통 단청 안료 표면의 물리적 특성 변화 모니터링」, 「보존과학회지」 36(6) pp.549~561. 

  10. 박주현.정혜영, 2019, 「적색 및 황색 계열의 천연 무기 안료의 광물학적 특성 및 촉진 내후성 평가 연구」, 「한국광물학회지」 32(4), pp.3~4. 

  11. 송유나, 2018, 「조선시대 단청 안료의 재료학적 특성」,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6, 233~239. 

  12. 윤지현.이장존, 2019, 「광덕사 노사나불괘불탱과 봉선사 비로자나 삼신괘불도에 사용한 회청의 화학 조성과 풍화 특성」, 「보존과학연구」 40, pp.71~80. 

  13. Cianchetta Ilaria, Colantoni Ivan, Talarico Fabio, Acapito Francesco d', Trapananti Angela, Maurizio Chiara, Fantacci Simona, Davoli Ivan, 2012, 'Discoloration of the Smalt Pigment : Experimental Studies and ab initio Calculations', Journal of Analytical Atomic Spectrometry 27, pp.1941~1948. 

  14. Giovanoli Rudolf, Muhlethaler Bruno, 1970, 'Investigation of Discoloured Smalt', Studies in Conservation 15(1), pp.37~44. 

  15. Jose Santiago Pozo-Antonio, Teresa Rivas, Amelia Dioisio, Diana Barral, Carolina Cardell, 2020, 'Effect of a SO2 Rich Atmosphere on Tempera Paint Mock-Ups : Part 1 - Accelerated aginged Lapis Lazuli-based Paints', Minerals 10, 427, pp.1~24. 

  16. Mimoso Joao Manuel, 2015, 'Origin, Early History and Technology of the Blue Pigment in Azulejos', Glaze Arch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Glazed Ceramics in Architectural Heritage, pp.358~359. 

  17. Muhlethaler Bruno, Thissen Jean, 1969, 'Smalt', Studies in Conservation 14, pp.47~48. 

  18. Odlyha Marianne, Cohen Neil S., Foster Gary M., 2000, 'Dosimetry of Pigments : Determination of the Degree of Chemical Change in Museum Exposed Test Paintings(Smalt Tempera) by Thermal Analysis', Thermochimica Acta 365, pp.35~44. 

  19. Robinet Laurianne, Spring Marika, Pages-Camagna Sandrine, Vantelon Delphine, 2011, 'Investigation of the Discoloration of Smalt Pigment in Historic Paintings by Micro-X-ray Absorption Spectroscopy at the Co K-edge', Analytical Chemistry 83, pp.5145~5152. 

  20. Santopadre Paola, Verita Marco, 2006, 'A Study of Smalt and Its Conservation Problems in Two Sixteen-century Wall Paintings in Rome', Studies in Conservation 51, pp.29~40. 

  21. Spring Marika, Higgitt Catherine, Saunders David, 2016,'Investigation of pigment-midium interaction processes in oil paint containg degraded smalt', the National gallery, 26, p. 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