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려 로봇
Life Companion Robots 원문보기

전자통신동향분석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v.36 no.1, 2021년, pp.12 - 21  

김재홍 (인간로봇상호작용연구실) ,  서범수 (지능로봇연구실) ,  조재일 (지능로봇연구실) ,  최정단 (지능로보틱스연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presents the future vision and core technologies of the "Life Companion Robot," which is one of the 12 future concepts introduced in the ETRI Technology Roadmap published in November 2020. Assistant robots, care robots, and life support robots were proposed as the development stages of ...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로봇 소셜 상호작용지능은 1단계에서 사용자 정 보모델을 자동 구축하고 로봇 행위를 개인화(레벨 3)하고, 2단계에서 단기관찰 기반 사용자 목표·의 도 추론에 따른 반응형·적응형 상호작용(레벨 4)을 실현하며, 3단계에서 관찰을 통한 사용자에 대한 지식 축적을 통해 장기 상호작용(레벨 5)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로봇 이동지능은 1단계에서 사람이 결정한 이동 정책에 따른 정형 환경에서의 자율이동(레벨 3)을 완성하고, 2단계에서 복잡한 비정형 환경에서의 자율이동(레벨 4)을 실현하며, 3단계에서 사람과 의 상호작용 경험까지 반영하여 완전 자율주행(레 벨 5)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로봇 이동지능은 불완전한 지도나 가보지 않았 던 환경, 다양한 비정형 노면의 환경에서도 사람처 럼 이동할 수 있는 지능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특별히 사람과 공존을 위하여 정적·동적 객체 와 주변에 대한 이해, 사회적 규범과 통념에 대한 학습을 통한 안전하고 편리한 로봇 이동지능의 지 속적 향상을 목표로 한다
  • 국내에서는 미국이나 EU와 비슷한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해 오다가 2019년부터 물리적 지원(이승, 욕창 예방, 배설, 식사)이 가능한 돌봄 로봇 기술 개 발을 진행하고 있다. 물리적 서비스를 주로 제공하는 간병 로봇을 제외하면 고령자케어 로봇은 표 2와 같이 주로 건강관리, 생활 지원, 정서 지원, 인 지 지원, 정보·안전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자율지능’ 핵심기술은 로 봇뿐만 아니라 자율차·드론 핵심기술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고에서는 로봇과 직접 관련된 자율지 능 세부 핵심기술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본다.
  • 본 고에서는 보조(Assistant), 돌봄(Care), 생활지 원(Life Support) 등을 포괄하는 개념의 ‘반려 로봇’ 의 미래상과 핵심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Ⅱ장에 서는 코로나19로 주목받게 된 서비스로봇에 대해 소개하고, Ⅲ장에서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환경변화 동인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요구되는 서비스로봇 중 반려 로봇의 요구사항에 대해 살 펴본다
  • 본 고에서는 일상생활과 관련된 2035년 로봇의 미래상 및 관련 핵심기술에 대해 기술하였다. Ⅴ 장 3절에서는 로봇 자율지능 핵심기술의 발전 단 계를 정의하고 미래상 실현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정보사회로 가는 길: 기술발전지도 2035," 2020년. 

  2. World Robotics 2020-Industrial Robots,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IFR), 2020. 

  3. World Robotics 2020-Service Robots,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IFR), 2020. 

  4. 로봇신문, "코로나가 앞당긴 로봇 서비스 시대," 2020년 10월 15일. 

  5. 연합뉴스, "코로나가 앞당긴 서비스로봇 붐," 2020년 7월 4일. 

  6. KIRIA ISSUE REPORT, "음식산업의 대세, 푸드테크 로봇 동향," 2020년 6월 22일, 한국로봇산업진흥원. 

  7. 천지일보, "'코로나19' 맞벌이 절반 '돌봄공백'...73% 가정내 양육," 2020년 4월 15일. 

  8. 메디게이트 뉴스, "코로나19로 커뮤니티케어 중단.요양병원 신규입원 제한 등 노인 복지서비스 올스톱," 2020년 4월 14일. 

  9. 중앙일보, "코로나발 '돌봄 공백'...흔들리는 '노인대국' 일본," 2020년 5월 13일. 

  10. 실버아이뉴스, "코로나19로 인한 노인돌봄의 과제와 대응 방안모색," 2020년 5월 15일. 

  11. Guang-Zhong Yang et al., "Combating COVID-19-The role of robotics in managing public health and infectious diseases," Science Robotics, Vol.5, Issue 40, 2020. 

  12. 김재홍, 장민수, "고령자케어 서비스 연구동향," 로봇과 인간 제13권 제4호, 2016, pp. 6-12. 

  13. 고우리 외, "휴먼케어 로봇과 소셜 상호작용 기술 동향," 전자통신 동향분석 제35권 제3호, 2020, pp. 34-44. 

  14. 조아라 외, "2019년 기술영향평가보고서: 소셜로봇 기술,"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 pp. 125-132. 

  15. 조아라 외, "2019년 기술영향평가보고서: 소셜로봇의 미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 pp. 14-15. 

  16. SPARC, "Robotics 2020 multi-annual roadmap ICT-2017," 2016, pp. 211-212. 

  17. H.-M. Huang and Elena R. Messina, "Autonomy levels for unmanned systems (ALFUS) framework volume II: framework models initial version," No. Special Publication (NIST SP)-1011-II-1.0, 2007, https://www.nist.gov/publications/autonomylevels-unmanned-systems-alfus-frameworkvolume-iiframework-models-initial 

  18. IFR Positioning Paper, "Demystifying Collaborative Industrial Robots,"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IFR), Dec. 2018, p. 2, https://ifr.org/downloads/papers/IFR_Demystifying_Collaborative_Robots.pdf 

  19. 장민수, 김도형, 김재홍, "서비스로봇의 실환경 적용을 위한 클라우드 로봇 지능," 로봇과 인간 제17권 제3호, 2020, pp. 15-19. 

  20. 김재홍, 서범수, "ETRI의 지능로보틱스 연구," 로봇과 인간 제17권 제4호, 2020, pp. 31-3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