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C-FID/Methanizer를 이용한 고순도 질소의 순도분석법 개발
Development of analysis method for high purity nitrogen using GC-FID/Methanizer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35 no.6, 2022년, pp.249 - 255  

유제이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가스분석표준그룹) ,  이진복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가스분석표준그룹) ,  김진석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가스분석표준그룹) ,  김운중 (한남대학교 화학과) ,  홍기룡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가스분석표준그룹)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불꽃이온화검출기(GC-FID)를 이용한 고순도 질소의 새로운 순도분석법을 개발하였다. 고순도 질소에 존재할 수 있는 불순물인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및 메탄(CH4)에 대한 3 µmol/mol 수준의 인증표준물질(Certified reference material, CRM)을 중량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고, 이를 순도분석에 활용하였다. 개발된 순도분석법에서는 운반가스로 초고순도 질소와 순도분석 대상 질소를 사용하여, 제조된 인증표준물질의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얻어지는 크로마토그램의 면적 값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순도분석 대상 질소의 불순물을 정량 분석하였다. 순도분석 대상 질소로는 액체질소 및 제조사가 각기 다른 3곳의 고순도 질소를 사용하였다. 또한, 개발된 순도분석법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순도분석 대상 질소 내 불순물의 물질량 분율을 기존 순도분석법과 비교하였다. 두 가지 순도분석법을 이용하였을 때 대상 질소 내 불순물의 물질량 분율이 불확도 (k = 2) 내에서 서로 일치함을 확인함으로써, 개발된 순도분석법이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new method for the analysis of high-purity nitrogen was developed. A gas chromatography-flame ionization detector (GC-FID) was used for purity analysis. Certified reference materials (CRMs) at a level of 3 µmol/mol of carbon monoxide (CO), carbon dioxide (CO2), and methane (C...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성능/효과

  • 현재 GC를 사용하는 여러 연구실에서는 운반가스로 사용되는 순수가스들을 별도의 순도분석 없이 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인증표준물질 분석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발된 순도분석법을 활용하여 운반가스가 교체된 이후에 해당 운반가스의 불순물 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각 크로마토그램의 면적 차이를 계산하여 불순물의 정량도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순도분석법보다 분석 횟수가 적기 때문에 분석시간 및 CRM의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또한 기존의 순도분석법보다 분석 횟수가 적기 때문에 분석시간 및 CRM의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개발된 순도분석법과 인증표준물질을 활용하면 짧은 시간의 분석으로 운반가스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고, 운반가스의 교체를 통해 분석의 신뢰성 및 정확성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Y. W. You, D. G. Lee, K. Y. Yoon, D. K. Moon, S. M. Kim, and C. H. Lee,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37(23), 18175-18186 (2012).?? 

  2.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19229:2015 Gas analysis - Purity analysis and the treatment of purity data, Geneva, 2015.?? 

  3. P. Coning and J. Swinley, In 'A Practical Guide to Gas Analysis by Gas Chromatography', p 45-75, Elsevier Inc., Amasterdam, 2019.?? 

  4. W. Jennings, E. Mittlefehldt, and S. Phillip, 'Analytical gas chromatography', 2nd Ed. Academic Press, 1997.?? 

  5. O. Zuas and M. R. Mulyana, French-Ukrainian Journal of Chemistry, 5(1), 35-47 (2017).?? 

  6. P. S. Yong and H. M. Moon,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8(6), 499-505 (2002).?? 

  7. M. R. Mulyana, H. Budiman, O. Zuas, and A. Hindayani, Journal of Physics, 1153(1), 012035 (2019).?? 

  8. P. Coning and J. Swinley, 'A Practical Guide to Gas Analysis by Gas Chromatography', Elsevier Inc., Amasterdam, 2019.?? 

  9. G. Castello and G. D'Amato, Journal of Chromatography A, 32, 625-634 (1968).?? 

  10.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17034:2016 General requirements for the competence of reference material producers, Geneva,??2016.?? 

  11.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6142-1:2015 Gas analysis - Preparation of calibration gas mixtures - Part 1: Gravimetric method for Class I mixtures, Geneva, 2015.?? 

  12. M. J. T. Milton, G. M. Vargha, and A. S. Brown, Metrologia, 48, R1-R9 (2011).?? 

  13. J. E. Kim, J. B. Lee, J. S. Kim, I. Yang, and K. Hong, Metrologia, 59, 055003 (2022).?? 

  14. S. H. Oh, B. M. Kim, and N. Kang, Metrologia, 50(4), 318-324 (2013).?? 

  15. N. Matsumoto, T. Watanabe, M. Maruyama, Y. Horimoto, T. Maeda, and K. Kato, Metrologia, 41, 178-188 (2004).?? 

  16. B. S. Ahn, D. M. Moon, J. B. Lee, J. S. Kim, J. H. Lee, and K. Hong,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33(2), 68-75 (2020).?? 

  17. M. J. T. Milton, F. Guenther, W. R. Miller, and A. S. Brown, Metrologia, 43, L7- L10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