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 소통 환경에서 존재하는 인지부조화가 직접 소통 욕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gnitive Dissonance Experienced in Online Communication on Face-to-Face Communication Intention 원문보기

지능정보연구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v.28 no.4, 2022년, pp.61 - 79  

이정 (한국외국어대학교 GBT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댓글을 사용하여 소통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인지부조화가 대면 소통의 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사람들은 댓글로 남들과 소통할 때, 자신 역시 여러 댓글러 중 한명으로서 소통에 평등하게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댓글러들은 인터넷의 익명성에 기대어 자신보다 더 불성실하게 댓글소통을 하고 있다는 생각을 동시에 갖게 되는데, 이것을 일종의 인지부조화로 보고 그것이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는지, 그리고 그 존재가 대면 소통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궁금증, 온/오프라인 간 태도 차이 등 대면 소통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소들을 포함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총 323명의 댓글소통 경험자에게 설문을 하였으며, 그 결과 모든 가설이 채택 혹은 부분채택 되었다. 본 연구는 댓글 소통 과정에서 경험하는 인지부조화를 구체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사람들이 댓글 소통이 아닌 대면 소통을 원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검증하여 그 시사점을 강조한다. 도구 개발에 있어 초기 연구로서의 한계점이 있으나 추후 연구를 통해 댓글 소통의 효과성과 동시에 대면 소통의 필요조건에 대해 더 연구,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gnitive dissonance that people experience during online communication on face-to-face communication. When people communicate with others on Interne using the comment system, they know that all the people including themselves equally participate in the discussi...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47)

  1. 권상희, & 김익현. (2008). 온라인 댓글 인식과 댓글 활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댓글의 신뢰도와 인터넷뉴스 수용자의 수용경향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44-78. 

  2. 김기한, & 김종호. (2019). 올림픽의 사회적 소통 유발효과: 2016 리우하계올림픽 온라인 언론 보도와 댓글 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4(1), 15-30. 

  3. 김미라, & 민영. (2014). 지지 후보와 추론 동기가 유권자의 선택적 노출과 교차노출에 미치는 영향: 선거에서의 인지부조화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8(2), 7-49. 

  4. 김영준, 김영일, & 김경일. (2013). 인터넷 악성 댓글과 일반 댓글의 언어적, 심리적 특성 비교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6), 3191-3201. 

  5. 김하연, & 이수범. (2019). 외식기업의 신메뉴에 대한 호기심이 소비자의 감정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33(5), 63-76. 

  6. 김한민, & 김기문. (2018). 온라인 게시판에서 익명성과 악성댓글 사이의 관계 연구: 합리화와 도덕성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31(6), 1095-1115. 

  7. 나은경, 이강형, & 김현석. (2009). 댓글 읽기/쓰기를 통한 온라인 소통이 대의민주주의 사 회에서 갖는 의미: 인터넷 뉴스 댓글 이용과 사회신뢰, 정치신뢰, 언론신뢰, 그리고 정치지식. 한국언론학보, 53(1), 109-132. 

  8. 문광수, 김슬, & 오세진. (2013). 베스트 댓글의 방향성이 일반댓글의 동조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 201-211. 

  9. 박병언, & 임규건. (2015). 일반영향요인과 댓글 기반 콘텐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합한 유튜브 (Youtube) 상의 콘텐츠 확산 영향요인 연구. 지능정보연구, 21(3), 19-36. 

  10. 박주미, & 고정민. (2017). 뮤지엄 관람객의 인지 부조화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예술경영연구, 41, 103-130. 

  11. 백규리, 유재호, & 이계희. (2021). 여행상품 구매 후 여행소비자의 인지부조화와 조절초점성향에 따른 정보탐색 및 구매 만족의 차이. 관광연구저널, 35(8), 129-146. 

  12. 서대호, 김지호, & 김창기. (2018). 댓글 분석을 통한 19 대 한국 대선 후보 이슈 파악 및 득표율 예측. 지능정보연구, 24(3), 199-219. 

  13. 심홍진. (2012). 소셜미디어의 정치참여 효과에 관한 연구: 주관적 규범과 동류집단압력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8(3), 6-52. 

  14. 안서원. (2019). 창의적 소비에 대한 유튜브 비디오 네트워크의 특성과 댓글을 통한 소비자 반응 분석: Ikea hack 을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22(1), 95-118. 

  15. 안재영, 심소연, & 윤혜정. (2022).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메타버스 증강현실 연구 동향 분석. 지식경영연구, 23(2), 123-142. 

  16. 오상운, & 조문수. (2018). 외식업체 서비스품질 평가의 인지부조화 연구: 인터넷 정보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0(6), 401-414. 

  17. 오인수. (2011). 초등학생 온라인 괴롭힘의 실태 및 오프라인 괴롭힘과의 비교분석. 아시아교육연구 (Asian Journal of Education), 12. 

  18. 유조군위, 단몽가, & 박현정. (2021). 온라인 반품 행동요인에 대한 소비자 귀인 및 인지부조화의 영향: 중국 산동성 (山東省) 소비자를 중심으로. 무역연구, 17(1), 651-662. 

  19. 윤상, 연서, 신화, 김현, 정허, & 태균. (2013). 인지부조화의 발생에서 문화 차이의 의미: 태도 중요도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1), 69-86. 

  20. 이득규, & 노태범. (2009). 온라인쇼핑몰에서 구매고객의 인지부조화가 불만족 및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e-CRM 구성요소 중 e-Community 를 중심으로. CRM 연구, 2(2), 71-88. 

  21. 이명호, & 이욱기. (2021). 불신이 개인적 양면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과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기업경영연구, 28(4), 77-96. 

  22. 이정. (2022). 대선 관련 인터넷 뉴스의 댓글과 대댓글 간 비교를 통해 살펴본 온라인 토론의 진행 가능성. 지능정보연구, 28(2), 33-55. 

  23. 이종혁. (2009). 뉴스의 일탈성이 기사 선택에 미치는 영향: 진화론, 인지부조화, 정보 효용성을 바탕으로 모델 도출. 한국언론학보, 53(6), 241-261. 

  24. 이준기, & 한미애. (2012). 개인의 정치성향이 뉴스 댓글에 대한 신뢰성과 사회적 영향력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7(1), 173-187. 

  25. 조윤경, 백영민, & 김반야. (2014). SNS 관계망에서의 상호작용은 어떻게 사회적 지지감을 형성시키는가? 관계망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22(2), 5-31. 

  26. 차영란. (2020). 인플루언서의 '뒷광고'논란 전, 후에 대한 댓글 비교 분석: LDA 와 Word2vec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119-133. 

  27. 최동성, 최성은, & 최용준. (2008). 인터넷 포털뉴스 댓글의 여론형성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8, 311-358. 

  28. 최재원, & 이홍주. (2011). 개인화 추천시스템에서 고객 제품 리뷰가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지능정보연구, 17(3), 115-130. 

  29. Alexopoulos, C. (2021). Justify my love: Cognitive dissonance reduction among perpetrators of online and offline infidelity.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38(12), 3669-3691. 

  30. Arceneaux, K., Johnson, M., & Cryderman, J. (2013). Communication, persuasion, and the conditioning value of selective exposure: Like minds may unite and divide but they mostly tune out. Political communication, 30(2), 213-231. 

  31. Baek, H., Ahn, J., & Choi, Y. (2012). Helpfulness of online consumer reviews: Readers' objectives and review cues.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17(2), 99-126. 

  32. Chen, Y., & Xie, J. (2008). Online consumer review: Word-of-mouth as a new element of marketing communication mix. Management science, 54(3), 477-491. 

  33. Chou, S. Y. (2012). Online reviews and pre-purchase cognitive dissonance: A theoretical framework and research propositions. Journal of Emerging Trends in Computing and Information Sciences, 3(2), 199-204. 

  34. Clouder, D. L., Goodman, S., Bluteau, P., Jackson, A., Davies, B., & Merriman, L. (2011). An investigation of "agreement" in the context of interprofessional discussion online: A "netiquette" of interprofessional learning?.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25(2), 112-118. 

  35. Fang, Y. H., Li, C. Y., Arain, G. A., & Bhatti, Z. A. (2021). How does participation and browsing affect continuance intention in virtual communities? An integration of curiosity theory and subjective well-being.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40(3), 221-239. 

  36. Gatter, K., & Hodkinson, K. (2016). On the differences between TinderTM versus online dating agencies: Questioning a myth. An exploratory study. Cogent Psychology, 3(1), 1162414. 

  37. Godey, B., Manthiou, A., Pederzoli, D., Rokka, J., Aiello, G., Donvito, R., & Singh, R. (2016). Social media marketing efforts of luxury brands: Influence on brand equity an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9(12), 5833-5841. 

  38. Harris, V. A., & Tamler, H. (1971). Reinstatement of initial attitude and forced-compliance attitude change.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84, 127-134. 

  39. Jeong, M., Zo, H., Lee, C. H., & Ceran, Y. (2019). Feeling displeasure from online social media postings: A study using cognitive dissonance theor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97, 231-240. 

  40. Kim, M., Lee, S. M., Choi, S., & Kim, S. Y. (2021). Impact of visual information on online consumer review behavior: Evidence from a hotel booking website.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60, 102494. 

  41. Liang, Y. J. (2016). Reading to make a decision or to reduce cognitive dissonance? The effect of selecting and reading online reviews from a post-decision contex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4, 463-471. 

  42. Mitra, S., & Jenamani, M. (2020). OBIM: A computational model to estimate brand image from online consumer review.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14, 213-226. 

  43. Sadiku, L. M. (2015). The importance of four skills reading, speaking, writing, listening in a lesson hour. European Journal of Language and Literature, 1(1), 29-31. 

  44. Scott, K. (2021). You won't believe what's in this paper! Clickbait, relevance and the curiosity gap. Journal of pragmatics, 175, 53-66. 

  45. Taddicken, M., & Wolff, L. (2020). 'Fake News' in science communication: emotions and strategies of coping with dissonance online. Media and Communication, 8(1), 206-217. 

  46. Wijayaa, O., Sulistiyanib, S., Pudjowatic, J., Kurniasih, N., & Purwanto, A. (2021). The role of social media marketing, entertainment, customization, trendiness, interaction and word-of-mouth on purchase intention: An empirical study from Indonesian smartphone consumers. International Journal of Data and Network Science, 5(3), 231-238. 

  47. Gil de Zuniga, H., Barnidge, M., & Diehl, T. (2018). Political persuasion on social media: A moderated moderation model of political discussion disagreement and civil reasoning. The Information Society, 34(5), 302-3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