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사선학 전공 학생의 비대면 전공 실습 수업에 대한 학습효과와 만족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Learning Effect and Satisfaction of Practical Classes for Students Majoring in Radiology in a Non-face-to-face Class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6 no.7, 2022년, pp.995 - 1006  

강성진 (안산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방사선학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온라인 환경에서의 실습 교과 운영 현황과 학습 효과, 학생들의 경험과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현재 비대면 환경에서의 학습 참여실태, 학습 만족도, 학습 성과, 개선 및 요구사항의 5개 영역 총 3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5단계 또는 5점 척도로 구조화된 응답 방식과 응답자 본인의 의견을 반영하는 개방형 답변방식을 입력하는 혼합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설문 응답에 대한 분석은 각 항목에 대한 응답 빈도와 비율, 척도 등을 빈도 분석하였고, 설문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바탕으로 비대면 학습 참여실태, 학습 성과, 학습 만족도를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이용한 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개선 및 요구사항은 동일한 의미를 가진 단어의 빈도를 질적 분석하였다. 총 397개의 설문 응답을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학습 참여 실태 응답 항목 중에서는 비대면 실습수업 시 집중도를 묻는 항목은 3학년 학생들에게서 수업 집중도가 높아지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p=0.00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학습 성과는, 1학년과 3학년 학생에서 비대면 실습수업으로 인한 학습 성과 저하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1학년 p=0.012, 3학년 p=0.02), 특히 3학년 학생들의 경우 대면 실습 대비 비대면 실습수업의 효과 비율이 50% 이하라고 응답하는 경향이 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01). 통학 소요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비대면 실습수업에 대해 학습 성과 향상으로 응답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었다(p=0.032). 다른 항목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p>0.05). 설문 결과를 통해 향후 비대면 환경에서의 실습수업의 설계 및 개발의 방향성과 효율적 운영에 대한 기초 정보와 효과에 대한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효율적인 비대면 실습수업 운영에 대한 고민과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practical course operation in a non-face-to-face online environment, learning effects, and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for radiology major students using a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34 items in 5 ar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방사선학 전공 대학생들의 비대면 수업환경에서의 실습 교과 이수와 관련된 주관적 경험과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학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온라인 환경에서의 실습 수업 운영 현황과 학습 효과, 학생들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비대면 환경에서의 실습 수업의 설계 및 개발의 방향성과 효율적 운영에 대한 기초 정보와 효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코로나-19의 유행 이전에는 이론 수업 분야에서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한 자기주도 학습의 가능성이 다양한 연구를 통해 검증되었지만, 온라인 환경에서의 실습 수업 분야에 대한 효과 및 가능성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내 소재한 일부 방사선학과의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환경에서 경험하고 있는 실습 수업의 학습 효과와 만족도에 대하여 설문을 통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W. B. Patterson, D. E. Craven, D. A. Schwartz, E.?World Health Organization. Coronavirus Disease?(COVID-19) Timeline: WHO's COVID-19 response.?World Health Organization [cited 2020 Mar. 11].?https://www.who.int (accessed Jan. 03, 2021) 

  2. J. W, Choi, "A study on the corelation between?COVID-19 onset, diagnostic test timing and inpatient?care perio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Seoul, Korea, pp. 8-11, 2020 

  3. H. C. Song, "New Normal Era; Necessity of Untact?Solution and Business Continuity Plan(BCP)", The?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Vol. 47, No, 6, pp. 37-41, 

  4. H. K. Park, "Untact?", MARKETING, Vol. 53, No.?8, pp. 30-42. 2019. 

  5. Y. I. Bae, H. R. Shin, "COVID-19, Accelerates the?untact society", ISSUE & ANALYSIS, No. 416, pp.?1-26, 

  6. I. S. Jung, J. H. Leem, "A Comparative Analysis of?Costs and Effectiveness of Web-based Virtual?Education and Radio-based Distance Education",?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17, No. 1,?pp. 131-163. 2001.?https://doi.org/10.17232/KSET.17.1.131 

  7. J. W. Do, "An Investigation of Design Constraints in?the Process of Converting Face-to-face course into?Online Course",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Vol.?26 No. 2, pp. 153-173, 2020.?https://doi.org/10.24159/joec.2020.26.2.153 

  8. M. H. Ryu, J. E. Jung, "A Research on Perception?of Freshmen College Students about the Online?Classes in Teac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South-Korea", The Journal of Educational?Development, Vol. 40, No.2, pp. 309-329, 2020.?https://doi.org/10.34245/jed.40.2.309 

  9. C. S. Lim, A. R. Cho, Y. R. Hur, S. Y. Cho, "A goodness of fit and validity study of the Korean?radiological technologists' core job competency?model",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Technology. Vol. 47, No. 3 pp. 469-484, 2017.?https://doi.org/10.17946/JRST.2017.40.3.15 

  10. J. Rhie, "How the Quality of On-line Contents?Influence Learning Attitudes: Effectiveness of?Conducting Off-line Lectures at a Cyber University",?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9, No. 10,pp. 492-499, 2009.?https://doi.org/10.5392/JKCA.2009.9.10.492 

  11. H, S. Jung, "Effects of Self-Directedness, Task?Value, and Learning Types on Learner Satisfaction?and Achievement", Dept. of Educational Technology,?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University, pp. 49-54, 2005. 

  12. S. M, Kim, "Analysis of press articles in Korean?media on online education related to COVID-19",?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21, No. 6,?pp. 1091-1100, 2020.?https://doi.org/10.9728/dcs.2020.21.6.1091 

  13. M. E. Kim, M. J. Kim, Y. I. Oh, S. Y. Jung, "The?Effect of Online Substitution Class Cuased by?Coronavirus(COVID-19) on the Learning Motivation,?Instructor-Learner Interaction, and Class Satisfaction?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20, No. 17, pp.?519-541, 2020.?http://dx.doi.org/10.22251/jlcci.2020.20.17.51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