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priori 알고리즘을 활용한 학습자의 성별과 학교급에 따른 온라인 수업 유형 선호도 분석
An analysis of students' online class preference depending on the gender and levels of school using Apriori Algorithm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20 no.1, 2022년, pp.33 - 39  

김진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  황두희 (천안과학산업진흥원) ,  이상숙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습자 특성(성별 및 학교 급)에 따른 온라인 수업 유형 선호도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 17개 지역의 초·중·고등학교 학생 4,8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유효데이터인 4,524명 학생들의 성별 및 학교급을 기반한 온라인 수업 유형 선호도 패턴을 확인하기 위해 Apriori 알고리즘을 이용한 연관규칙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초등 7개, 중등 4개, 고등 5개 등 총 16개의 규칙을 도출하였으며, 학교급과 무관하게 여학생들은 메이커활동 중심 수업을, 초·중 남학생은 가상체험중심 수업을 공통적으로 선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초등학교 남학생은 SW중심수업을, 여학생은 메이커활동 중심 수업을 선호하였으며, 중학생의 경우 남여 모두 가상체험중심 수업을 선호하였다. 반면 고등학생은 교과별 강의중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습의 주체자인 학생이 가진 온라인 수업의 요구를 설명하는 실증적 근거로서 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향후 온라인 수업의 다각화를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 탐색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온라인 수업 활동 및 모델 설계, 온라인 수업을 지원하는 플랫폼 개발, 여학생의 이공계 진로동기 형성과정에 대한 심층적 분석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nline class preference depending on students' gender and school level. To achieve this aim,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n 4,80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17 regions nationwide. The valid data of 4,524 were then analyzed using the Apriori al...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26)

  1. H. J. Park & C. S. Joo. (2020). An exploration of elementary students level of satisfaction with online EFL instruction.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3(2), 339-358. 

  2. H. Jung. (2020).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overall implementation of online classes and testing during the Corona 19 pandemic.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3(3), 392-412. DOI : 10.17232/KSET.36.3.745 

  3. S. Kwon. (2020). Exploring the online class expereince and perception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in Corona era.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6, 745-774. DOI : 10.17232/KSET.36.3.745 

  4. S. Han & G. Lee. (2020). Instructors' Perception of Synchronous Online Classes: A Case Study iof a University. Culture and Convergence, 42(7), 395-418. DOI : 10.33645/cnc.2020.07.42.7.395 

  5. S. H. Kwon. (2021). A study on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e and the preference of online class type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1), 1023-1046. DOI : 10.22251/jlcci.2021.21.1.1023 

  6. H. N. Kim. (2021). Study on Lecture Satisfaction and Learning effect according to the Type of Distance Class due to COVID-19 of teacher's college: Focusing on Video production Class and Real-time video Clas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2), 169-193. DOI : 10.22251/jlcci.2021.21.2.169 

  7. S. H. Lee. (2001). Teaching methodology. Seoul: Hakjisa Publishing. 

  8. I. S. Lee. (1999). An Analysis of Learners' Perspectives and Learning Styles in a Web-based Environment Mixed with a Traditional Classroom.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5(1), 197-213. DOI : 10.17232/KSET.15.1.197 

  9. S. C. Lee & J. A. Kim. (2018). Factors that affect student satisfaction with online course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 36(2), 115-138. DOI : 10.22553/keas.2018.36.2.115 

  10. S. B. Lee, S. J. Chang & H. K. Jang. (2012). Exploring influential factors on learning achievement of e-Learning learners. Media & Education, 2(1), 1-35. 

  11. H. Jho. (2018). Exploration of Predictive Model for Learning Outcomes of Students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by Using Machine Learn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21), 553-572. DOI : 10.22251/jlcci.2018.18.21.553 

  12. G. G. Lee, H. Ha, H. G. Hong & H. B. Kim. (2018). Exploratory Research on Automating the Analysi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Using Machine Learning. Journal of thet Korean Association for Scinece Education, 38(2), 219-234. DOI : 10.14697/jkase.2018.38.2.219 

  13. H. Yang. (2019).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in the First Year of University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20), 625-645. DOI : 10.22251/jlcci.2019.19.20.625 

  14. R. Srikant & R. Argrawal (1997). Mining generalized association rules. Future Generation Computer Systems, 13(2-3), 161-180. 

  15.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20). Analysi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online education experience: Focusing on the results of basic statistic. Daegu: KERIS. 

  16. J. S. Oh & C. Y. Sim. (2020). Primary English online class: Overcoming obstacles to success and remaining challenges. Primary Eenglish Education, 26(3), 203-228. DOI : 10.25231/pee.2020.26.3.203 

  17. Y. Jung & J. Seo. (2020). The direction of online class in the untact era. Daegu: KERIS. 

  18. H. M. Che & D. Lee. (2021). Exploring Secondary Teacher's Experience of Distance Learning due to COVID-19.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6), 1047-1071. DOI : 10.22251/jlcci.2020.20.16.1047 

  19. R. Agrawal, & R. Srikant. (1994, September). Fast algorithms formining association rules, Proceedings of the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Very Large Data Bases. (pp.481-499), Santiago. 

  20. H. J. Kim & J. Y. Chang. (2011). Discovering News Keyword Associations Using Association Rule Mining.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11(6), 63-71. 

  21. P. Lee., Y. M., ParK., & Y. R. Choi. (2013). The Implementation of Association Rule to analyze of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in shipyard, Proceedings of the Society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Conference, (pp.117-122), Seoul. 

  22. Y. S. Jeong., T. Lim., & J. Ryu. (2021). The Effects of Spaital Mobility on Metaverse Based Online Class on Learning Presence and Interest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7(3), 1167-1188. DOI : 10.15833/KAFEIAM.27.3.1167 

  23. J. Kwon., M. Kim., S. Lee., K. Yoo., J. Choi., H. Kim., & S. Shin. (2020). Exploring the status and direction of improvement of online class in K-12 schools in response to COVID-19. Chungbuk: KICE. 

  24. M. Jin & H. Yoon. (2002). The Avoidan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by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Korea. Sejong: KRIVET 

  25. N. R. Lee & H. S. Lee. (2019). The structural relations of engineering students' percevied career barrier, engineering self-efficacy and acadmiec persistence across gender. Youth Research, 26(8), 234-258. DOI : 10.21509/KJYS.2019.08.26.8.231 

  26. M. Jin & H. Yoon. (2002). The 4th basic plan for fostering and supporitng women professionals in sciecne and technology (2019~2023). Sejong: Ministry of Science and ICT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