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림교육전문가를 위한 심리학 기반 자연탐구역량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the Psychology-based Curriculum for Enhancing Naturalistic Competency in the Forest Education-related Exper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3 no.1, 2022년, pp.417 - 424  

김근향 (대구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산림교육전문가들이 자연(숲)과 사람(방문객)을 매개하는 연결자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심리학 기반 자연탐구역량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자연에서 자신의 감각과 정서를 자각하고 명명하며 자연 관련 기억과 자연탐구지능을 발굴하여 자연에서 몰입하고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를 활성화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즐거운 생활, 슬기로운 생활, 의미있는 생활의 3개로 구성된 교육과정을 고안하였다. 전문가 자문을 통해 보완한 교육과정에 따라 구성한 교육을 산림교육전문가의 직무교육으로 시행하고 참가자를 대상으로 이해도와 활용 가능성 등을 조사하여 수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자연탐구역량을 정서, 인지, 실천의 3개 영역의 심리학적 개념으로 구성한 교육과정을 완성하였다. 향후 지속적 평가를 통해 본 교육과정을 발전시켜 산림교육전문가들이 자연탐구역량을 강화하여 향상된 산림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sychology-based naturalistic competency curriculum so that forest-related experts could fully play the role of a mediator between nature(forest) and human(visitors). The curriculum was designed in three parts: a pleasant life, a wise life, and a meaningf...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21)

  1. H. B. Lim. (2020. 11. 30.). Aging tress,.. forest also needs a 'gerneration change'. Korean Economy.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0113074351 

  2. Act No. 17171. (2020). Welfare Promotion Act. 

  3. Act No. 153993. (2018). Act on Vitalization of Forest Education 

  4. Act No. 17421. (2020) Forest Culture and Recreation Act. 

  5. J. H. Lee, J. A. Ververka, & Y. J. Lim. (2014). The Basics of Forest Interpretation for Nurturing and Training Forest-related Experts, Paju: Korean Academic Information. DOI : 10.978.89268/61493 

  6. F. Tilden. (1957). Interpreting our heritage. Chapel Hill: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7. Y. G. Yoon et al. (2018). Understanding Forest Welfare, Daejeon: Korea Forest Welfare Promotion Agency. DOI : 10.979.11962337/16 

  8. J. H. Lee, S. D. La, G. J. Joe, J. A. Ververka & Y. J. Lim. (2013). Workbook of Forest Interpretation for Nurturing and Training Forest-related Experts, Paju: Korean Academic Information. DOI : 10.978.89268/54464 

  9. S. Ha, M. Eom & Y, Lee. (2015). The Influence of the Forest Interpreters' Job Demands on Job Burnout and Job Engagement.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19(4), 99-107. 

  10. S. Park, C. Shin, P. Yeoun, S. Ha & J. Son. (2013). The Participated Motivation of the Forest Interpreters and the Satisfaction Analysis of the Job Training Process.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17(3), 11-18. DOI : 10.34272/FOREST.2013.17.3.002 

  11. H. Gardner. (1993). Multiple intelligences: The theory in practice. New York: Basic Books. 

  12. W. James. (2011). 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 A Study in Human natur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 : 10.1017/CBO9781139149822 

  13. A. Chiesura. (2004). The Role of Urban Parks for the Sustainable Ci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8(1), 129-138. DOI : 10.1016/j.landurbplan.2003.08.003 

  14. A. H. Maslow, (1987).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Harper and Row. 

  15. M. Csikszentmihalyi. (1990). Flow: the psychological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Basic Books. 

  16. K. Williams& D. Harvey. (2001). Transcendent Experience in Forest Environ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1(3), 249-260. DOI : 10.1006/jevp.2001.0204 

  17. L. M. Fredrickson & D. H. Anderson. (1999).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the Wilderness Experience as a Source of Spiritual Inspir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9(1), 21-39. DOI : 10.1006/jevp.1998.0110 

  18. M. E. Raichle, A. M. Macleod, A. Z. Snyder, W. J. Powers, D. A. Gusnard, & G. L. Shulman. (2001). A default mode of brain func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98(2), 676-682. DOI : 10.1073/PNAS.98.2.676 

  19. R. Kaplan & S. Kaplan. (1989).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T. Beatly. (2016). Handbook of Biophilic City Planning and Design. Washington: Island press. DOI : 10.5822/978-1-61091-621-9 

  21. F. Williams. (2017). The Nature Fix: Why Nature Makes Us Happier, Healthier, and More Creative. Nova York: W.W. Norton & C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