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수침투 해석해 기반 제주 동부 담해저 지하수 유출의 정량적 산정
Assessment of a fresh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in eastern Jeju Island using analytic seawater intrusion model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5 no.12, 2022년, pp.1011 - 1020  

장선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본부) ,  김일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 해저 지하수 유출의 진단은 국지적으로 많은 양의 해안 유출이 관측되는 곳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넓은 영역을 대상으로 해안선을 따라 유출되는 유역 규모의 해저 지하수 유출 진단은 지금까지 국내를 대상으로 연구되어온 적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 동부 지역을 대상으로 해수 침투 진단 및 예측에서 널리 사용되는 해석학적 모형을 기반으로 해저 지하수 유출을 유역별 또는 지역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해저 지하수 유출 진단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 방법으로 제안하는 해저 지하수 유출 진단 모형은 이론적으로 개념화된 기존의 해수 침투 경계면 기반 해석식을 발전시켰다. 다수의 관측 지하수위 및 수리 지질학적 자료를 해석식의 입력값으로 활용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유량 평균 유출 산정식과 단면 평균 유출 산정식으로 구분되는 담해저 지하수 유출량 산정 방법이다. 모형 개발을 위하여 해수 침투의 해석학적 모형의 개념 응용 및 수정, 기존에 보고된 제주 동부의 국지적 해저 지하수 유출 진단 결과를 활용한 보정 및 검증 등을 포함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성산 유역의 담해저 지하수 유출은 함양량의 약 2.65%에서 9.15%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학적 해수침투 모델이 결합된 유역 규모의 해안 유출수의 정량적 평가를 최초로 확립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인 해안지역 수자원 관리 방안 수립에 대한 과학적 분석 방법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vious studies for the assessment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were perfomed for areas where a large amount of SGD was observed. Newly developed assessment methods were proposed that was based on an analytic solution using sharp interface model. The proposed mathematical equations used...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24)

  1. Chang, S.W., and Clement, T.P. (2013). "Laboratory and numerical?investigation of transport processes occurring above and within?a saltwater wedge" Journal of Contaminant Hydrology, Vol. 147,?pp. 14-24. 

  2. Chang, S.W., Chung, I.M., Kim, M.G., Tolera, M., and Koh, G.W.?(2019). "Application of GALDIT in assessing the seawater?intrusion vulnerability of Jeju Island, South Korea." Water,?Vol. 11, No. 9, 1824. 

  3. Chang, S.W., Chung, I.-M., Kim, M.-G., and Yifru, B.A. (2020).?"Vulnerability assessment considering impact of future ground-water exploitation on coastal groundwater resources in north-eastern Jeju Island, South Korea." Environmental Earth Sciences,?Vol. 79, No. 22, pp. 1-17. 

  4. Chesnaux, R., and Allen, D. (2008). "Groundwater travel times for?unconfined island aquifers bounded by freshwater or seawater."?Hydrogeology Journal, Vol. 16, pp. 437-445. 

  5. Destouni, G., and Prieto, C. (2003). "On the possibility for generic?modeling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Biogeochemistry,?Vol. 66, No. 1, pp. 171-186. 

  6. Freeze, R.A., and Witherspoon, P.A. (1967). "Theoretical analysis of?regional groundwater flow: 2. Effect of water-table configuration and subsurface permeability variation." Water Resources?Research, Vol. 3, No. 2, pp. 623-634. 

  7. Ghyben, W. B. (1888) Nota in Verband met de voorgenomen?putboring Nabij Amsterdam, Tijdschrift van het Kononklijk?Instituut van Ingenieurs, The Hague, Netherlands, pp. 8-22. 

  8. Hem, J.D. (1985). Study and interpretation of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water (Vol. 2254). Department of the?Interior, US Geological Survey, Washington, D.C., U.S. 

  9. Herzberg, A. (1901). "Die Wasserversorgung einiger Nordseebader."?Journal fur Gasbeleuchtung und Wasserversorgung, Vol. 44,?815-819, pp. 842-844. 

  10. Jeju Province (2013). Water resources management plan in Jeju?Province 2013-2022. p. 59. 

  11. Johannes, R.E. (1980). "The ecological significance of the submarine?discharge of groundwater."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Vol. 3, No. 4, pp. 365-373. 

  12. Kang, K.-m., Kim, D.-j., Kim, Y., Lee, E., Kim, B.-G., Kim, S.H., Ha,?K., Koh, D.-C., Cho, Y.-K., and Kim, G. (2019). "Quantitative?estimation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using airborne?thermal infrared data acquired at two different tidal heights."?Hydrological Processes, Vol. 33, pp. 1089-1100. 

  13. Korea Institute of Geosciencs and Mineral Resources (KIGAM)?(2015). Assessment of mass exchange in hydrospheric interface?through eco-hydrogeological technologies. GP2013-021-2015. 

  14. Lee, E., Kang, K.-m., Hyun, S.P., Lee, K.-Y., Yoon, H., Kim, S.H.,?Kim, Y., Xu, Z., Kim, D.-j., and Koh, D.-C. (2016a).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revealed by aerial thermal?infrared imagery: A case study on Jeju Island, Korea." Hydrological Processes, Vol. 30, pp. 3494-3506. 

  15. Lee, E., Shin, D., Hyun, S., Ko, K.-S., Moon, H., Koh, D.-C., Ha, K.,?and Kim, B.-Y. (2017). "Periodic change in coastal microbial?community structure associated with submarine groundwater?discharge and tidal fluctuation: Changes in coastal microbial?community." Limnology and Oceanography, Vol. 62, No. 2,?pp. 437-451. 

  16. Lee, E., Yoon, H., Hyun, S.P., Burnett, W.C., Koh, D.-C., Ha, K.,?Kim, D.-j., Kim, Y., Kang, K.-m. (2016b). "Unmanned aerial?vehicles (UAVs)-based thermal infrared (TIR) mapping, a?novel approach to assess groundwater discharge into the?coastal zone." Limnology and Oceanography: Methods, Vol.?14, pp. 725-735. 

  17. Li, L., Barry, D.A., Stagnitti, F., and Parlange, J.Y., (1999).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and associated chemical input?to a coastal sea."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5, No. 11,?pp. 3253-3259. 

  1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LIT) (2015). Water?cycle analysis and establishment of water resources infrastructure in Jeju Island. 

  19. Moore, W.S. (1996). "Large groundwater inputs to coastal waters?revealed by 226Ra enrichments." Nature, Vol. 380, No. 6575,?pp. 612-614. 

  20. Robinson, C., Li, L., and Prommer, H., (2007). Tide-induced recirculation across the aquifer-ocean interface. Water Resources?Research, Vo. 43, No. 7, W07428. 

  21. Smith, A.J. (2004). "Mixed convection and density-dependent sea-water circulation in coastal aquifers." Water Resources Research,?Vol. 40, No. 8, W08309. 

  22. Taniguchi, M., Burnett, W.C., Cable, J.E., and Turner, J.V. (2002).?"Investigation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Hydrological?Processes, Vol. 16, pp. 2115-2129. 

  23. Werner, A.D., and Simmons, C.T. (2009). "Impact of sea-level rise?on sea water intrusion in coastal aquifers." Groundwater,?Vol. 47, pp. 197-204. 

  24. Younger, P.L. (1996).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Nature,?Vol. 382, No. 6587, pp.121-12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