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폐광지역 산업도시의 도시축소양상과 도시공간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석탄산업합리화조치에 따른 폐광지역 축소도시에 대한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Urban Spatial Policy for the Industrial Cities in Abandoned Mining Are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of Urban Shrinkage - A Case Study on Shrinking Cities in Abandoned Mining area by the Coal Industry Rationalization Policy 원문보기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42 no.1, 2022년, pp.135 - 144  

지은희 (홍익대학교 도시계획과) ,  한동규 (홍익대학교 도시계획과) ,  정찬구 (홍익대학교 도시계획과) ,  강준모 (홍익대학교 도시계획과)

초록

이 논문은 폐광지역진흥지구가 지정된 4개의 사례도시를 대상으로 최근 20년간 도시축소 유형을 분석하고 도시축소 실태분석을 통해 향후 도시공간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근 20년간의 1년 단위 도시축소유형 분석결과, 사례도시 모두 고착형 축소도시로 분석되었으며 최근 40년간 정점인구 대비 30 % 이상의 인구감소를 나타냈다. 공간구조적으로는 인구감소에도 불구하고 시가화면적과 비도시지역의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면적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비도시지역의 개발행위허가 및 건축허가도 증가추세에 있어 도시공간의 효율적 관리와 운영이 필요하다. 향후 소멸 고위험단계에 있는 군급 도시에 대한 연구와 도시축소 유형의 세분화 및 유형별 실태분석을 위한 다양한 지표의 개발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ed to analyze the type of urban shrinkage over the past 20 years for four case cities designated as abandoned mining area promotion zones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urban spatial policies through the analysis of shrinking statu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urban shrinkage in...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21)

  1. Comen, E., Sauter, M. B., Stebbins, S. and Frohlich, T. (2017). America's fastest shrinking cities, 24/7 Wall St., Available at: http://247wallst.com/special-report/2017/03/23/americas-fastestshrinking-cities-4 (Accessed: March 23, 2017). 

  2. Hollstein (2014). Planning decisions for vacant lots in the context of shrinking cities: A survey and comparison of practices in the united states, Ph.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Austin, USA. 

  3. Jang, M. H., Lee, M. S. and Kim, H. H. (2016).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ecline indicators for supporting urban regeneration policy in provincial metropolises."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Vol. 50, No. 4, pp. 455-473 (in Korean). 

  4. Jo, J. H., Hwang, H. Y. and Lee, D. G. (2010). "Levels of depressed cities and classif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Vol. 44, No. 1, pp. 35-50 (in Korean). 

  5. Jun, B. H., Lee, M. H. and Ok, S. M. (2008). "The regional classification of spatial characteristics by the growth and decline in Seoul metropolita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3, No. 5, pp. 153-164 (in Korean). 

  6. Kim, G. J. (2010). "Causes and consequences of urban decline in Korean citie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Vol. 13, No. 2, pp. 43-58 (in Korean). 

  7. Kim, S. H. (2019). A study on population decline and changes in the population structure in shrinking cities, Master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in Korean). 

  8. Koo, H. S., Kim, T. H., Lee, S. W. and Min, B. S. (2016). Urban shrinkage in Korea: Current status and policy implication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in Korean). 

  9. Lee, H. Y., Shim, J. H. and Noh, S. C. (2010). "The features of the intra-urban decline and its spatial pattern in Korean citie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Vol. 13, No. 2, pp. 13-26 (in Korean). 

  10. Lee, S. H. (2016). Seven analyses on the extinction of local cities in Korea,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Local Employment Trend Brief, 2016 spring, pp. 1-17 (in Korean). 

  11.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NARS) (1987). OECD empire's urban regeneration policy, National Assembly Library, Seoul, Korea (in Korean). 

  12. Oswalt, P. and Rieniets, T. (2006). Atlas of shrinking cities, Hatje Cantz, Stuttgart, Deutschland. 

  13. Pallagst, K. (2009). "Shrinking citie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ree cases, Three planning stories." The Future of Shrinking Cities, Vol. 1, pp. 81-88. 

  14. Schilling, J. and Logan, J. (2008). "Greening the rust belt."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 74, No. 4, pp. 451-466. 

  15. Stryjakiewicz, T. (2013). "The process of urban shrinkage and its consequences." Romanian Journal of Regional Science, Vol. 7, pp. 29-40. 

  16. Sung, E. Y., Lim, Y. K., Sim, K. M. and Yoon, Z. S. (2015) . "Shrinking smart: Strategies and planning for revitalization of shrinking communities." Journal of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in Korean). 

  17. Wang, K. S. and Immergluck, D. (2018). "The geography of vacant housing and neighborhood health disparities after the US foreclosure crisis." Cityscape, Vol. 20, No. 2, pp. 145-170. 

  18. Weon, G. H., Chae, S. J. and Song, C. S. (2010). Strategies to revitalizing shrinking cities in a population-declining era: Through the small-and medium-sized cities of Korea, Chungbuk Research Institute (in Korean). 

  19. Wiechmann, T. and Wolf, M. (2013). "Urban shrinkage in a spatial perspective: Operationalization of shrinking cities in Europe 1990-2010." Association of European Schools of Planning, AESOP-ACSP Joint Congress Seminar, Dublin. 

  20. Yim, S. H. (2018). "Types of depopulated cities and their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Vol. 52, No. 1, pp. 65-84 (in Korean). 

  21. Yoon, B. H. (2017).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model of urban growth stage considering urban growth factors based on the connectivity between core and periphery,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