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악 편측 소수 잔존치를 갖는 환자에서 임플란트 지지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증례
A case of implant-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n a patient with mandibular unilateral residual tooth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60 no.1, 2022년, pp.19 - 28  

박지산 (중앙보훈병원 치과보철과) ,  이근우 (중앙보훈병원 치과보철과) ,  이용상 (중앙보훈병원 치과보철과) ,  방주혁 (중앙보훈병원 치과보철과) ,  장희원 (중앙보훈병원 치과보철과) ,  김성아 (중앙보훈병원 치과보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철성 국소의치에서 지대치는 국소의치의 지지, 유지, 안정에 필수적으로, 기능적인 의치 제작의 중요한 요소이다. 치주적으로 건전한 지대치가 충분하고 양측으로 위치할 경우 기능적인 의치 제작이 용이 하겠지만, 지대치가 부족하거나 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생역학적으로 불리하여 기능적인 의치를 만들기가 상대적으로 어렵다. 한편, 최근에는 임플란트 서베이드 크라운을 이용해 지지, 유지, 안정 세 요소를 보강하는 임플란트 지지 국소의치가 치료 계획으로 많이 선택되고 있다. 특히, 소수 잔존치만 남은 경우에 임플란트 서베이드 크라운을 추가함으로써 저작 능률, 심미, 환자의 편안감, 발음의 개선 등을 얻을 수 있다. 본 증례는 하악에 편측 소수 잔존 지대치를 갖는 환자에서 반대편 소구치부에 임플란트 서베이드 크라운을 추가하여 양측성 후방연장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지대치의 비대칭성을 해소하였고,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하는 결과를 얻었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movable partial dentures, abutment teeth are essential for support, maintenance, and stability of partial dentures, and are an important factor in the fabrication of functional dentures. If the number of periodontally sound abutments is sufficient and they are located on both sides, it will be ...

주제어

참고문헌 (19)

  1. De Kok IJ, Cooper LF, Guckes AD, McGraw K, Wright RF, Barrero CJ, Bak SY, Stoner LO. Factors influencing removable partial denture patient-reported outcomes of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a systematic review. J Prosthodont 2017;26:5-18. 

  2. Eckert SE, Wollan PC. Retrospective review of 1170 endosseous implants placed in partially edentulous jaws. J Prosthet Dent 1998;79:415-21. 

  3. van Steenberghe D, Lekholm U, Bolender C, Folmer T, Henry P, Herrmann I, Higuchi K, Laney W, Linden U, Astrand P. Applicability of osseointegrated oral implants in the rehabilitation of partial edentulism: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on 558 fixture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0;5:272-81. 

  4. Grossmann Y, Nissan J, Levin L. Clinical effectiveness of implant-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trospective case evaluation. J Oral Maxillofac Surg 2009;67:1941-6. 

  5. Mijiritsky E. Implants in conjunction with removable partial dentures: a literature review. Implant Dent 2007;16:146-54. 

  6. Bortolini S, Natali A, Franchi M, Coggiola A, Consolo U. Implant-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an 8-year retrospective study. J Prosthodont 2011;20:168-72. 

  7. Mitrani R, Brudvik JS, Phillips KM. Posterior implants for distal extension removable prostheses: a retrospective study.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2003;23:353-9. 

  8. Bae EB, Kim SJ, Choi JW, Jeon YC, Jeong CM, Yun MJ, Lee SH, Huh JB. A clinical retrospective study of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implant surveyed bridge or stud type attachment. Biomed Res Int 2017;2017:7140870. 

  9. Kang SH, Kim SK, Heo SJ, Koak JY. Survival rate and clinical evaluation of the implants in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surveyed crown and overdenture. J Adv Prosthodont 2020;12:239-49. 

  10. Pellecchia M, Pellecchia R, Emtiaz S. Distal extension mandibular removable partial denture connected to an anterior fixed implant-supported prosthesis: a clinical report. J Prosthet Dent 2000;83:607-12. 

  11. Park JM, Koak JY, Kim SK, Joo JH, Heo SJ. Consideration for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implant. Implantology 2015;19:104-11. 

  12. Yoo SY, Kim SK, Heo SJ, Koak JY, Jeon HR. Clinical performance of implant crown 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for mandibular edentulism-a retrospective study. J Clin Med 2021;10:2170. 

  13. Oh YK, Bae EB, Huh JB. Retrospective clinical evaluation of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combined with implant surveyed prostheses. J Prosthet Dent 2021;126:76-82. 

  14. Shue L, Miron RJ, Yufeng Z. Review of implant support for the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JSM Dent Surg 2016;1:1007. 

  15. Mendonca JA, Francischone CE, Senna PM, Matos de Oliveira AE, Sotto-Maior BS. A retrospective evaluation of the survival rates of splinted and non-splinted short dental implants in posterior partially edentulous jaws. J Periodontol 2014;85:787-94. 

  16. Chikunov I, Doan P, Vahidi F. Implant-retained partial overdenture with resilient attachments. J Prosthodont 2008;17:141-8. 

  17. Zitzmann NU, Rohner U, Weiger R, Krastl G. When to choose which retention element to use for removable dental prostheses. Int J Prosthodont 2009;22:161-7. 

  18. Ramchandran A, Agrawal KK, Chand P, Ramashanker, Singh RD, Gupta A.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An approach to switch Kennedy Class I to Kennedy Class III. J Indian Prosthodont Soc 2016;16:408-11. 

  19. Kuzmanovic DV, Payne AG, Purton DG. Distal implants to modify the Kennedy classification of a removable partial denture: a clinical report. J Prosthet Dent 2004;92:8-1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