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파수 영역 심층 신경망 기반 음성 향상을 위한 실수 네트워크와 복소 네트워크 성능 비교 평가
Performance comparison evaluation of real and complex networks for deep neural network-based speech enhancement in the frequency domain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41 no.1, 2022년, pp.30 - 37  

황서림 (연세대학교 지능형신호처리연구실) ,  박성욱 (강릉원주대학교 전자공학과) ,  박영철 (연세대학교 지능형신호처리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주파수 영역에서 심층 신경망 기반 음성 향상 모델 학습을 위하여 학습 대상과 네트워크 구조에 따라 두 가지 관점에서 성능을 비교 평가한다. 이때, 학습 대상으로는 스펙트럼 매핑과 Time-Frequency(T-F) 마스킹 기법을 사용하였고 네트워크 구조는 실수 네트워크와 복소 네트워크를 사용하였다. 음성 향상 모델의 성능은 데이터 셋 규모에 따라 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PESQ)와 Short-Time Objective Intelligibility(STOI) 두 가지 객관적 평가지표를 통해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네트워크의 종류와 데이터 셋 종류에 따라 적정한 훈련 데이터의 크기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데이터의 크기와 학습 대상에 따라 복소 네트워크보다 실수 네트워크가 비교적 높은 성능을 보이기 때문에 총 파라미터의 수를 고려한다면 경우에 따라 실수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해결책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compares and evaluates model performance from two perspectives according to the learning target and network structure for training Deep Neural Network (DNN)-based speech enhancement models in the frequency domain. In this case, spectrum mapping and Time-Frequency (T-F) masking techniques ...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15)

  1. A. Narayanan and D. Wang, "Ideal ratio mask estimation using deep neural networks for robust speech recognition," Proc. IEEE ICASSP. 7092-7096 (2013). 

  2. T. Gerkmann, M. Krawczyk-Becker, and J. Le Roux, "Phase processing for single-channel speech enhancement: History and recent advances," IEEE Signal Process. Mag. 32, 55-66 (2015). 

  3. H.-S. Choi, J-H Kim, J. Huh, A. Kim, J.-W. Ha, and K. Lee,"Phase-aware speech enhancement with deep complexu-net," Proc. ICLR. 2019. 

  4. S. A. Nossier, J. Wall, M. Moniri, C. Glackin, and N. Cannings, "Mapping and masking targets comparison using different deep learning based speech enhancement architectures," Proc. IJCNN. 1-8 (2020). 

  5. K. Paliwal, K. Wojcicki, and B. Shannon, "The importance of phase in speech enhancement," Speech Commun. 53, 465-494 (2011). 

  6. K. Tan and D. Wang, "Complex spectral mapping with a convolutional recurrent network for monaural speech enhancement," Proc. IEEE ICASSP. 6865-6869 (2019). 

  7. Y. Hu, Y. Liu, S. Lv, M. Xing, S. Zhang, Y. Fu, J. Wu, B. Zhang, and L. Xie, "Dccrn: Deep complex convolution recurrent network for phase-aware speech enhancement," Proc. Interspeech, 2472-2476 (2020). 

  8. S. Santurkar, D. Tsipras, A. Ilyas, and A. Madry, "How does batch normalization help optimization?," Proc. NeurIPS. 1-11 (2018). 

  9. C. K. Reddy, V. Gopal, R. Cutler, E. Beyrami, R. Cheng, H. Dybey, S. Matusevych, R. Aichner, A. Aazami, S. Braun, and J. Gehrke, "The interspeech 2020 deep noise suppression challenge: Dataset, subjective testing framework, and challenge results," arXiv preprint arXiv:2005.13981 (2020). 

  10. J. S. Garofolo, L. F. Lamel, W. M. Fisher, J. G. Fiscus, D. S. Pallett, N. L. Dahlgren, and V. Zue, "Timit acoustic phonetic continuous speech corpus," Linguistic Data Consortium (1993). 

  11. A. Varga and H. J. M. Steeneken, "Assessment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Ii. noisex-92: A database and an experiment to study the effect of additive noise on speech recognition systems," Speech commun. 12, 247-251 (1993). 

  12. E. Vincent, J. Barker, S. Watanabe, J. Le Roux, F. Nesta, and M. Matassoni, "The second 'chime'speech separation and recog-nition challenge: Datasets, tasks and baselines," Proc. IEEE ICASSP. 126-130 (2013). 

  13. J. Barker, R. Marxer, E. Vincent, and S. Watanabe, "The third 'chime' speech separation and recognition challenge: Dataset, taskand baselines," Proc. ISRU. 504-511 (2015). 

  14. A. W. Rix, J. G. Beerends, M. P. Hollier, and A. P. Hekstra, "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 (PESQ)-A new method for speech quality assessment of telephone networks and coders," Proc. IEEE ICASSP. 749-752 (2001). 

  15. C. H. Taal, R. C. Hendriks, R. Heusdens, and J. Jensen, "An algorithm for intelligibility prediction of time-frequency weighted noisy speech," IEEE Trans. on Audio, Speech, and Lang. Process. 19, 2125-2136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