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산용액에서 용매추출에 의한 코발트(II), 니켈(II) 및 구리(II) 분리
Separation of Co(II), Ni(II), and Cu(II) from Sulfuric Acid Solution by Solvent Extraction 원문보기

Resources recycling = 자원리싸이클링, v.31 no.1, 2022년, pp.21 - 28  

문현승 (목포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  송시정 (목포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  (목포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  이만승 (목포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폐리튬이온배터리를 고온에서 용융환원시키면 코발트, 니켈 및 구리 금속합금상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금속합금상으로부터 금속을 분리회수하기 위한 공정을 개발하기 위해 코발트, 니켈 및 구리 금속을 혼합한 금속혼합물을 3%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2 M 황산용액으로 침출하면 9.6%의 구리와 함께 코발트와 니켈이 모두 침출된다. 침출용액에서 Cyanex 301로 구리(II)가 선택적으로 추출되었으며, 30% 왕수로 구리(II)를 탈거했다. 구리가 분리된 여액에서 이온성액체인 ALi-SCN으로 Co(II)를 선택적으로 추출했으며, 15%의 암모니아용액으로 3단의 교차식 탈거를 통해 모두 탈거했다. 본 연구를 통해 코발트, 니켈 및 구리 금속혼합물의 황산침출액에서 용매추출로 세 금속을 분리할 수 있는 공정을 제안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melting reduction of spent lithium-ion batteries results in metallic alloys of cobalt, nickel, and copper. To develop a process to separate the metallic alloys, leaching of the metallic mixtures of these three metals with H2SO4 solution containing 3% H2O2 dissolved all the cobalt and nickel, to...

주제어

참고문헌 (19)

  1. Natarajan, S., Aravindan, V., 2018 : Burgeoning prospects of spent lithium-ion batteries in multifarious applications, Advanced Energy Materials, 8(33), pp.1-16. 

  2. Or, T., Gourley, S. W. D., Kaliyappan, K., et al., 2019 : Recycling of mixed cathode lithium-ion batteries for electric vehicles: Current status and future outlook, Carbon Energy, pp.6-43. 

  3. Shin, S. M., Kim, N. H., Sohn, J. S., et al., 2005 : Development of a metal recovery process from Li-ion battery wastes, Hydrometallurgy, 79, pp.172-181. 

  4. Yusupov, T. S., Isupov, V. P., Vladimirov, A. G., et al., 2015 : Analysis of Material Composition and Dissociation Potential of Minerals in Mine Waste to Assess Productivity of Lithium Concentrates, Journal of Mining Science, 51(6), pp.1242-1247. 

  5. Swain, B., Jeong, J., Lee, J. C., et al., 2008 : Development of process flow sheet for recovery of high pure cobalt from sulfate leach liquor of LIB industry waste: A mathematical model correlation to predict optimum operational conditions, 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ogy, 63(2), pp.360-369. 

  6. Reddy, R. G., Chaubal, P., Plstorius, P. C., et al., 2016 : Chemistry and Materials Science: Professional, The Minerals, Metals & Materials Society, 978-3-319-48769-4. 

  7. Li, J., Wang, G., Xu, Z., 2015 : Environmentally-friendly oxygen-free roasting/wet magnetic separation technology for in situ recycling cobalt, lithium carbonate and graphite from spent LiCoO 2 /graphite lithium batterie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302, pp.97-104. 

  8. Lv, W., Wang, Z., Cao, H., et al., 2017 : A Critical review and analysis on the recycling of spent Lithium-ion batteries, ACS Sustainable Chemistry & Engineering, 6(2), pp.1504-1521. 

  9. Xu, Jinqiu., Thomas, H. R., Francis, R. W., et al., B., 2008 : A review of processes and technologies for the recycling of lithium-ion secondary batteries, Journal of Power Sources, 177(2), pp.512-527. 

  10. Garcia, E. M., Taroco, H. A., Matencio, T., et al., 2012 : Electrochemical recycling of cobalt from spent cathodes of lithium-ion batteries: its application as supercapacitor, Journal of Applied Electrochemistry, 42, pp.361-366. 

  11. Garcia, E. M., Taroco, H. A., Matencio, T., et al., 2011 : Electrochemical recycling of cobalt from spent cathodes of lithium-ion batteries: its application as coating on SOFC interconnects, Journal of Applied Electrochemistry, 41, 1373. 

  12. Garcia, E. M., Santos, J. S., Pereira, E. C., et al., 2008 : Electrodeposition of cobalt from spent Li-ion battery cathodes by the electrochemistry quartz crystal microbalance technique, Journal of Power Sources, 185(1), pp.549-553. 

  13. Moon, H. S., Song, S. J., Tran, T. T., et al., 2021 : Leaching of Cobalt and Nickel from Metallic Mixtures by Inorganic and Organic Acid Solutions, Resources Recycling, 30(2), pp.53-60. 

  14. Tran, T. T., Moon, H. S., Lee, M. S., 2020 : Separation of Cobalt, Nickel, and Copper from Synthetic Metallic Alloy by Selective Dissolution with Acid Solutions Containing Oxidizing Agent, Mineral Processing and Extractive Metallurgy Review, pp.1-13. 

  15. Rybka, P., Regel-Rosocka, M., 2012 : Nickel and Cobalt Extraction from Chloride Solutions with Quaternary Phosphonium Salts, Separation Science and Technology, 47(9), pp.1296-1302. 

  16. Lee, S. A., Lee, M. S., 2019 : Selective Extraction of Cu(II) from Sulfuric Acid Leaching Solutions of Spent Lithium Ion Batteries Using Cyanex 301, Korean Journal of Metals and Materials, 57(9), pp.596-602. 

  17. Sole, K. C., Hiskey, J. B., 1995 : Solvent extraction of copper by Cyanex 272, Cyanex 302 and Cyanex 301, Hydrometallurgy, 37, pp.129-147. 

  18. Tran T.T., Moon H.S., Lee M.S., 2021 : Recovery of cobalt, nickel and copper compounds from UHT processed spent lithium-ion batteries by hydrometallurgical process, Mineral Processing and Extractive Metallurgy Review, pp.1-13. 

  19. Moon, H. S., Song, S. J., Tran, T. T., et al., 2020 : Solvent extraction separation of Co(II) and Ni(II) from weak hydrochloric acid solution with ionic liquids synthesized from organophosphorus acids, Resources Recycling, 30(2), pp.53-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