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시로 발생된 약시를 가진 소아에 대한 장기간 침 치료 1례
Amblyopia Derived from Astigmatism in a Child Improved by Long-term Acupuncture Treatment: A Case Report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35 no.1, 2022년, pp.58 - 62  

김준동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서광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김중호 (김중호한의원) ,  김봉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long-term acupuncture on a amblyopia derived from astigmatism. Methods : A 39-month-old-female child presented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with simple astigmatism and amblyopia in the left eye. She took long-term acupuncture treatment on...

주제어

표/그림 (2)

참고문헌 (9)

  1. Wallace DK, Repka MX, Lee KA, Melia M, Christiansen SP, Morse CL, et al. Amblyopia Preferred Practice Pattern. Ophthalmology. 2018;125(1):105-42. 

  2. Read SA, Vincent SJ, Collins MJ. The visual and functional impacts of astigmatism and its clinical management. Ophthalmic and Physiological Optics. 2014;34(3):267-94. 

  3. Bittner AK, Seger K, Salveson R, Kayser S, Morrison N, Vargas P, et 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electro-stimulation therapies to modulate retinal blood flow and visual function in retinitis pigmentosa. Acta Ophthalmologica. 2018;96(3):366-76. 

  4. Yoshiko S, Nobuo F, Motohiko S, Syunji Y, Kei W, Toru N, et al. Visual function with acupuncture tested by visual evoked potential Tohoku J Exp Med. 2006;209(3):235-41. 

  5. Dennis SC, Jianhao Z, Li JC, Yunxiu W, Chongren Z, Qiaoer L, et al. Adjunctive effect of acupuncture to refractive correction on anisometropic amblyopia: one-year results of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Ophthalmolog. 2011;118(8):1501-11. 

  6. Atkinson J, Braddick O, French J. Infant astigmatism: Its disappearance with age. Vision Research. 1980;20(11):891-3. 

  7. Kang JW, Bae SH, Moon MJ. Clinical Perceptions and Practice Patterns for Amblyopia in Korea. J Korean Ophthalmol Soc. 2020;61(2):190-9. 

  8. Kim BH, Kim MH, Kim JH, Park SY, Choi IH. Acupuncture for pediatric bilateral amblyopia. Integr Med Res. 2020;9(4):100435. 

  9. Xie-He K, Yue Z, Zhi C, Li Z, Rong H, Xiao-Qing D,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 of 0.01% Atropine Eye Drops Combined with Auricular Acupoint Stimulation on Myopia Progression. J Ophthalmol. 2021;2021(1):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