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CP 시나리오와 다층신경망 모형을 활용한 가뭄시 물부족량 예측
Predicting the amount of water shortage during dry seasons using deep neural network with data from RCP scenario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5 no.2, 2022년, pp.121 - 133  

장옥재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  문영일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상학적으로 예년 대비 부족한 강우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가뭄재해는 피해범위가 광범위하고, 그 발생과 소멸을 쉽게 파악하기 어려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가뭄 발생예상 지역과 그 물부족량을 신뢰성 있고, 신속하게 예측하는 것은 가뭄 대응체계 구축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현재는 과거 약 50여년의 기상관측자료로 그 경우의 수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과거에 발생한 가뭄과 양상이 다른 경우 가뭄으로 인한 물부족량을 예측하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4개 RCP 시나리오 자료를 물수지 분석 모형에 적용하여 360개년의 연간 물부족량을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다층신경망 모형의 입력값으로 RCP 시나리오로부터 산출된 SPEI 값을 그리고, 출력값으로 연간 물부족량을 적용하여 학습을 진행했다. 학습된 모형을 통해 과거 수 개월 동안의 SPEI값과 미래 예측되는 가뭄 상황을 입력함으로써 쉽고 신뢰성 있게 중권역별 예상 물부족량을 산정할 수 있다. 이는 의사결정자들이 가뭄 발생 이전에 효율적인 가뭄 대응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rought resulting from insufficient rainfall compared to the amount in an ordinary year can significantly impact a broad area at the same time. Another feature of this disaster is hard to recognize its onset and disappearance. Therefore, a reliable and fast way of predicting both the suffering a...

주제어

표/그림 (15)

참고문헌 (26)

  1. Allen, R.G, Pereira, L.S., Raes, D., and Smith, M. (1998). Crop evapotranspiration - 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56, ISBN 92-5-104219-5,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Rome, Italy, pp. 15-86. 

  2. Belayneh, A., Adamowski, J., Khalil, B., and Ozga-Zielinski, B. (2013). "Long-term SPI drought forecasting in the Awash River basin in Ethiopia using wavelet neural network and wavelet support vector regression models." Journal of Hydrology, Vol. 508, pp. 418-429. 

  3. Bloomfield, J.P., and Marchant, B.P. (2013). "Analysis of groundwater drought building on the standardised precipitation index approach."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7, pp. 4769-4787. 

  4. Gusyev, M.A., Hasegawa, A., Magome, J., Umino, H., and Sawano, H. (2015). "Drought assessment in the Pampanga River basin, the Philippines. III: Evaluating climate change impacts on dam infrastructure with standardized indices." Proceedings 21st International Congress on Modelling and Simulation, MSSANZ, Canberra, Australia. pp. 1586-1592. 

  5. Jang, O.J., Moon, Y.I., and Moon, H.T. (2021). "Methodology for assessment and forecast of drought severity based on the water balance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e, Vol. 54, No. 4, pp. 241-254. 

  6. Kim, S.J., Kim, M.I., Lim, C.H., Lee, W.K., and Kim, B.J. (2017). "Applicability analysis of FAO-56 Penman-Monteith methodology for estimating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in Andong dam watershed using limited meterological data."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Vol. 8, No. 2, pp. 125-143. 

  7. Kim, S.J., Parhi, P., Jun, H.D., and Lee, J.H. (2018). "Evaluation of drought severity with a Bayesian Network analysis of multiple drought indice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44, No. 1, pp. 1-10. 

  8. Kogan, F.N. (2000). "Contribution of remote sensing to drought early warning." Proceedings of an Expert Group Meeting: Early Warning Systems for Drought Preparedness and Drought Management, WMO, Lisbon, Portugal, pp. 86-100. 

  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20). Korea, accessed 05 November 2020, . 

  10. K-water (2007). K-MODSIM manual ver. 1.1, pp. 1-40. 

  11. Lim, J.D., and Yang, J.S. (2020). "Possibility analysis of future droughts using long short term memory and standardized groundwater level index."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e, Vol. 53, No. 2, pp. 131-140. 

  12.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MS Publications, Boston, MA, U.S. 

  1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6).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 (2001~2020) (3rd rev.). Publication No. 11-1613000-001716-13, pp. 198-233. 

  14.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MOIS). (2018). National statistical information for drought in the year 2018, pp. 117-128. 

  15. Nam, W.H., Choi, J.Y., Yoo, S.H., and Jang, M. W. (2012).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agricultural drought management using risk assessment." Paddy and Water Environment, Vol. 10, pp. 197-207. 

  16. National Drought Information-Analysis Center (NDIC). (2016). Response guidebook for drought disaster, p. 117. 

  17. Naumann, G., Spinoni, J., Vogt, J.V., and Barbosa, P. (2015). "Assessment of drought damages and their uncertainties in Europe."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Vol. 10, pp. 1-14. 

  18. Nielsen, M. (2020). Neural networks and deep learning, accessed 10 October 2020, . 

  19. Raschka, S., and Mirjalili, V. (2019). Python Machine Learning-Second Edition, Packt, Birmingham, U.K., pp. 418-455. 

  20. Shukla, S., and Wood, A.W. (2008). "Use of a standardized runoff index for characterizing hydrologic drought."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5, No. 2, L02405. 

  21. Vicente-Serrano, S.M., Begueria, S., and Lopez-Moreno, J.I. (2010). "A multi-scalar drought index sensitive to global warming: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Journal of Climate, Vol. 23, pp. 1696-1718. 

  22.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2020). Korea, accessed 22 October 2020, . 

  23. Wilhite, D.A. (1993). Drought assessment, management, and planning: theory and case studies. Natural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Series. ISBN No. 978-0-7923-9337-5, Kluwer Publishers, Boston, MA, U.S., pp. 3-15. 

  24. Wilhite, D.A., Svoboda, M.D. (2000). Drought early warning systems in the context of drought preparedness and Mitigation,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pp. 1-21. 

  25. Yue, Y., Wang, L., Li, J., and Zhu, A. (2018). "An EPIC model-based wheat drought risk assessment using new climate scenarios in China." Climate Change, Vol. 147, pp. 539-553. 

  26. Zargar, A., Sadiq, R., Naser, B., and Khan, F.I. (2011). "A review of drought indices." Environmental Reviews, Vol. 19, pp. 333-3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