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의 관리기준표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Reference Tables for Datasets in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22 no.1, 2022년, pp.177 - 200  

이정은 (전북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BK21 교육연구단) ,  김지혜 (전북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왕호성 (국가기록원) ,  양동민 (전북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행정정보 데이터세트는 조직의 업무수행을 기반으로 생산되는 기록이다. 기록 행위에 대한 증거일뿐만 아니라 업무에 활용될 수 있는 수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그동안 기록관리 현장의 그늘에 있던 데이터세트는 2020년 법령의 개정을 통해 기록으로 관리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이에 데이터세트 기록관리업무는 필요한 기관을 중심으로 이미 점진적으로 시작되었다. 데이터세트 기록관리업무의 핵심은 관리기준표의 작성에 있다. 그러나 기록관리를 수행하는 현장에서는 기록관리기준표 개념과의 혼선과 익숙하지 않은 개념의 등장으로 업무의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초반에 드러나는 데이터세트 기록관리의 문제점을 다시 한번 되짚어 보고, 보다 효과적으로 데이터세트 기록관리업무를 안착시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방안으로 관리기준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그간 논의되었던 문제점을 정리하고, 현행의 관리기준표 항목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관리기준표 항목의 간소화, 관리기준표 영역의 재편성, 보유기간의 개념 도입, 관리기준표 작성 프로세스를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s are a kind of record produced based on an organization's work performance. A dataset is evidence of the act of recording and contains a lot of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for work. Datasets have been neglected in Korea's records management system. However, as the...

주제어

표/그림 (12)

참고문헌 (19)

  1. Enforcement Decree of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Presidential Decree No. 32223, December 16, 2021. 

  2. Hong, Deok-Yong (2021). Big data utilization and policy suggestions in public records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21(4), 1-18. http://dx.doi.org/10.14404/JKSARM.2021.21.4.001 

  3. Hwang, Jin-Hyun, Baek, Young-Mi, & Yim, Jin-Hee (2021). Study on public institution dataset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process: focusing on the case of KR electronic procurement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70, 41-83. https://doi.org/10.20923/kjas.2021.70.041 

  4. Hwang, Jin-Hyun, Park, Jong-Yeon, Lee, Tae-Hoon, & Yim, Jin-Hee (2014). A study on the transfer process and method for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 recor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4(3), 7-32.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3.007 

  5. Hyun, Moon-Soo (2005).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dataset as recor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5(2), 103-124. https://doi.org/10.14404/JKSARM.2005.5.2.103 

  6. Lee, Ju-Kwang (2020). A study on the records management of dataset in government information systems: execution of management for electronic records in the form of datasets.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Issuepaper, 23, 3-26. 

  7. Lee, Sang-Baek, Chai, Su-Seong, & Lee, Kyu-Chul (2015). Research on the assurance of integrity and authenticity for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 record keeping.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conference, 2015. 

  8.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07). Reports on Records Management of Administrative Datasets. Daejeon: National Archives. 

  9.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5). A Research on Dataset Structure Analysis and Record Management Functional Model for Assurance Record Authority. Daejeon: National Archives. 

  10.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6). Reports on Records Management of Administrative Datasets. Daejeon: National Archives. 

  11.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7). A Study on Conceptual Redesign of the Next Generation Record Management. Daejeon: National Archives. 

  12.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20a). NAK 35:2020(v1.0) Records Keeping Criteria for Dataset: Composition of Dataset Management Reference Table & Exchange of Dataset. Daejeon: National Archives. 

  13.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20b). Record Keeping Manual for Dataset. Daejeon: National Archives. 

  14. Oh, Seh-La & Rieh, Hae-Young (2019). Managing data set in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as recor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9(2), 51-76.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2.051 

  15. Oh, Seh-La, Park, Seung-Hoon, & Yim, Jin-Hee (2018). A case study of dataset records i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8(2), 109-133.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2.109 

  16.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Act No. 16661, December 3, 2019. 

  17. Seo, Ji-In (202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ata set management in government information systems: a comparison with public dat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20(4), 41-58. https://doi.org/10.14404/JKSARM.2020.20.4.041 

  18. Shin, Jeong-Yeop (2021). Case study on managing dataset records in government information system: focusing on establishing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 for electronic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21(3), 227-246. http://dx.doi.org/10.14404/JKSARM.2021.21.3.227 

  19. Wang, Ho-Sung & Seol, Moon-Won (2017). A study on managing dataset records in government information system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7(3), 23-47.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3.0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