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우조건에 따른 차집시설에서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분석
Analysis of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s from the Interception Facilities according to Rainfall Conditions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31 no.1, 2022년, pp.1 - 10  

임자유 (경희대학교 환경학 및 환경공학과) ,  은범진 (경희대학교 환경학 및 환경공학과) ,  허정숙 (경희대학교 환경학 및 환경공학과) ,  최이송 (경희대학교 환경학 및 환경공학과) ,  오종민 (경희대학교 환경학 및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인 차집시설을 대상으로 다양한 강우조건에 따라 초기우수 유출수의 수질특성을 파악하고, 용존성 오염물질의 기원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지역 내 위치한 G-배수구역의 10개 차집시설 중 비강우시에도 불명수가 유입되는 것으로 조사된 차집시설 #1, #5, #8, #9 및 #10 등 5개 지점에서 수질분석을 통하여 차집시설에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로써 강우량에 따라 차집시설에서 우수유출수의 수질특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강우시 EC, BOD, TOC, TN의 평균농도는 강우시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DO의 평균농도는 강우시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차집시설에서 유출수의 용존성 유기물은 주로 내부에서 생성된 유기물로 구성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우수유출수는 주변 환경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강우로 인하여 차집시설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난분해성 휴믹계 물질이 많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initial stormwater runoff and the origin of soluble pollutants according to various rainfall conditions from a non-point source reducing facility. The water sample from this study was collected among 10 collection faci...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15)

  1.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plan. 

  2.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Act on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Conservation. 

  3. Jeon GW, Nam SY, Im YH, Jang SJ, Park HC. 2010. pH, EC and Anions Changes of Rainfall Component at the Suburban Pinus Forest in 2009. The Korean Forestry Society 2010(0): 352-353. 

  4. Baker A, Inverarity R. 2004. Protein-like fluorescence intensity as a possible tool for determining river water quality. Hydrological Processes 18(15): 2927-2945. https://doi.org/10.1002/hyp.5597 

  5. Brezonik PL, Stadelmann TH. 2002. Analysis and predictive models of stormwater runoff volumes, loads, and pollutant concentrations from watersheds in the Twin Cities metropolitan area, Minnesota, USA. Water Research 36(7): 1743-1757. https://doi.org/10.1016/S0043-1354(01)00375-X 

  6. Chen W, Westerhoff P, Leenheer JA, Booksh K. 2003. Fluorescence Excitation-Emission Matrix Regional Integration to Quantify Spectra for Dissolved Organic Matter.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7(24): 5701-5710. https://doi.org/10.1021/es034354c 

  7. Coble PG. 1996. Characterization ofmarine and terrestrial DOM in seawater using excitationemission matrix spectroscopy. Marine Chemistry 51(4): 325-346. 

  8. Hallberg M, Renman G, Byman L, Svenstam G, Norling M. 2014. Treatment of tunnel wash water and implications for its disposal.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69(10): 2029-2035. https://doi.org/10.2166/wst.2014.113 

  9. Huguet A, Vacher L, Relexans S, Saubusse S, Froidefond JM, Parlanti E. 2009. Properties of fluorescent dissolved organic matter in the Gironde Estuary. Organic Geochemistry 40(6): 706-719. 

  10. Kim G, Yur J, Kim J. 2007. Diffuse pollution loading from urban stormwater runoff in Daejeon city,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85(1): 9-16. https://doi.org/10.1016/j.jenvman.2006.07.009 

  11. McKnight DM, Boyer EW, Westerhoff PK, Doran PT, Kulbe T, Andersen DT. 2001. Spectrofluorometric characterization of dissolved organic matter for indication of precursor organic material and aromaticity. Limnology and Oceanography 46(1): 38-48. https://doi.org/10.4319/lo.2001.46.1.0038 

  12. Ohno T, Amirbahman A, Bro R. 2008. Parallel factor analysis of excitation-emission matrix fluorescence spectra of water soluble soil organic matter as basis for the determination of conditional metal binding parameter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2(1): 186-192. https://doi.org/10.1021/es071855f 

  13. Stedmon CA, Markager S, Bro R. 2003. Tracing dissolved organic matter in aquatic environments using a new approach to fluorescence spectroscopy. Marine Chemistry 82(3): 239-254. 

  14. Suarez J, Puertas J. 2005. Determination of COD, BOD, and suspended solids loads during combined sewer overflow (CSO) events in some combined catchments in Spain. Ecological Engineering 24(3): 199-217. 

  15. Zsolnay A, Baigar E, Jimenez M, Steinweg B, Saccomandi F. 1999. Differentiating with fluorescence spectroscopy the source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soils subjected to drying. Chemosphere 38(1: 45-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