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웹취약점 자동진단 개선방안
Improvement Mechanism for Automatic Web Vulnerability Diagnosi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2, 2022년, pp.125 - 134  

김태섭 (배재대학교대학원 사이버보안학과) ,  조인준 (배재대학교대학원 사이버보안학과)

초록

스마트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2020년 기준 전 국민의 91.9%가 인터넷 이용[1]하여 수시로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을 통해 정보를 습득하고 있다. 정보제공을 담당하는 홈페이지의 수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홈페이지의 안전성을 진단하는 웹취약점 진단 신청수도 매년마다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존 웹취약점 점검은 진단원이 수작업으로 홈페이지를 모의 해킹하여 취약점을 진단했기 때문에 진단대상 홈페이지 수에 비례하여 진단인력이 늘어나야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웹취약점 진단인력 확보에 한계가 있고, 진단인력을 늘렸을 경우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자동진단 도구를 사용하여 수동진단의 일부를 대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자동진단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즉, 웹취약점 진단항목의 영향도를 분석하여 자동진단 가능 항목을 도출하고, 실제 운영 중인 홈페이지에 수동 및 자동진단을 수행하여 진단결과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자동진단 가능항목을 파악하였다. 또한 자동진단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자동진단 도구 개선을 통해 모든 취약점 항목은 아니지만 가능한 항목에 대해서 수동진단을 대체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진단 및 정밀진단이 필요한 부분에 집중하여 안전한 홈페이지 운영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 technology, as of 2020, 91.9% of people use the Internet[1] to frequently acquire information through websites and mobile apps. As the number of homepages in charge of providing information is increasing every year, the number of applications for web vulnerabilit...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자동진단 방식을 개선하여 수동진단 만큼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홈페이지 서비스에 영향을 완화한다면 보다 많은 홈페이지에 대한 웹 취약점 진단이 가능할 것이다. 웹취약점 진단항목 중 영향도를 분석하고 실제 홈페이지에 수동 및 자동진단을 수행한 후 결과를 분석하여 수동진단 대체가 가능한 자동진단 항목을 파악하고 진단에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년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발표, 2021.03. 

  2.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363, 2021.10.13. 

  3. 이재호, "웹 페이지 수행기능분석과 점검 우선순위를 활용한 모델기반 웹 취약점 점검," 예술인문사회 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제9권, 제3호, pp.727-736, 2019. 

  4. 한국인터넷진흥원,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기술적 취약점 분석 평가 상세 가이드, 2021.03. 

  5. https://owasp.org/Top10/, 2021. 

  6. https://www.sans.org/top25-software-errors/, 2021.10.14. 

  7. 한국인터넷진흥원, (전자정부 SW 개발.운영자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가이드, 2019.11. 

  8. 행정안전부, 웹취약점 점검 항목, 2020.09. 

  9. 최은정, 정휘찬, 김승엽,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XSS) 취약점에 대한 공격과 방어,"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2호, pp.177-183, 2015. 

  10. 김광현, "웹 취약점 분석을 위한 프락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제9권, 제9호, pp.1011-1018, 2014. 

  11. 장희선, "Web Vulnerability Scanner를 이용한 취약성 분석," 융합보안논문지, 제12권, 제4호, pp.71-76, 2012. 

  12. 이택진, 손수엘, "오픈 소스 웹 취약점 스캐너의 성능분석," 정보과학회지, 제36권, 제3호, pp.42-49, 2018.0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