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림 식생구조 특성에 따른 관리방안
A Study on the Management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Vegetation Structure of Geumgang Pine (Pinus densiflora) Forest in Sogwang-ri, Uljin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50 no.1, 2022년, pp.1 - 19  

김동욱 (산림청 도시숲경관과)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박석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  김종엽 ((재)환경생태연구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림은 전통적으로 목재생산 목적의 소나무 보호지역(봉산)이었으며, 현재는 산림청 산림유전 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형 특성, 현존식생, 수령, 식물군집구조를 분석하여 임목생산을 목적으로 한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림의 지속가능한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대상지 지형 특성은 능선 36.7%, 계곡 38.7%로 능선과 계곡의 비율이 유사하였으며, 사면은 전체 면적의 24.7%로 좁게 형성되어 있었다. 소나무림 군집 유형은 소나무림의 갱신 진행상태, 낙엽활엽수 등 타 수종과의 경쟁상태, 층위구조 형성 여부 등을 기준으로 6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대경목 소나무(흉고직경 40~60cm)의 수령은 약 60~70년 내외로 비교적 수령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대우점치 및 층위구조를 분석한 결과, 소나무림 갱신 사업의 진행 정도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었고, 소나무림의 유지뿐만 아니라 소나무 후계림의 조성, 소나무의 밀도 조절, 경쟁수목에 대한 적극적 관리를 실시하고 있었다. 군집별 평균 흉고단면적은 400m2 방형구를 기준으로 교목층은 12,642.1~25,424.4cm2, 아교목층은 1.8~1,956.5cm2이었다. 흉고단 면적의 차이는 교목층을 형성하는 수목의 규격과 개체수, 소나무림의 갱신 정도(소나무 간벌 후 시간경과 정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군집별 평균 출현 종수는 8.7~20.3종으로 계곡부에 위치하고 있는 유형과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낙엽활엽수와의 경쟁이 진행 중인 유형에서 출현 종수가 많았다. 종다양도는 0.6915~1.0942로 온대중부지역 소나무군집과 비교하여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림의 관리목표는 경제적 가치가 높은 목재생산으로 설정하였으며, 지속적인 조림 및 목재생산 체계 구축, 목재생산량 증진을 위한 효율적 식생관리를 관리방향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eumgang Pine (Pinus densiflora) Forest in Sogwang-ri, Uljin has traditionally been a pine tree protection area (prohibited forest) for timber production purposes, and is now designated and managed as a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by the Korea Forest Service. This stu...

주제어

참고문헌 (30)

  1. An, I. S.(2012)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Planting Models Based on the Ecotype of the Pinus densiflora S.et Z. in Korea.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pp. 196. 

  2. Bae, B. H. and H. J. Lee(1999) Phytosociological studies for vegetationconservation of pine forest.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2(1):21-29. 

  3. Brower, J. E. and J. 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pp. 194. 

  4. Choi, J. W., J. I. Kwak, K. J. Lee and W. K. Choi(2009) Astudyfor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 of Pinus densifloraForest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5): 447-459. 

  5. Curtis, J. T. and R. 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6. Im, G. B.(1985) New Principle of Afforestation, Hyangmun-saPublishing Co. Seoul. pp. 491. 

  7. Jabu, S.(1982) Restoration of a Kaolin Clay Strip Mine for WildlifeHabitat Using Biotechnical and Revegetation Methods. MS Thesis. Univ. of Georgia, Athens. 

  8. Jo, J. C.(1987) A Study on the Preservation Measur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Natural Park. Master Thesis. University of Seoul. pp. 169. 

  9. Jo, J. C., W. Cho. and B. H. Bong(1995) The plant community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in forest in Chuwang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8(2): 121-134. 

  10. Kim, Z. S., S. W. Lee, J. W. Hwang, K. W. Kwon(1993) Articles :Pinus densiflora for. erecta - Can It Be Treated Genetically as a Distinct. 

  11. Kim, J., E. S. Kim and J. H. Lim(2017) Topographic and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tree dieback in Sogwang-Ri, Ulji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9(1): 10-18. 

  12. Kim, O. J.(2005) The security of domestic timber supply for cultural properties of wooden frame building, Architecture 49(12): 33-37. 

  13. Knapp, E. E. and K. J. Rice(1994) Starting from seed: Genetic issues in using native grasses for restoration. Restoration and Management Notes 12(1): 40-45. 

  14. Korea Forest Service(2020)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50: 488. 

  15. Kwon, J. O. (1997) A Study on the Ecological Planting Models bythe Analysis on the Natural Vegetation in Middle District, Korea. Master Thesis. University of Seoul. pp. 116. 

  16. Lee, C. B.(1980) Korean Plant Painting.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pp. 990. 

  17. Lee, I. G.(1976) A Window of Ecology. Ilshin-sa Publishing Co. pp. 318. 

  18. Lee, K. J., B. H. Han, H. G. Lee and T. H. Noh(2012) Management planning and change for nineteen years (1993~2011) of plant community of the Pinus densiflora Set Z. forest in namhan mountain fortres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4): 559-575. 

  19. Lee, K. J., I. H. Park, J. C. Jo and C. H. Oh(1990b)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he forest community in Mt. Sokri(2) -analysis on the plant community by the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4(1): 33-43. 

  20. Lee, K. J., K. B. Im, J. C. Jo. and C. H. Ryu(1990a)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he forest community in mt. Sokri(1) -The conservation planning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4(1): 23-32. 

  21. Lee, K. J., K. S. Ki and J. W. Choi(2009) Vegetation succession and vegetation management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the Beopjusa Area, Songnisan National Park.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3(2): 208-219. 

  22. Lee, S. D., K. J. Lee and J. W. Choi(2009) Management plan to consider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Seou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3): 258-271. 

  23. Ma, S. K.(1999) The Pine Trees are Disappearing.-Pine Trees andOur Culture. Su-Mun Publishing Co, pp. 205. 

  24. Morrison, D. G.(1996) Design, Restoration and Management.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 of Georgia, Athens. 

  25. Park, I. K.(2005) The Ecological Manage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Namsan, Seoul.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pp. 250. 

  26. Pielou, E. 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pp. 165. 

  27. Uljin County Compilation Committee(2001a) Uljin Count, the first volume. Uljin-gun, pp. 1046. 

  28. Uljin County Compilation Committee(2001b) Uljin Count, the secondvolume. Uljin-gun, pp. 994. 

  29. Uljin County Compilation Committee(2001c) Uljin Count, the thirdvolume. Uljin-gun, pp. 598. 

  30. Yun, G. B.(1977) Landscape Culture. Ilchokak, Seoul, pp. 3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