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생의 주관적 건강인지수준과 건강증진행동, 정신건강수준 간의 관련성: 일개 대학의 건강조사를 중심으로
Association between self-rated health,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mental health fact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the health survey results in a university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23 no.1, 2022년, pp.1 - 16  

김영복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재활건강증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 Objectives: Self-rated health has been widely used to evaluate health status and accepted as a subjective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ssociations between self-rated health,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mental health factors and suggest the approac...

주제어

참고문헌 (34)

  1. 김민경 외 6명. (2010). 한국인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의 차이와 건강생태 기여요인 분석.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3(1), 50-61. 

  2. 김영복 외 3명. (2011). 대학-지역사회를 연계한 Healthy Campus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한국건강증진재단. 

  3. 김종성, 조비룡 (2010). 건강검진 수검자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건강관련행위의 연관성. 가정의학회지, 31(9), 688-696. 

  4. 김진현. (2021). 청년 1인가구의 의료서비스 접근성이 주관적 건강상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6(2), 283-289. 

  5. 남연희, 남지란. (2011). 노인의 주관적인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6(4), 145-162. 

  6. 노옥준 외 3명. (2017). 일개 의과대학생의 재학시기에 따른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요인. 생물치료정신의학, 23(3), 214-221. 

  7. 문성미. (2017). 노인의 사회적 상태, 건강상태, 건강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5(6), 259-271. 

  8.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6). 2015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3차년도(2015). 

  9.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7). 2016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1차년도(2016). 

  10.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8). 2017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2차년도(2017). 

  11. 이옥진 (2017).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관련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사회경제적 지위, 심리사회적 요인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4), 424-433. 

  12. 이자형, 이기혜. (2015). 청소년의 건강불평등 영향요인 분석: 주관적 건강상태와 비만여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 21(2), 217-243. 

  13. 정구철. (2016).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자기용서 및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2), 360-372. 

  14. 질병관리청. (2020). 만성질환건강통계: 지역건강조사. https://health.kdca.go.kr. 

  15. 채덕희, 강경화. (2021). 국내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5(2), 224-238. 

  16. 하유정, 권수진, 곽연희. (2021). 한국 노인의 성별에 따른 주관적 건강인식과 건강행위의 관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조사를 이용하여. 한국웰니스학회지, 16(12), 246-252. 

  17. 홍우빈, 이세형. (2018).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중국 대학생의 주관적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 비교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7(1), 307-317. 

  18. American College Health Association. (2016). National College Health Assessment: Fall 2015 reference group executive summary. https://www.acha.org/documents/ncha/NCHA-II%20FALL%202015%20REFERENCE%20GROUP%20EXECUTIVE%20SUMMARY.pdf 

  19. American College Health Association. (2017). National College Health Assessment: Fall 2016 reference group executive summary. https://www.acha.org/documents/ncha/NCHA-II_FALL_2016_REFERENCE_GROUP_EXECUTIVE_SUMMARY.pdf 

  20. American College Health Association. (2018). National College Health Assessment: Fall 2017 reference group executive summary. https://www.acha.org/documents/ncha/NCHA-II_FALL_2017_REFERENCE_GROUP_EXECUTIVE_SUMMARY.pdf 

  21. Cai, J., Coyte, P. C., & Zhao, H. (2017). Determinants of and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self-rated health in China. International Journal for Equity in Health, 16(1), 7. 

  22. Cheng, J. et al. (2015). Self-rated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complaints associated with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mong urban Chinese women: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PLoS ONE, 0117940. 

  23. Conry, M. C. et al. (2011). The clustrering of health behaviours in Ireland and their relationship with mental health, self-rated health and quality of life. BMC public health, 11(1). 292. 

  24. Darviri, C., et al. (2011). Lifestyle and self-rated health: a cross-sectional study of 3,601 citizen of Athens, Greece. BMC public health, 11(1), 619. 

  25. DeSalvo, K. B., et al. (2006). Mortality prediction with a single general self-rated health question.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1(3), 267-275. http://doi.org/10.1111/j.1525-1497.2005.00291.x 

  26. Husu, P., Vaha-Ypya, H., & Vasankari, T. (2016). Objectively measured sedentary behavior and physical activity of Finnish 7-to 14-year-old children- associations with perceived health status: a cross-sectional study. BMC Public Health, 16, 338. 

  27. Kim, J. & Lee, E. (2021). Association between soft-drink intake and obesity, depress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male and female adult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18, 10415. 

  28. Lachytova, M., Katreniakova, Z., Mkiula, P., Jendrichovsky, M., & Nagyova, I. (2017). Assoiciations between self-rated health, mental health problem and physical inactivity among urban adolescents. The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7(6), 984-989. 

  29. Marques, A., et al. (2019). Healthy lifestyl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its association with subjective health complaints: Findings from 37 Countries and Regions from the HBSC Study.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16, 3292. 

  30. Mendoza-Romero, D., Urbina, A., Cristandho-Montenegro, A., & Rombaldi, A. (2019). Impact of smoking and physical inactivity on self-rated health in women in Colombia. Preventive medicine reports, 16, 100976. 

  31. Ocampo, J. M. (2010). Self-rated health: Importance of use in elderly adults, Colombia Medica, 41(3), 275-289. 

  32. Park, S., Ahn, J., & Lee, B. (2015). Self-rated subjective health status is strongly associated with sociodemographic factors, lifestyle, nutrient intakes, and biochemical indices, but not smoking satus: KNHANES 2007-2012. J Korean Med Sd, 30, 1279-1287. 

  33. Wu, S., et al.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lated health and objective health status: a population-based study. BMC public health, 13, 320. 

  34. Yoshimitsu, K. et al. (2017). Factors affecting the self-rated health of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a cross-sectional study. BMC research notes, 10, 512.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