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두대간 덕항산(삼척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Flora of Vascular Plants of Mt. Deokhangsan Protected Area in Samcheok-si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 ation in Baekdudaegan, Korea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11 no.1, 2022년, pp.1 - 18  

김세창 (강원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서한나 (강원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안치호 ((주)백령비엔지) ,  박완근 (강원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덕항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337 ha)은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에 위치하며, 고산지대에 발달한 우리나라 유일의 카르스트지형이다. 덕항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서 발견된 관속식물은 90과 302속 479종 4아종 51변종 3품종 총 537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 한국특산식물은 북부 고산지대에 자생한다고 알려진 Pseudostellaria setulosa Ohwi(숲개별꽃)과 우리나라 석회암지대에서만 자생하는 Saussurea calcicola Nakai(사창분취)와 Peucedanum insolens Kitag.(덕우기름나물)를 포함한 19분류군이 발견되었고,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멸종위기 야생식물 II급에 속하는 Astilboides tabularis(Hmsl.) Engl.(개병풍)과 Vioela websteri Hemsl.(왕제비꽃)을 포함한 17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또한 석회암지대 지표식물 33분류군, 귀화식물은 2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본 대상지는 온대북부 석회암지대의 특성상 특산식물과 북방계식물이 주로 발견되었으며, 남방계식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남방계 식물의 북상은 우려와는 달리 현재까지는 미비한 수준으로 판단되며, 덕항산은 북방계식물의 생육에 적합한 환경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vascular plants of the Mt. Deokhangsan protected area were surveyed for the purpose of forest genetic resources conservation in Gangwon-do, South Korea. The flora on Mt. Deokhangsan were classified as follows 537 taxa, 90 families, 302 genera, 479 species, 4 subspecies, 51 varieti...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덕항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식물상을 조사를 통해 조사지역의 중요성을 파악하는 동시에 석회암지대의 식생현황을 제공하고, 주요 식물들의 효율적인 관리와 종 다양성 보존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활용되고자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yun, J.G., Jang, J.W., Yang, J.C., Lee, Y.M., Jung, S.Y., Ji, S.J., Jang, J., Lee, H.J., Hwang, H.S., and Oh, S.H. 2013.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Gariwang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South Korea. Korean Journal Plant Resources 26(5): 566-588. 

  2. Cheon, K.S., Kim, K.A. and Yoo, K.O. 2016. Floristic study of Mt. Baegam (Hongcheon-gun, Gangwon-do). Korean Journal Plant Resources 29(2), 171-188. 

  3. Chung, G.Y., Chang, K.S., Chung, J.M., Choi, H.J., Paik, W.K. and Hyun, J.O.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Plant Taxonomy 47(3): 264-288. 

  4. Jung, S.Y. 2014.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lien Plant (IAP) in South Korea. Department of Bioresource Sciences. (Ph.D. Thesis). And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82. 

  5. Kang, J.S., Han, J.S., Cheon, K.S., Kim, K.A., Park, Y.H., Yoo, K.O. 2015. Floristic study of Mt. Hanseok (Inje-gun, Gangwon-do). Korean Journal Plant Taxonomy 45(1): 45-71. 

  6. Kang, Y.P. 1992. Study of the pedogenesis of red soils and karst geomorphology in the paleozoic limestone area in Korea. Korean Journal Earth Science Society 13(2): 156-1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H.J., Joo, M.J., Ji, S.J., So, S.K., Jung, S.Y., Chang, K.S., Choi, K. and Yang, J.C. 2015. Floristic Study of Neunggyeong-bong (Pyeongchang-gun, Gangneung-si) in Korea. Korean Journal Plant Resources 28(2): 178-192. 

  8. Kim, H.J., Joo, M.J., Son, D.C., Han, J.S., Lee, D.H., Yi, D.K., Choi, K. and Kim, H.J. 2017. Distribution of medicinal plants and vascular plants in Mt. Nochu (Jeongseon-gun, Gangneung-si), Korea. Korean Journal Plant Resources 30(1): 58-77. 

  9. Kim, J.H., Mun, H.T. and Kwak, Y.S. 1990. Community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s in limestone areas.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3(4): 285-2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J.S., Lee, B.C., Chung, J.M. and Pak, J.H. 2005. Flora and Phytogeography on Mt. Deokhang (Gangwon-do), Limestone area in Korea. Korean Journal Plant Taxonomy 35(4): 337-364. 

  11. Koh, K.S., Kang, L.G., Suh, M.H., Kim, J.H., Kim, K.D. and Kil, J.H. 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 (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2.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n National Arboretum.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n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492. 

  13. Korean National Arboretum. 2010.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n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336. 

  14. Korean National Arboretum. 2012. The plants in limestone areas. Korean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141. 

  15. Korean National Arboretum. 2013. Korean plant names index committee. http://www.nature.go.kr/ 

  16. Korean National Arboretum. 2016. Invasive aline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265. 

  17. Larcher, W. 1975. Physiological plant ecology. Springer-Verlag, Berlin. pp. 513. 

  18. Lee, T.B. 2014.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914. 

  19. Lee, Y.M, Park, S.H., Jung, S.Y., Oh, S.H. and Yang, J.C.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Plant Taxonomy 41(1): 87-101. 

  20.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Germany. pp. 666. 

  21. Ministry of Environment. 2012a. 4th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guidelines.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pp. 1-490. 

  22. Ministry of Environment. 2012b. Red data book. Ministry of Environment. https://species.nibr.go.kr/ 

  23.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Information of Korean alien species. http://kias.nie.re.kr/home/eco/eco01001l.do. 

  24.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 2014. News and explanation. http://me.go.kr/home/web/board (2014. 07.02) 

  25. Numata, M. 1975, Naturalized plants. Dainippon-tosho. pp. 160. 

  26. Oh, B.U. 2009.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VI. Gentral Province(gangwon-do).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1-793. 

  27. Seo, M.S. 2004. Karst landform of Korea. Purungil, Seoul. pp. 556. 

  28. Shin, H.T., Yoon, J.W., Kim, S.J., Heo, T.I., Kwon, Y.H., Lim, D.O. and An, J.B. 2015. Vascular Plants in Mt. Taebaeksan(Taebaek-si), Korea. Korea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9(3): 309-332. 

  29. Song, J.M., Son, H.J., Kim, Y.S., Kim, S.C., Lee, D.H., Park, W.G. and Kwon, S.J. 2016. The flora of limestone area, Mt. Seokbyeong. Korean Journal Plant Resources 29(2): 241-263. 

  30. Yim, Y.J. and Jeon, E.S. 1981.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Plant Biology 23(3-4): 69-83. 

  31. Yun, C.W. and Moon, H.S. 2009.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type and environmental properties in limestone area of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3(2): 1-8. 

  32. Yun, C.W., Lee, B.C., Kim, K.T., Shin, J.H., Lim, J.H. and Oh, J.S. 2003.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type in limestone area of Korean Peninsula. Korean Forest Society. pp. 110-1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