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기업상담 연구 동향: 기업상담자를 중심으로
A Content Analysis: Research on Workplace Counselo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3, 2022년, pp.453 - 467  

이예슬 (서울대학교) ,  박정은 (경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업상담자를 중심으로 국내 기업상담 연구를 종합하여 그 흐름과 경향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1월까지 발표된 기업상담자 관련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학술논문 총 22편의 출간연도,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상담자 관련 연구는 2008년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연구주제 분석 결과, 기업상담자의 역량 및 역할에 대한 연구와 직무 및 직업 적응을 다룬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대상에서는 기업상담자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77%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기업상담의 세 주체 모두(기업상담자, 근로자,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18%)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 분석 결과, 질적연구가 전체의 63%로 혼합연구(27%)나 양적연구(9%)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기업상담 연구 및 실제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on workplace counseling with a focus on workplace counselors.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22 research papers on workplace counselors published until January 2021 including thesis, dissertation and journal articles, focusing on year of publ...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지금까지 이루어진 기업상담자 관련 연구의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흐름과 성과를 정리하고 나아가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기업상담자를 주제로 발간된 학위논문 및 학술지 게재 논문 및 22편을 분석한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https://www.kihasa.re.kr/publish/report/view?typeresearch&seq28005. 

  2. 황준철, 기업상담 내부모형 상담실 구축 사례연구: C 기획 Hyu 상담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3. A. Kinder, R. Hughes, and C. Cooper, 직장인의 웰빙을 위한 기업상담의 통합적 접근{Employee Well-being Support : A Workplace Resource}. (김선경, 왕은자, 김수임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8에 출판), 2019. 

  4. M. Attridge, D. Sharar, G. DeLapp, and B. Veder, "EAP Works: Global Results from 24,363 Counseling Cases with Pre-Post Data on the Workplace Outcome Suite (WO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 Productivity. Vol.10, No.2, pp.7-27, 2018. 

  5. M. Carroll, 기업상담{Working counseling : a systematic approach to employee care}, (전종국, 왕은자, 심윤정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6년에 출판), 2010. 

  6. J. McLeod, "The effectiveness of workplace counselling: A systematic review,"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Research, Vol.10, No.4, pp.238-248, 2010. 

  7. D. Rogers, J. McLeod, and J. Sloboda, "Counsellor and client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time-limited counseling in an occupational counseling," Counseling Psychology Quarterly, Vol.8, No.3, pp.221-231, 1995. 

  8. D. Sharar, J. Pompe, and R. Lennox, "Evaluating the workplace effects of EAP counseling," Journal of Health & Productivity, Vol.6, No.2, pp.5-14, 2012. 

  9. 심윤정, "기업 상담자의 기업 내 적응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대기업 내 여성 상담자를 중심으로," 상담학 연구, 제13권, 제4호, pp.1819-1843, 2012. 

  10.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91615180004822. 

  11.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14436 

  12. 왕은자, "한국 기업상담의 미래과제," 2013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 논문집, pp.134-136, 2013. 

  13. 김계현, 상담심리학 연구:주제론과 방법론, 학지사, 2000. 

  14. 이동혁, 유성경, "상담연구의 주제 및 연구대상 분석," 청소년상담연구, 제8권, pp.37-58, 2000. 

  15. 류희영, 우리나라 기업상담의 실태 및 활성화 과제: 기업상담자의 인식을 기반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6. 왕은자,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제공기관의 상담운영 실태 및 쟁점 탐색,"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제1권, 제2호, pp.91-109, 2016. 

  17. 왕은자, 김계현, "기업상담 효과에 대한 세 관련 주체(내담자, 관리자, 상담자)의 인식," 상담학 연구, 제10권, 제4호, pp.2115-2135, 2009. 

  18. 남현주, "기업 내 상담자의 역량 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HRD연구, 제16권, 제1호, pp.169-206, 2014. 

  19. 변시영, 조한익, "기업상담 초심자와 숙련자가 인식한 역할 및 역량에 대한 질적 연구," 상담학연구, 제16권, 제6호, pp.529-551, 2015. 

  20. 왕은자, 김계현, "기업상담 효과에 대한 세 관련 주체(내담자, 관리자, 상담자)의 인식 비교 분석," 상담학 연구, 제11권, 제2호, pp.641-656, 2010. 

  21. V. Orlans, Counselling psychology in the workplace. In R. Woolfe, W. Dryden, & S. Strwbridge (ed.). Handbook of counselling psychology. SAGE Publications, 2003. 

  22. 김선경, "기업상담의 실제와 전망," 대학생활연구, 제20권, pp.53-64, 2002. 

  23. 남현주, 송연주, "기업상담자 소진에 관한 질적 연구: 기업상담 내부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 담 및 심리치료, 제28권, 제3호, pp.915-942, 2016. 

  24. 이승미, 고은혜, 이민아, 양햇살, 김봉환, "기업상담 성과준거에 관한 델파이 연구," 상담학연구, 제17권, 제5호, pp.531-549, 2016. 

  25. 김하나, 기업상담 운영 효과성 평가지표의 상대적 중요도 산출 : 내부모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6. M. Carroll and M. Walton, Handbook of Counselling in Organizations, Thousand Oaks, 1997. 

  27. 김영진, 왕은자, "기업상담자의 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에 대한 탐색," 상담학연구, 제18권, 제5호, pp.403-421, 2017. 

  28. 조해연, 이송하, 이동혁, "기업상담자 역할에 대한 인식 및 역할 기대," 상담학 연구, 제13권, 제4호, pp.2233-2251, 2013. 

  29. 김경년, 기업내 상담인식에 관한 연구:KTF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0. 유소희, 기업 상담자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기업상담 외부모형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31. 왕은자, 김계현,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및 기업상담의 연구동향 분석: 효과연구를 중심으로," 상담학 연구, 제8권, 제4호, pp.1411-1433, 2007. 

  32. 정진철, 양난미,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대한 개관연구," 제19권, 제4호, pp.47-70, 2018. 

  33. 김계원, 정종진, 권희영, 이윤주, 김춘경, "상담심리학의 최근 연구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3권, 제3호, pp.521-542, 2011. 

  34. 오송희, 이정아, 김은하, "상담윤리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8권, 제2호, pp.267-289, 2016. 

  35. 조성호, "상담심리학 연구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5권, 제4호, pp.811-832, 2003. 

  36. E. Prosek and E. Burgin, "Counseling Military Populations: A content analysis of counseling journals from 1998 to 2018,"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Vol.98, No.4, pp.423-434, 2020. 

  37. A. Zagelbaum, T. Kruczek, C. Alexander, and H. Crethar, "Where are we now? An updated review of the school counseling literature for trends and themes," Journal of School Counseling, Vol.12, No.4, 2014. 

  38. 정연식, 기업내 심리상담 : 상담 주제와 상담자 능력의 탐색,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39. 윤아롬, 변시영, 조민경, 이겨라, "기관별 상담자 필요 역량에 대한 인식차: 상담자의 현장 경험 탐색을 중심으로," 인간이해, 제41권, 제1호, pp.23-48, 2020. 

  40. 권서은, EAP상담자의 개인상담 수행 준거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41. 김효정, 숙련기업상담자의 직업적응 과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42. 진명일, 기업상담자들이 경험하는 어려움과 적응과정,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43. 변시영, "내담자 자살 위기와 사건을 경험한 기업 상담자의 극복 과정: 근거이론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32권, 제4호, pp.2037-2063, 2020. 

  44. 이은정, 이은지, 안수정, 서영석, "기업상담자가 경험한 비밀보장 문제: 윤리적 갈등과 의사결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31권, 제2호, pp.601-643, 2019. 

  45. 박금남, 기업상담자의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인식: 개념도 방법의 적용,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46. 김정희, 기업상담 세 주체 인식 비교를 통한 기업상담 운영활성화 과제 탐색,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7. 김미선, 기업상담자의 문화다양성 및 문화사회정의 상담 경험,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48. 박지민, Q방법론을 활용한 기업상담자의 상담주제 인식분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49. J. Creswell and C. Poth,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2016. 

  50. 김계현, "상담의 효과성 연구," 한국상담학회 연차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상담학회, 2008. 

  51. R. Lennox, D. Sharar, D. Goehner, and E. Shmitz, "Validation of the 5-item Short Form Version of the Workplace Outcome Suite,"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 Productivity, Vol.10, No.2, pp.49-61, 2018. 

  52. 허난설, 이지향, "학교상담자가 교사와의 협력 관계에서 경험한 윤리적 갈등상황과 대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제20권, 제4호, pp.1149-1179, 2019. 

  53. 정미라, 유금란, "비밀보장 갈등상황에서 전문상담교사의 대처행동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30권, 제3호, pp.541-574, 2018. 

  54. 노인화, 유형근, "전문상담교사가 경험한 윤리적 갈등과 윤리적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어려움: 개인면담을 활용한 합의적 질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20호, pp.1215-1240, 2019. 

  55. 이명복, 신혜진, 김민선, 임명호, "초등학교 학교 상담자가 경험하는 윤리적 갈등과 대처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충남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22권, 제2호, pp.57-83, 2021. 

  56. 최가희, "사회정의와 상담심리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30권, 제2호, pp.249-271, 2020. 

  57. M. Kane and W. Trochim,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Sage Publications, 2007. 

  58. 박승민, "상담학 분야의 질적연구 경향 분석," 상담학연구, 제13권, 제2호, pp.953-977, 2012. 

  59. 안현의, "과학자-실무자 모델의 국내 적용 가능성에 관한 논의,"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5권, 제3호, pp.461-475, 200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