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대학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 Study o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Institutional Commitm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3, 2022년, pp.179 - 188  

김희성 (충북대학교 교육혁신본부) ,  박인호 (충북대학교 교육학과) ,  왕문혜 (충북대학교 교육학과) ,  황의균 (충북대학교 교육학과) ,  이민수 (충북대학교 교육학과) ,  이길재 (충북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대학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교육 변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Korea Educational Longitudinal Survey) 2005'에서 수집된 11차(2018) 데이터를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본 연구의 종속 변수는 Tinto 모델을 기준으로 학업몰입, 사회적 몰입, 이를 통합한 대학몰입으로 구성하였다. 대학생의 대학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수준 변인을 확인한 결과, 대학생활 변인인 학습 과정, 학업 태만, 대학풍토, 교수와의 교류, 친구와의 교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생의 개인배경 중 성별이 학업몰입과 대학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학생활 변인을 추가한 모델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개인배경과 대학배경을 투입한 모델에서는 모두 여학생이 학업몰입과 대학몰입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배경 중 사회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전공계열이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의약 계열의 사회적 몰입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institutional commitment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relevant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subdivided institutional commitment of college students into three; academic integration, social integration and institutional commitm...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 (KELS: Korea Educational Longitudina Survey) 2005’의 11차 자료(2018)를 활용한 양적 연구 방법을 통해 대학생의 대학몰입에 기여하는 요인들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효은, 김기원, "대학생의 중도 탈락에 미치는 교우관계의 영향력과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패션 비즈니스, Vol.15, No.4, pp.87-109, 2011. 

  2. 윤영미, "대학생의 동아리 활동과 대학생활 적응 및 진로준비 행동과의 관계,"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Vol.38, No.2, pp.21-30, 2013. 

  3. 김양분, 임현정, 남궁지영, 박희진, 이병식, 김위정,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 고교 이후 초기 성인기의 생활과 성과, 한국교육개발원, 2013. 

  4. 정규석, "사회적 관계요인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Vol.56, No.1, pp.235-252, 2004. 

  5. 최정윤, 신혜숙, "세 시점 자료를 활용한 대학 몰입의 영향요인 및학업성취도에 대한 효과 분석: Tinto의 대학-학생 상호작용 모델 적용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Vol.34, pp.1-22, 2016. 

  6. V. Tinto, Leaving College: Rethinking the causes and curs of student attrition(2nd e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 1993. 

  7. A. Cabrera, A. Nora, and M. Castaneda, "College persistence: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test of an integrated model of student retention," Journal of Higher Education, Vol.64, No.2, pp.123-139, 1993. 

  8. E. Pascarella and D. Chapman, "A multiinstitutional, path analytic validation of Tinto's model of college withdrawal,"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20, No.1, pp.87-12, 1983. 

  9. L. Strauss and J. Volkwein, "Predictors of student commitment at two-year and four-year institutions,"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Vol.32, No.1, pp.203-227, 2004. 

  10. J. Braxton, J. Milem, and A. Sullivan, "The influence of active learning on the college students departure process," Journal of Higher Education, Vol.71, No.5, pp.569-590, 2000. 

  11. 박안숙, 김혜경,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및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2, pp.511-519, 2016. 

  12. 권도희, 대학생-대학환경 적합성과 대학조직 몰입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3. 김량, 조윤성, 송해덕, "대학교육에서 학생몰입 요인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종단분석," 아시아교육연구, Vol.20, 2019. 

  14. 김성완, "다층모형을 활용한 대학생의 개인특성 요인 및 집단특성 요인과 대학조직 몰입과의 관계분석,"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Vol.21, No.2, pp.143-163, 2019. 

  15. 김현숙,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무용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Vol.36, pp.5-19, 2003. 

  16. 배상훈, 장환영, 김혜정, 송해덕, 학부교육 실태진단, 한국교양기초교육원 RR2013-120-566, 2013. 

  17. 전하람, "대학생의 기숙사 거주가 초기 대학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교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5, No.4, pp.37-63, 2017. 

  18. 정은이, "재미와 몰입 경험이 대학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제연구, Vol.44, pp.71-99, 2012. 

  19. 홍지인, 배상훈,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의 대학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육행정학연구, Vol.33, No.3, pp.351-379, 2015. 

  20. 황현주, "대학 서비스 질 측정에 관한 연구 : 학생 재등록 의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 Vol.31, No.1, pp.385-419, 2004. 

  21. W. A. Jones, "The impact of social integration on subsequent institutional commitment conditional on gender,"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Vol.51, No.7, pp.687-700, 201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