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상청 농업기상관측망 토양수분 관측자료 보정식 개발
Development of Correction Formulas for KMA AAOS Soil Moisture Observation Data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24 no.1, 2022년, pp.13 - 34  

최성원 (국가농림기상센터) ,  박주한 (국가농림기상센터) ,  강민석 (국가농림기상센터) ,  김종호 (국가농림기상센터) ,  손승원 (국가농림기상센터) ,  조성식 (국가농림기상센터) ,  전현정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생산기술개발과) ,  정기열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생산기술개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상청은 농작물의 생육 및 관개를 비롯한 여러 농경활동에 미치는 토양수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국 11개 농업기상 관측지점에서 관측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자료가 폭넓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어 우선적으로 관측자료의 신뢰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업 토양수분 자료의 정확도를 검증하고, 품질 향상을 위해 적용할 보정식을 개발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먼저 관측 노장의 토양을 채취하여 토양수분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용적밀도, 용적수분함량, 토성 및 보수력 등의 물리적 성질을 분석하였다. 토성은 대부분의 관측지점에서 모래가 주성분인 사양토 또는 양질사토로 분류되었으며, 1.5 g/cm3 내외의 용적밀도를 나타냈다. 미사와 점토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능주와 익산 지점은 용적밀도와 보수력도 다른 곳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때, 토성과 용적밀도, 보수력 사이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자체 설계·제작한 '레퍼런스 토양수분 관측시스템'에 이러한 관측지 토양의 특성을 반영하여 레퍼런스 센서로 사용할 EnviroSCAN 모델의 실험실 보정이 이루어졌다. 보정 작업은 load cell에서 측정한 무게 변화로부터 계산된 토양수분함량과 보정할 센서의 측정값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제조사의 default 보정식에 대해 추가 보정의 필요성은 없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보정이 완료된 레퍼런스 센서와 현업 센서의 비교 관측 실험이 11개 각 지점에서 3회 이상 실시되었다. 전반적으로 레퍼런스 센서와 현업 센서의 측정값이 변화하는 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현업 센서가 레퍼런스 센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토양수분을 과소평가하는 지점이 많았다. 두 센서 간의 편차는 장기간 건조 상태가 지속될 경우 일정한 추세를 유지하지만, 강수가 빈번한 시기에는 그 양상이 복잡해지는 특징이 있다. 비교 관측 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기간별로 두 센서에 의해 관측된 자료의 범위와 평균을 이용하여 지점 및 깊이별 선형보정식을 개발하였다. 이 보정식을 수원 지점에 시범적으로 적용하여 뚜렷한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연속데이터에 보정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보정식이 산출되지 않은 기간의 구체적인 보정값 산정 방법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모든 관측지점에 대해 1년에 2회 정도의 주기적인 보정 작업이 토양수분 관측자료의 품질 향상을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il moisture data have been collected at 11 agrometeorological stations operat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accuracy of soil moisture data of KMA and develop a correction formula to be applied to improve their quality. The soil of the observatio...

주제어

표/그림 (12)

참고문헌 (25)

  1. Adla, S., N. K. Rai, S. H. Karumanchi, S. Tripathi, M. Disse, and S. Pande, 2020: Laboratory calibr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low-cost capacitive and very low-cost resistive soil moisture sensors. Sensors 20(2), 363. DOI: 10.3390/s20020363 

  2. Barasa, E., 2014: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METHOD FOR ANALYSING SOIL SAMPLES FOR SOIL MOISTURE CHARACTERISTICS (Code: METH05V01). World Agroforestry Centre, 10pp. 

  3. Cho, H. R., K. H. Han, Y. S. Zhang, K. H. Jung, Y. K. Sonn, M. S. Kim, and S. E. Choi, 2016: Threshold subsoil bulk density for optimal soil physical quality in upland: Inferred through parameter interactions and crop growth inhibition.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9(5), 548-554. DOI: 10.7745/KJSSF.2016.49.5.5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 H. R., Y. S. Zhang, K. H. Han, J. H. Ok, S. A. Hwang, H. S. Lee, and D. J. Kim, 2018: Decadal changes in subsoil physical properties as affected by agricultural land use typ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6(4), 567-575. DOI: 10.11626/KJEB.2018.36.4.5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 M., Y. Gwak, and S. Kim, 2017: The estimation of soil moisture characteristic curve and model parameters in a steep hillslo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Hazard Mitigation 17(6), 175-184. DOI: 10.9798/KOSHAM.2017.17.6.1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o, S., C. Park, and D. Uhm, 1996: Soil Science (3rd ed.). Hyangmunsa, 396pp. 

  7. Choi, S.-W., S.-J. Lee, J. Kim, B.-L. Lee, K.-R. Kim, and B.-C. Choi, 2015: Agrometeorological observation environment and periodic report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Current status and suggestion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2), 144-1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Evett, S. R., J. A. Tolk, and T. A. Howell, 2006: Soil profile water content determination: Sensor accuracy, axial response, calibration, temperature dependence, and precision. Vadose Zone Journal 5(3), 894-907. 

  9. Gabriel, J. L., J. I. Lizaso, and M. Quemada, 2010: Laboratory versus field calibration of capacitance probe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74(2), 593-601. 

  10. Hur, S.-O., S.-K. Ha, and J.-G. Kim, 2009: Verification of TDR and FDR sensors for volumetric soil water content measurement in sandy loam soil.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Fertilizer 42(2), 110-1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apilaratne, R. J., and M. Lu, 2017: Automated general temperature correction method for dielectric soil moisture sensors. Journal of Hydrology 551, 203-216. DOI: 10.1016/j.jhydrol.2017.05.050 

  12. Kibirige, D., and E. Dobos, 2021: Off-site calibration approach of EnviroScan capacitance probe to assist operational field applications. Water 13(6), 837. DOI: 10.3390/w13060837 

  13. Kim, S., J. Park, G. Kim, and M. Choe, 2015: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ground observation soil moisture data in Korea. Water for Future 48 (12), 16-21. 

  14. Kim, S. K., 2008: Soil Science. Greentomato, 269pp. 

  1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 Guide to agrometeorological observation. KMA, 32pp. 

  16. Leib, B. G., J. D. Jabro, and G. R. Matthews, 2003: Field evaluation and performance comparison of soil moisture sensors. Soil Science 168(6), 396-408. 

  17. Lekshmi, S. U. S., D. N. Singh, and M. S. Baghini, 2014: A critical review of soil moisture measurement. Measurement 54, 92-105. 

  18. Morgan, K. T., L. R. Parsons, T. A. Wheaton, D. J. Pitts, and T. A. Obreza, 1999: Field calibration of a capacitance water content probe in fine sand soil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63(4), 987-989. 

  19. Ojo, E. R., P. R. Bullock, J. L'Heureux, J. Powers, H. McNairn, and A. Pacheco, 2015: Calibration and evaluation of a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sensor for real-time soil moisture monitoring. Vadose Zone Journal 14(3), 1-12. 

  20. Ok, J., D.-J. Kim, K. Han, K.-H. Jung, K.-D. Lee, Y. Zhang, H. Cho, and S. Hwang, 2019: Relationship between measured and predicted soil water content using soil moisture monitoring network.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1(4), 297-306. DOI: 10.5532/KJAFM.2019.21.4.2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Roberti, J. A., E. Ayres, H. W. Loescher, J. Tang, G. Starr, D. J. Durden, E. S. Derek, E. Reguera, K. Morkeski, M. McKlveen, H. Benstead, M. D. San Clements, R. H. Lee, M. Gebremedhin, and R. C. Zulueta, 2018: A robust calibration method for continental-scale soil water content measurements. Vadose Zone Journal 17(1), 1-19. 

  22. Sentek, 2011: CALIBRATION MANUAL For Sentek Soil Moisture Sensors. Sentek Pty Ltd., 56pp. 

  23. Seo, M. J., K. H. Han, H. R. Cho, J. H. Ok, Y. S. Zhang, Y. H. Seo, K. H. Jung, H. S. Lee, and G. S. Kim, 2017: Interpreting in situ soil water characteristics curve under different paddy soil types using undisturbed lysimeter with soil sensor.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50(5), 336-344. DOI: 10.7745/KJSSF.2017.50.5.3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White, R. E., 1997: Principles and Practice of Soil Science (3rd ed.). Blackwell Science, 346pp. 

  25. Yun, J. I., 1999: Agricultural Meteorology. Arke, 337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