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학생들의 '물질의 구성' 영역 학업성취 특성 분석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composition of matter': Focusing on the Resul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66 no.2, 2022년, pp.136 - 149  

백종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이재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최원호 (순천대학교 화학교육과)

초록

화학은 거시적인 현상에 대해 원자, 또는 분자와 같은 입자의 수준에서 설명하는 것을 중점에 둔다. 입자를 기반으로 한 설명은 눈에 보이지 않는 대상을 다룬다는 점에서 학생들에게 추상적으로 여겨질 수밖에 없다.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이유로 물질을 구성하는 단위에 대한 설명을 중학생에게 처음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중학생들이 갖는 물질의 구성에 대한 이해는 향후 화학 학습을 위한 중요한 기초가 되며, 학생들의 이해를 면밀하게 살필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에서 처음 제시되는 '물질의 구성' 영역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전반적인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문항 중, 물질의 구성 영역에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출제된 문항들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출제된 9개 문항의 답지 반응률과 성취도 점수에 따른 답지 반응률 분포 곡선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성취수준별로 보이는 이해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원소와 원자 개념, 이온 개념에 대해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보통수준 이상의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과학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었으나, 기초수준 이하 학생들은 일관적이지 않거나, 과학적이지 않은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문항별 분석 결과를 토대로 '물질의 구성' 영역의 교수학습에서 고려해야 하거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emistry focuses on explaining macroscopic phenomena at the microscopic level with particles, such as atoms or molecules. Explanation using particles are bound to be considered as abstract by students, because it was dealing with invisible objects. For that reason, the science national curriculum p...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앞선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물질의 구성 영역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중에서도 특히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출제된 물질의 구성영역과 관련된 문항들에 초점을 맞추고, 학생들의 성취수준별, 성취도 점수별로 이 영역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수준에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년간에 걸쳐 누적된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시기인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년간의 학업성취도 평가의 문항 중 물질의 구성 영역으로 분류된 선다형 문항들의 평가 결과를 살펴보았다.
  • 이를 토대로 물질을 구성하는 단위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파악해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에 대한 개선 방안 및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Ministry of Education. 2015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ejong, 2015. 

  2. Lee, J.; Ku, J.; Choi, W.; Shim, K.-C.; Shin, M.-K.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20, 40, 473. 

  3. Ku, J.; Kim, K.; Kim, J.-S.; Park, S; Park, J.; Sung, K.; Lee, K.; Lee, S.; Lee, J.; Jang, E.-S.; Kang, J.; Choi., W.; Shim, K.-C.; Shin, M.-K.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9. 

  4. Lee, I.; Dong, H.; Kwon, G.; Choi, W.; Lee, G.; Park, H. Analysi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est Result in 2015 -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6. 

  5. Lee, J.; Choi, W.; Kim, Y.; Lee, K.; Dong, H.; Park, H. Analysi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est Result in 2016 -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7. 

  6. Lee, J.; Ku, J.; Choi, W.; Kim, Y.; Lee, K.; Dong, H.; Park, H. Analysi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est Result in 2017 -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8. 

  7. Lee, J.; Ku, J.; Choi, W.; Shim, K-C.; Shin, M-K.; Park, H. Analysi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est Result in 2018 -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9. 

  8. Ahn, Y.; Lee, J.; Kim, D. Analysi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est Result in 2019-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20. 

  9. Kim, D.; Kim, D.; Kim, Y.; Kim, J.; Lee, J.; Seo, M.; Jo, Y.; Lee, K.; Lee, I.; Sim, J.; Bae, J.; Jung, G.; Choi, W.; Park, Y. A Study of the Features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3. 

  10. Kim, H.-K.; Lee, I.-H.; Lee, B.; Lee, K.; Sim, J.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5, 35, 121. 

  11. Lee, I.; Lee, S.; Kim, S.; Lee, J.; Seo, M.; Jo, Y.; Lee, K.; Kim, H.-K.; Dong, H.; Pae, J.-K.; Kim, S.; Jung, K.; Kwon, K.; Lee, K. Analysis of Student Responses to Constructed Response Items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5. 

  12. Lee, J.; Ku, J.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20, 40, 429. 

  13. Jeong, E.-Y.; Choi, W.-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8, 28, 438. 

  14. Kim, H.-K.; Lee, D.-H.; Kim, S.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2016, 12, 1781. 

  15. Choi, W.-H.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13, 57, 127. (a) 

  16. Choi, W.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3, 33, 1186. (b) 

  17. Lee, B. New Physics: Sae Mulli 2015, 65, 485. 

  18. Lee, B.; Lee, I.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5, 35, 465. 

  19. Lee, J. New Physics: Sae Mulli 2019, 69, 727. 

  20. Lee, J.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0, 20, 815. 

  21. Lee, J.; Shim, K.-C. Biology Education 2020, 49, 431. 

  22. Lee, K.; Dong, H.; Choi, W.; Kwon, G.; Lee, I.; Kim, Y.-J.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7, 41, 382. 

  23. Lee, J.; Shim, K.-C. Biology Education 2020, 48, 130. 

  24. Kim, E.-J.; Han, 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2010, 3, 248. 

  25. Harrison, A. G.; Treagust, D. F. In Chemical Education: Towards Research-based Practice; Gilbert, J.K., de Jong, O., Justi, R. Treagust, D. F., Van Driel, J. H., Eds.; Dordrecht: Kluwer. 2002; p 189. 

  26. Taber, K. S. Foundations of Chemistry 2003, 5, 43. 

  27. Noh, T.; Yoon, M.; Kang, H.; Han, J.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07, 51, 423. 

  28. Yoon, H.; Lee, Y.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14, 58, 580. 

  29. Yoon, H.; Bang, D. School Science Journal 2018, 12, 164. 

  30. Noh, T.; Yoon, M.; Han, J.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09, 53, 355. 

  31. Shin, S.-H.; Park, H.; Yang, K.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16, 60, 48. 

  32. Lee, J.; Lee, B.; Noh, T.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18, 62, 243. 

  33. Kwak, 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8, 38, 625. 

  34. Shin, H.; Woo, A.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16, 60, 362. 

  35. Gerlee, P.; Lundh, T. Scientific Models; Springer: Switzerland, 2016. 

  36. Kwun, J.; Oh, H.; Ha, Y.; Kwak, J.; Kim, C.; Choe, S. School Science Journal 2021, 15, 219. 

  37. Lee, Y.; Lim, M.; Park, H.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01, 22, 237. 

  38. Jeon, S.; Park, J.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4, 34, 6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