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등학교 교사의 미래학교에 대한 공간 요구 탐색 연구 - 서울 공립 A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for Future School Spaces - With a Focus on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 원문보기

교육녹색환경연구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v.21 no.1, 2022년, pp.24 - 39  

이혜진 (원광대학교 융합교양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래학교 공간에 대한 교사의 요구를 탐색하여 향후 미래학교를 위한 사회적 합의에 교사의 목소리가 담길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달하고자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고 A초등학교(가명) 교사 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1) 시·공간을 초월한 학습의 등장 인식 및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ICT 기반의 정보화 환경의 중요성, 2) '전통성'과 '테크놀로지'를 중심에 둔 미래형 학교 공간의 특성 확인, 3) 학습 커뮤니티 공간의 중요성 인식, 4) 유연한 교수학습활동을 위한 '가변성' 있는 학급교실 강조, 5) 첨단기술 기반 학습환경에서 취약할 수 있는 감성 지원을 위한 자연 친화적인 요소의 도입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에게 '친환경성'이나 '지역사회 연계'와 같은 중요한 미래학교 관련 담론을 충분히 담은 체계적인 교육 및 경험의 기회가 필요하다는 제언을 하며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implications so that teachers' voices are heard in the social consensus for future schools by exploring teachers' needs for future school spaces. A qualitative study was performed to listen to teachers' voices directly, and 10 teachers from "A" Elementary School (...

주제어

표/그림 (2)

참고문헌 (12)

  1. 계보경(2011). 사회와 학습의 소통 공간으로서의 미래학교. 대학교육 2011년 9월-10월호, 20-25. 

  2. 계보경(2016). 미래 학교 공간의 설계 방향. 교육시설, 23(4), 18-22. 

  3. 김달효(2021). 미래형 학교 공간의 특성에 관한 교사들의 요구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33(4), 894-902. 

  4. 김도기, 박정란, 이규식, 조규진(2017). 미래학교 환경 및 공간 구성 방안. 인천교육과학연구원 교육정책연구소. 

  5. 김도기, 김지선, 문영진, 김제현, 권순형, 문영빛(2019). 미래학교의 개념 및 공간 설계의 방향 탐색. 교원교육, 35(2), 119-146. 

  6. 이경선 (2016). 미래학교의 디자인 방향. 교육시설, 23(4), 12-17. 

  7. 이재림 (2020). 미래 교육정책에 따른 학교 공간 혁신의 방향. 건축, 64(11), 40-42. 

  8. 조윤정, 김아미, 박주형, 정제영, 홍제남(2017). 미래학교 체제 연구: 학습자 주도성을 중심으로. 경기도교육연구원. 

  9.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미래학교 디자인 가인드라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0. Anderson, T., Rourke, L., Garrison, D. R., & Archer, W. (2001). Assessing teaching presence in a computer conference context.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5(2), 1-17. 

  11. Deed C and Dwyer M(2018). Five propositions:Representing design in action. In S. Alterator & C.Deed(eds.). School space and its occupation:Conceptualising and evaluating innovative learningenvironments. Boston: Brill Sense. 

  12. Krippendorff, K., 2018,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4nd ed.), CA: Sage publications, Inc.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