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엔트로피 가중치를 활용한 지역별 홍수취약도 기반의 서울지역 강우기준 산정기법
Development for rainfall classification based on local flood vulnerability using entropy weight in Seoul metropolitan ar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5 no.4, 2022년, pp.267 - 278  

이선미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 ,  최영제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 ,  이은경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 ,  지정원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 ,  이재응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내에서는 집중호우로 인해 홍수피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피해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도시지역은 인구와 재산이 밀집되어 있어 홍수에 매우 취약한 지역이며, 매년 하수관거 설계빈도 이상의 강우 발생 등으로 인해 내수침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각 지자체에서는 홍수피해 저감을 위해 기상청에서 전국적으로 동일한 강우기준에 따라 발령하는 호우특보를 통해 홍수피해 대비 및 대응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서울특별시는 25개 자치구가 밀집되어 있지만 자치구별로 기후, 지형, 방재 등 지역특성 및 홍수피해 특성이 상이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지역특성을 고려한 엔트로피 가중치 및 유클리드 거리를 활용하여 자치구별 홍수취약도를 산정하고, 확률강우량 및 과거 홍수피해 강우량을 기반으로 강우기준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자치구별 2단계 강우기준은 기상청의 호우주의보 기준, 4단계 강우기준은 호우특보 기준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후노출이 높고 적응도가 낮은 서울 북부지역이 상대적으로 홍수취약도가 높아 강우기준이 낮게 산정되었다. 이에 따라 서울 북부지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강우기준에 따라 선제적으로 홍수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지역특성 및 피해특성을 고려하여 산정된 자치구별 강우기준을 활용하여 기상예측자료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선제적인 홍수대응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Flood damage volume has increased as heavy rain has frequently occurred. Especially urban areas are a vulnerability to flooding damage because of densely concentrated population and property. A local government is preparing to mitigate flood damage through the heavy rain warning issued by K...

주제어

표/그림 (16)

참고문헌 (17)

  1. Choi, C.K., and Kim, K.T. (202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ainfall risk information considering loc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20, No. 3, pp. 237-245. 

  2. Choi, Y.J., and Yi, J.E. (2019). "Research on flood risk forecast method using weather ensemble prediction system in urban reg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Vol. 52, No. 10, pp. 753-761. 

  3. Dapeng, H., Renge, Z., Zhiguo, H., and Fei, M. (2012). "An assessment of multidimensional flood vulnerability at the provincial scale in China based on the DEA method." Journal of Natural Hazard, Vol. 64, pp. 1575-1586. 

  4. Hiren, D., and James, M.E. (2017). "Characteristics of intense rainfall over GujaratState (India) based on percentile classification."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Vol. 62, No. 12, pp. 2035-2048. 

  5. Hwang, N.H., Park, H.S., and Chung, G.H. (2019). "Flood vulnerability analysis in Seoul,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Vol. 52, No. 10, pp. 729-742. 

  6.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1). Climate change 2001: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7. Kim, Y.H., Choi, D.Y., Chang, D.E., Yoo, H.D., and Jin, G.B. (2011). "An improvement on the classification of special weather report for heavy rain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rainfall damage and the recent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Atmosphere, Vol. 21, No. 4, pp. 481-495. 

  8. Kim, Y.K., Chung, E.S., and Lee, K.S. (2012). "Fuzzy TOPSIS approach to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in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Vol. 45, No. 9, pp. 901-913. 

  9. Kim, Y.T., Park, M.H., and Kwon, H.H. (2020). "Spatio-temporal summer rainfall pattern in 2020 from a rainfall frequency perspectiv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isaster & Security, Vol. 13, No. 4, pp. 93-104. 

  10. Lee, S.H., Kang, J.E., Bae, H.J., and Yoon, D.K. (2015). "Vulnerability assessment of the air pollution using entropy weights: Focused on Ozon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ol. 21, No. 4, pp. 751-763. 

  11.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8). 2018 Flood damage situation. 

  1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1991). Environmental indicators. A preliminary set. Paris, France. 

  13. Ouma, Y.O., and Tateishi, R. (2014). "Urban flood vulnerability and risk mapping using integrated multi-parametric AHP and GIS: Methodological overview and case study assessment." Water, Vol. 6, No. 6, pp. 1515-1545. 

  14. Shannon, C.E. (1948).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The Bell System echnical Journal, Vol. 27, No. 3, pp. 379-423. 

  15. Shim, J.H., and Choi, S.Y. (2012). "Analysis of urban flood damage and strategies of Flood Response Strategies in future cities."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5, No. 7, pp. 16-22. 

  16. Shin, H.J., Choi, Y.J., and Yi, J.E. (2019). "Analysis of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flood damage vulnerability in an urban area: The Han River basi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9, No. 5, pp. 293-303. 

  17. Song, J.H., Kim, S.D., Park, M.J., and Choi, H.I. (2013). "Estimation of flood risk index for the Nakdong River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Vol. 46, No. 1, pp. 35-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