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과수 및 화훼 시설하우스 내 작업자의 미세먼지 노출현황 모니터링
Monitoring of Working Environment Exposed to Particulate Matter in Greenhouse for Cultivating Flower and Fruit 원문보기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v.31 no.2, 2022년, pp.79 - 89  

서효재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김효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서일환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라봉 3농가, 절화장미 3농가를 대상으로 시설하우스 내부 농작업 종류와 특성에 따른 시설 내 작업자의 미세먼지 노출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미세먼지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한라봉 시설하우스 내부 경운작업의 경우 작업자가 지역시료에 비해 개인시료 측정 농도가 TSP 4.9배, PM-10 2.7배, PM-2.5 1.5배로 더 높게 나타났다. 절화장미 작업자는 개인시료의 경우 지역시료에 비해 TSP 농도 7.4배, PM-10 농도 3.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시설 내부 작업 시 작업자는 전반적으로 더 높은 분진 환경에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하우스 미세먼지 입경별 기여도 분석 결과, 10㎛ 이상의 큰 입자 분포를 가진 미세먼지가 경운작업 시 기계적 분쇄과정을 거쳐 한라봉 시설하우스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절화 장미 옆순 정리 작업 시 상대적으로 PM-10의 입경 분포를 가진 미세먼지 농도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PM-2.5 크기를 가지는 입자에 의한 영향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시설하우스 내부 작업동선에 따른 미세먼지 노출 특성 분석 결과, 경운작업 시 10㎛ 전·후의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시설하우스 작업시기와 이동시기와 비교하여 입경별 미세먼지 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작업 시 미세먼지 농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 < 0.001). 한라봉 시설하우스 내부 이동시기 대비 경운작업시기의 경우 TSP 농도 3.8배, PM-10 농도 2.1배, PM-2.5 1.3배, PM-1.0 1.1배가 증가하였다. 절화장미 농가에서 이동 시 작업자에게 노출되는 미세먼지 농도의 경우 일반 대기환경 농도와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동시기 대비 작업시기에 TSP 농도가 3.4배, PM-10 3.2배, PM-2.5 1.6배, PM-1.0 1.1배 증가하였다. 작업동선별 미세먼지 농도 증가 추이 분석 결과, 미세먼지의 입경이 큰 범위에 속하는 TSP, PM-10의 경우 작업 시 TSP와 PM-10 평균 농도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농가별 작업의 종류, 시설 규모, 환기량, 농가의 운영관리상태 등에 따라 미세먼지 발생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시설하우스 내부 작업자의 미세먼지 노출현황과 특성 분석을 기반으로 시설하우스 내부 미세먼지 저감 프로그램 개발 및 작업 환경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wide use of greenhouses, the working hours have been increasing inside the greenhouse for workers. In the closed ventilated greenhouse, the internal environment has less affected to external weather during making a suitable temperature for crop growth. Greenhouse workers are exposed to orga...

Keyword

참고문헌 (27)

  1. Beaumont J.J., D.F. Goldsmith, L.A. Morrin, and M.B. Schenker 1995, Mortality in agricultural workers after compensation claims for respiratory disease, pesticide illness, and injury. J Occup Environ Med 37:160-169. doi:10.1097/00043764-199502000-00015 

  2. Cambra-Lopez M., A.H.A. Aarnink, Y. Zhao, S. Calvet, and A.G. Torres 2010, Airborne particulate matter from livestock production systems: A review of an air pollution problem. Environ Pollut 158:1-17. doi:10.1016/j.envpol.2009.07.011 

  3. Ergonen A.T., S. Salacin, and M.H. Ozdemir 2005, Pesticide use among greenhouse workers in Turkey. J Clin Forensic Med 12:205-208. doi:10.1016/j.jcfm.2004.10.017 

  4. Gomez M.I., S.A. Hwang, S. Lin, A.D. Stark, J.J. May, and E.M. Hallman 2004,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respiratory symptoms among New York farmers and farm residents. Am J Ind Med 46:42-54. doi:10.1002/ajim.20018 

  5. Ha H.Y., D.S. Ra, W.C. Shin, G.J. Im, and J.E. Park 2012, Survey of pesticide use in fruit vegetables, fruits, and rice cultivation areas in korea. Korean J Pestic Sci 16:395-400. (in Korean) doi:10.7585/kjps.2012.16.4.395 

  6. Holmberg S., E. Stiernstrom, A. Thelin, and K. Svardsudo 2002,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farmers and nonfarmers: a population-based study. Int J Occup Environ Health 8:339-345. doi:10.1179/107735202800338623 

  7. Kim H.C., K.R. Kim, K.S. Lee, K.S. Kim, and K.A. Cho 2007, The characteristics of farmer's dermal exposure during pesticide spraying and dilution in cut rose greenhouse.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17:203-211. (in Korean) 

  8. Kim H.C., K.S. Lee, H.S. Chae, Y.S. Park, and K.D. Min 2012, A research on airborne nicotine exposure during harvest and weaving tasks in tobacco farms.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2:217-223. (in Korean) 

  9. Lee K.Y. 2010a, Characterization of task-weighted agricultural dust exposure of vineyard workers. J Environ Health Sci 36:264-270. (in Korean) doi:10.5668/JEHS.2010.36.4.264 

  10. Lee S.J. 2010b, The occupational diseases of agricultural workers. Hanyang Med Rev 30:305-312. (in Korean) doi:10.7599/hmr.2010.30.4.305 

  11. Lee W.J. 2011, Pesticide exposure and health. J Environ Health Sci 37:81-93. (in Korean) doi:10.5668/JEHS.2011.37.2.081 

  12. Mathias C.G. 1988, Occupational dermatoses. J Am Acad Dermatol 19:1107-1114. doi:10.1016/s0190-9622(98)80005-4 

  13. Mestres R., C. Francois, C. Causse, L. Vian, and G. Winnett 1985, Survey of exposure to pesticides in greenhouses. Bull Environ Contam Toxicol 35:750-756. doi:10.1007/BF01636584 

  14. MAFR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21,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jor statistics. MAFRA, Sejong, Korea. 

  15. Moran R.E., D.H. Bennett, J. Garcia, and M.B. Schenker 2014, Occupational exposure to particulate matter from three agricultural crops in California. Int J Hyg Environ Health 217:226-230. doi:10.1016/j.ijheh.2013.05.002 

  16. Nordgren T.M., and K.L. Bailey 2016, Pulmonary health effects of agriculture. Curr Opin Pulm Med 22:144-149. doi:10.1097/MCP.0000000000000247 

  17. Roque K, G.D. Lim, J.H. Jo, K.M. Shin, E.S. Song, R. Gautam, C.Y. Kim, K. Lee, S. Shin, H.S. Yoo, Y. Heo, and H.A Kim 2016, Epizootiological characteristics of viable bacteria and fungi in indoor air from porcine, chicken, or bovine husbandry confinement buildings. J Vet Sci 17:531-538. doi:10.4142/jvs.2016.17.4.531 

  18. RDA (Rural Developement Administration), Effects of fine dust on agricultural products.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z/psza/contentSub.ps;jsessioniddAk43bwRDhi75hDdga8S8aOG40oJEJq64esIStFasVfOv1h80ZPOPLKYW021P4Ed.nongsaro-web_servlet_engine1?menuIdPS00078&pageIndex1&pageSize10&cntntsNo208543&sTypesCntntsSj&sText. Accessed 5 April 2018 

  19. Seo H.J., B.W. Oh, H.C. Kim, S.J. Sin, and I.H. Seo 2020, Concentrations of Particulate Matter Exposed to Farm Workers in the Broiler Houses. J Korean Soc Agric Eng 62:27-37. (in Korean) doi:10.5389/KSAE.2020.62.5.027 

  20. Sin S.J., H.C. Kim, J.Y. Heo, M.J. Ahn, K.R. Kim, K.S. Kim, and M.J. Lee 2019, A study of categorization of farm types and crops for exposure assessment in agriculture.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9:500-507. (in Korean) doi:10.15269/JKSOEH.2019.29.4.500 

  21. Stamper J.H., H.N. Nigg, W.D. Mahon, A.P. Nielsen, and M.D. Royer 1988, Pesticide exposure to greenhouse foggers. Chemosphere 17:1007-1023. doi:10.1016/0045-6535(88)90071-9 

  22. Swanepoel A.J., D. Rees, K. Renton, C. Swanepoel, H. Kromhout, and K. Gardiner 2010, Quartz exposure in agriculture: literature review and South African survey. Ann Occup Hyg 54:281-292. doi:10.1093/annhyg/meq003 

  23. Takai H., S. Pedersen, J.O. Johnsen, J.H.M. Metz, P.W.G. Groot Koerkamp, G.H. Uenk, V.R. Phillips, M.R. Holden, R.W. Sneath, J.L. Short, R.P. White, J. Hartung, J. Seedorf, M. Schroder, K.H. Linkert, and C.M. Wathes 1998, Concentration and emissions of airborne dust in livestock buildings in Northern Europe. J Agric Eng Res 70:59-77. doi:10.1006/jaer.1997.0280 

  24. Wathes C.M., M.R. Holden, R.W. Sneath, R.P. White, and V.R. Phillips 1997, Concentrations and emission rates of aerial ammonia, nitrous oxide, methane, carbon dioxide, dust and endotoxin in UK broiler and layer houses. Br Poult Sci 38:14-28. doi:10.1080/00071669708417936. 

  25. Watson J.G., J.C. Chow, L. Chen, and X. Wang 2010, Measurement system evaluation for fugitive dust emissions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Desert Research Institute, Reno, NV, USA. 

  26. Yoo D.H., H.A. Kim, Y. Heo, J.H. Sung, H.K. Lee, and Y.G. Park 2003, Concentration of dust and endotoxin in swine confinement buildings.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13:45-52. (in Korean) 

  27. Zuskin E., E.N. Schachter, and J. Mustajbegovic 1993, Respiratory function in greenhouse workers.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64:521-526. doi:10.1007/BF00381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