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수업을 설계할 때 주목하는 것은 무엇인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수업에 대한 관점
What d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ay Attention to When Designing Science Lessons: Perspectives on Designing Science Lessons by Pre-service Teachers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5 no.1, 2022년, pp.16 - 26  

김성운 (한국교원대학교) ,  임성만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수업을 설계할 때 무엇에 주목하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탐구를 강조하는 수업, 학생의 흥미, 수준, 오개념 처치를 고려한 수업, 일상생활과 밀접한 수업에 주안점을 두며 과학수업을 설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초등 예비교사들은 실험 및 탐구를 강조하는 과학수업 설계에 대해 많은 언급을 한 것으로 보아 탐구를 강조하는 것이 과학수업 설계에서 중요한 점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이 탐구를 강조하는 것과 같이 과학교육의 중요한 측면을 인식하고 있는 점은 매우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예비교사들의 교사 전문성 계발을 위해 교사 및 동료와의 협업을 통한 수업설계 및 실연 기회를 늘려가야 함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pre-service teachers pay attention to when designing science less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ponses of pre-service teachers, it is analyzed that pre-service teachers are designing science lessons with emphasis on science inquiry, considering students' inte...

주제어

표/그림 (1)

참고문헌 (46)

  1. 곽한영(2006). 실용지능의 개념이 예비교사 교육과정 개선에 갖는 함의에 대한 연구. 시인교육연구, 38(1), 1-18. 

  2.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9]. 

  3. 권치순, 최은선(2009). 초등학교 과학 실험에서의 안전사고 최소화 방안.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2(1), 13-22. 

  4. 권치순, 허명, 양일호, 김영신(2004).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태도 변화에 대한 학습환경의 원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56-1271. 

  5. 권혁순, 최은규, 노태희(2004). 화학 교육에서 사용되는 비유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및 비유 사용의 제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287-297. 

  6. 박원미(2020). 지구과학 예비교사가 설계한 수업내용의 논증구조에 나타난 반박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3), 238-252. 

  7. 박준형, 나지연, 정용재, 송진웅(2015). 초등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수업의 특징: 과학수업 문화 분석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499-508. 

  8. 서혜애(2010). 과학.수학교사 생애주기 연수체제 구축을 위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9. 양희선, 김현섭(2017).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피드백 기반 실험수업 모형의 적용 효과. 현장과학교육, 11(2), 246-259. 

  10. 엄미리, 엄준용(2009). 교육실습 전후 예비교사의 역량 변화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3), 491-508. 

  11. 이미경, 김경희(2004).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99-407. 

  12. 이선경, 오필석, 김혜리, 이경호, 김찬종, 김희백(2009). 과학 교사의 교수내용지식과 실천적 지식에 관한 연구 관점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27-57. 

  13. 이은주, 손연아(2013). 중등과학교사의 통합과학 수업설계 과정에 대한 사례분석 및 컨설팅-통합과학 5단계 수업계획서 설계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208-227. 

  14. 이준기, 신세인, 하민수(2015). 중등학생들의 과학과 생물에서의 '실험'의 의미에 대한 인식구조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6), 997-1006. 

  15. 임성만(2017).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은'수업'에서 무엇을 보는가?-예비교사들의 수업 경험과 비평을 통해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199-213. 

  16. 전경문(2015). 과학 탐구 지도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조사. 과학교육연구지, 39(2), 267-277. 

  17. 정용재, 천은겸(2014). 국내 "실행공동체" 관련 연구 동향 분석-초등 과학교육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3(3), 464-478. 

  18. 하희수, 강은희, 김희백(2020). 탐구 수업 설계 강좌에서 예비 중등 과학 교사의 위치짓기와 인식적 이해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3), 307-320. 

  19. Allan, E., Shane, J., Brownstein, E. M., Ezrailson, C., Hagevik, R., & Veal, W. (2009). Using performance-based assessments to prepare safe science teacher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0, 495-500. 

  20. Bhattacharyya, S., Volk, T., & Lumpe, A. (2009). The influence of an extensive inquiry-based field experience on pre-service elementary student teachers' science teaching belief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0, 199-218. 

  21. Brophy, J. E. (1999). Perspectives of classroom management: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In H. Freiberg (Ed.), Beyond behaviorism: Changing the classroom management paradigm (pp. 43-56). Boston: Allyn and Bacon. 

  22. Bybee, R. W. (2010). Advancing STEM education: A 2020 vision. Technology and Engineering Teacher, 70(1), 30-35. 

  23. Bybee, R. W. (2013). The case for STEM education: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rlington, VA: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4. Colaizzi, P. E.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existential phenomen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5. Gagne', M., & Deci, E. L. (2005).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work motiv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6, 331-362. 

  26. Galison, P. (1997). Three laboratories. Social Research, 64(3), 1127-1155. 

  27. Gess-Newsome, J., & Lederman, N. G.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S. Magnusson, J. Krajcik, & H. Borko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science education (pp. 95-132).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The Netherlands. 

  28. Gowin, D. B. (1981). Educating. Ithaca,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29. Hurd, P. D. (1983). Science education: The search for new vision. Educational Leadership, 41, 20-22. 

  30. Klopfer, L. E. (1971). Evaluation of learning in science. In B. S. Bloom, J. T. Hastings, & G. F. Madsus (Eds.), Handbook on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of student learning. New York: McGraw-Hill. 

  31. Leonard, J., Barnes-Johnson, J., Dantley, S. J., & Kimber, C. (2011). Teaching science inquiry in urban contexts: The role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beliefs. The Urban Review, 43, 124-150. 

  32. Manz, E. (2015). Resistance and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practice: Designing the mangle into science instruction. Cognition and Instruction, 33(2), 89-124. 

  33. Martin-Dunlop, C. S. (2012).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perceptions of the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3(3), 873-893. 

  34.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2000). Inquiry and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5.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NSTA). (2007). NSTA position statement. The Integral Role of Laboratory Investigations in Science Instruction. Retrieved May 15, 2015 from http://www.nsta.org/about/positions/laboratory.aspx 

  36.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NGSS). (2013). Retrieved May 15, 2015 from http://www.nextgenscience.org/next-generation-science-standards 

  37. Posner, G. J., Strike, K. A., Hewson, P. W., & Gertzog, W. A. (1982). Accommodation of a scientific conception: Toward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Science Education, 66, 211-227. 

  38. Sardo-Brown, D. (1990). Experienced teachers' planning practices: A US survey. Journal of Educational for Teaching, 16(1), 57-71. 

  39. Silber, K. H. (2007). A principle-based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A new way of thinking about and teaching ID. Educational Technology, 5-19. 

  40. Steele, A., Brew, C., Rees, C., & Ibrahim-Khan, S. (2013). Our practice, their readiness: Teacher educators collaborate to explore and improve preservice teacher readiness for science and math instruction.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4(1), 111-131. 

  41. Stoffels, N. T. (2005). "There is a worksheet to be followed": A case study of a science teacher's use of learning support texts for practical work. African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9, 147-157. 

  42. Taylor, A. R., Jones, M. G., Broadwell, B., & Oppewal, T. (2008). Creativity, inquiry, or accountability? Scientis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92(6), 1058-1075. 

  43. Van Driel, J. H., Verloop, N., & De Vos, W. (1998). 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6), 673-695. 

  44. Yager, R. E. (1986). To Sts an sets course in K-12 settings. Bulletin of Science, Technology & Society, 6, 276-281. 

  45. Young, A. C., Reiser, R. A., & Dick, W. (1998). Dosuperior teachers employ systematic instructional planning procedures? A descriptive study. ETR&D, 46, 65-78. 

  46. Young, M. J., Brett, B., Squires, S., & Lemire, N. (1995). Symposium: A new observation tool for looking at inquiry-based teaching and learn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nnual Meeting in San Francisco, April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