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달산(경상북도 봉화군) 일대의 관속식물상
A Flora of Vascular Plants of Seondalsan Mountain (Bonghwa-gun, Gyeongsangbuk-do)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5 no.2, 2022년, pp.289 - 316  

안민우 (국립한국자생식물원) ,  정선 (안동대학교 원예.생약융합학부) ,  김재영 (안동대학교 원예.생약융합학부) ,  조형준 (안동대학교 원예.생약융합학부) ,  허태임 (국립백두대간수목원) ,  이혜정 (국립백두대간수목원) ,  서을원 (안동대학교 생명공학부) ,  정규영 (안동대학교 원예.생약융합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하는 선달산(1,236 m)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을 밝히고 그들의 유용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14년 4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총 20회에 걸쳐 조사된 식물은 확증표본을 기초로 할 때 총 96과 341속 562종 18아종 53변종 5품종 63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특산식물은 20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멸종위기종 1분류군, 취약종 3분류군, 약관심종 9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 중 V등급이 1분류군, IV등급이 11분류군, III등급이 2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분류군의 유용성에 따른 구분에 의하면 식용 440종류, 약용 505종류, 향료용 19종류, 산업용 234종류, 관상용 335종류, 생태복원용 214종류, 사료/퇴비용 269종류로 나타났고, 이 외에 용도를 알 수 없는 식물이 30종류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30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lucid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fulness of Seondalsan Mountain (1,236 m) in Bonghwa-gun, Gyeongsangbuk-do. The surveys were carried out 20 times from April in 2014 to October in 2020. The vascular plants of Seondalsan Mountain was consisted a...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16)

  1. Chung, G.Y.,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3):264-288 (in Korean). 

  2. Jung, S.Y., J.W. Lee, H.T. Shin, S.J. Kim, J.B. An, T.I. Heo, J.M. Chung and Y.C. Cho. 2017.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8-265 (in Korean). 

  3. Kim, C.H., M.O. Moon, J.K. Ahn, I.C. Hwang, S.H. Lee, S.S. Choi, J.H. Lee, H.M. Bum, C.G. Kim and J.Y. Cha.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pp. 8-728 (in Korean). 

  4. Kim, Y.S., E.B. Lee, G.Y. Chung and J.S. Suh. 1999. Flora of vascular plant in the Mts. Seondal and Eorae. The Report the KACN 39:19-30. 

  5. Koh, K.S., I.G. Kang, M.H. Suh, J.H. Kim, K.D. Kim, J.H. Kil, H.I. Rhu, D.S. Kong, E.B. Lee and E.S. Chun. 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 (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pp. 1-215 (in Korean). 

  6. Korea Forest Service. 2014. The assessment for vascular plant resources and the reclassification of their usefulness from Korea.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7-435 (in Korean). 

  7.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7. http://www.weather.go.kr. (2017. 12. 31) 

  8.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Geobook Publishing Co., Pocheon, Korea. pp. 1-332 (in Korean). 

  9.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1006 (in Korean). 

  10. Lee, H.J., J.G. Byeon, T.I. Heo, J.D. Kim, B.J. Park, D.H. Lee and J.W. Lee. 2021. A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Munsusan, Bongwha. Korean J. Plant Res. 34(6):633-660. 

  11. Lee, J.E., C.H. Lee and C.W. Yun. 2021.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for a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in Mt. Seondalsan, Bongwha. J. Korean Soc. For. Sci. 110(1):1-12. 

  12.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a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1824 (in Korean). 

  13.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855 (in Korean). 

  14. Lee, W.T. and Y.J. Yim. 2002. Plant Geograph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Korea. pp. 1-412 (in Korean). 

  15.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Gyohak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1860 (in Korean). 

  16.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Publishing Co., Berlin, Germany. pp. 5-6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