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술수준별 제조창업의 공간분포 특성과 고용증가 효과 분석
Analysis of Job Creation Effects and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tartups in Manufacturing at Different Technology Levels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25 no.4, 2022년, pp.600 - 616  

우한성 (한국산업단지공단 산업입지연구소) ,  서대현 (한국산업단지공단 산업입지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제조창업의 공간적 맥락에 대한 고찰과 함께 DID모형을 활용하여 기술수준별 제조창업의 연차별 고용증가 효과 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도시 지역에서의 특성이 다르게 확인되었다. 특히 고기술 제조창업은 수도권에서 단기에 걸쳐 고용증가 효과가 두드러진 반면 비수도권에서는 중고기술 제조창업이 장기에 걸쳐 고용증가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대도시 지역에서는 기술수준별 제조창업의 고용증가 효과가 뚜렷하게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가 제공하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수도권의 고기술 제조창업은 비교적 단기에 고용증가 효과가 높게 나타나므로 그 효과가 장기간 지속될 수 있도록 창업 후 일정 기간이 지난 생존기업의 스케일업에 정책지원이 집중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반면 비수도권 및 지방 대도시 지역에서는 창업지원 인프라의 수도권 쏠림현상과 인재유출 등의 현실적인 상황을 감안하여 실제적인 고용증가 효과가 확인되는 중고기술 창업, 즉 전통적 제조기반을 토대로 한 산업영역에 창업지원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으며 고용창출 효과가 드러나는 시차를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에서 정책지원, 평가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templates spatial context of startup in manufacturing, mainly analyzing job creation effects of time lag of startups in manufacturing at different technology levels. Using DID model, we found that each region including capital, non-capital and metropolitan area shows different job crea...

주제어

참고문헌 (25)

  1. 관계부처합동, 2022.6.16., 새정부 경제정책방향. 

  2. 김원규.김진웅, 2014, "창업이 고용창출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1(2), pp.211-227. 

  3. 김정홍.정윤선.안준기, 2015, "기술창업기업의 특성 및 일자리 창출 실증분석," 응용경제 17(2), pp.167-193. 

  4. 박창대.안승구.박중구, 2018, "한국 R&D투자의 기술수준별 제조업 구분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가 분석: 산업연관표 활용," 기술혁신연구 26(1), pp.85-105. 

  5. 송창현.안순범.임업, 2021, "수도권 제조업 창업 활동의 공간적 분포 변화 - 공간 마르코프 체인의 응용," 지역연구 37(2), pp.63-82. 

  6. 우한성, 2020, 지식기반산업 육성이 지역 일자리 창출에 미치는 함의, 한국산업단지공단. 

  7. 이동주.이윤보.김종운, 2011, "창업이 고용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33(2), pp.73-92. 

  8. 이용백.진장익, 2021, "서울시 도시재생사업이 주변지역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이중차분법을 활용하여," 국토계획 56(4), pp.120-136. 

  9. 이윤숙.문성욱, 2016, "창업의 수, 생존율 및 고용 성장에 관한 고찰: 1994년에서 2013년까지 서울시 사업체를 중심으로," KBR 20(2), pp.121-141. 

  10. 이정현.이희연, 2017, "지식기반산업 창업기업의 고용창출 효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 pp.137-157. 

  11. 조성철, 2018, 혁신성장을 위한 기술형 제조창업기업 육성방안, 국토연구원. 

  12. 주경원, 2002, "기술집약도에 따른 한국제조업의 장기적 수출경쟁력 변화," 국제무역연구 8(1), pp.1-31. 

  13. 중소벤처기업부, 2021.4.26., 한국 창업 생태계의 변화 분석. 

  14.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인가용서비스, 각 연도, 전국사업체조사(최종열람일: 2022년 8월 1일). 

  15. 허문구.김윤수, 2021, 지역별 혁신성장역량의 공간분포와 정책대응 기본방향, 산업연구원. 

  16. 홍지승.홍석일, 2008,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유형화와 정책적 시사점, 산업연구원. 

  17. Almon, S., 1965, "The Distributed Lag between Capital?Appropriations and Net Expenditures," Econometrica?33, pp.178-196. 

  18. Audretsch, D. B. and Fritsch, M., 1994, "The geography of?firm birth in Germany," Regional Studies 28(4), pp.?359-365. 

  19. Baptista, R. and Mendonca, J., 2010, "Proximity to knowledge sources and the location of knowledge-based?start-ups," The Annals of Regional Science 45(1),?pp.5-29. 

  20. Baptista, R. and Preto, M. T., 2011, "New Firm Formation?and Employment Growth: Regional and Business?Dynamics," Small Business Economics 36(4), pp.419-442. 

  21. Fritsch, M. and Mueller, P., 2004, "Effects of New Business?Formation on Regional Development over Time,"?Regional Studies 38(8), pp.961-975. 

  22. OECD, 2011, "ISIC Rev. 3 Technology Intensity Definition?(online document)," http://www.oecd.org/dataoecd/43/41/48350231.pdf (22 August 2022). 

  23. OECD, 2016, "What's New since Old Version of STAN(online document)," http://www.oecd.org/industry/ind/41740881.pdf (22 August 2022). 

  24. Schumpeter, J. A., 1942,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Harper & Row, New York. 

  25. Szarek, J. and Piecuch, J., 2018, "The importance of startups?for construction of innovative economies," International?Entrepreneurship 4(2), pp.69-7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