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고생의 회복탄력성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A Exploratory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Resilience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3 no.5, 2022년, pp.425 - 433  

황란희 (광주여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목적은 여고생 177명의 상태불안, 우울 및 회복탄력성 정도와 그 변수들 사이의 관계, 여고생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살펴보는데 있다. 대상자의 상태불안은 평균 39.56±11.37점으로, 학교성적, 학교생활 만족 정도, 부모님의 양육태도 및 가정생활 만족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우울은 평균 7.53±8.52점으로, 교우관계, 학교생활 만족 정도, 부모님의 양육태도 및 가정생활 만족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회복탄력성은 평균 98.36±17.76점으로, 학교성적과 부모님의 양육태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회복탄력성은 상태불안, 우울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태불안은 우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고생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상태불안, 학교성적이 상인 경우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여고생의 정서적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회복탄력성 강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state-anxiety, depression and resilience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resilience. Data were collected 177 female high school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t-test, Scheffe's tes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25)

  1. Statistics. (2019). 2019 Regular Assessment Report. 

  2. WHO. (2014). Health for the world's adolescents report. GENEVA. 

  3. Korea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0). Korean Youth Indicators Survey. 

  4. J. Battle. (1978).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Psychological Report, 42(3), 745-6. DOI : 10.2466/pr0.1978.42.3.745 

  5. K. S. Dobson. (1985).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and Depress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5(4), 307-324. DOI : 10.1016/0272-7358(85)90010-8 

  6. H. Y. Lee. (2017). Causal Model of Depression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Doctoral degre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7. S. Shin, K. N. Kwon, E. Lee & H. Joung. (2015).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Depression Status and Dietary Behaviors of High School Girl.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52(1), 21-31. 

  8. A. S. Masten. (2001).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5 6, 227-238. https://psycnet.apa.org/doi/10.1037/0003-066X.56.3.227 

  9. J. H. Kim. (2011). Resilience: A pleasant secret to turning trials into luck. Seoul: Wisdomhouse. 

  10. E. K. Ahn. (2019). The Trends of the Research on Resilience in Korean Nursing Students - Perspectives Converge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5), 397-405. DOI : 10.15207/JKCS.2019.10.5.397 

  11. M. A. Lee, & J. H. Park. (2017). A Study on Resilience Experience of Young Children's Free Play in the Forest. Journal of Parent Education, 9(4), 253-272. 

  12. H. S. Kang, S. S. Lee & S. H. Cho. (2021). The Effect of a Group Program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Psychodrama. Journal of Social Science, 32(1), 61-74. DOI : 10.16881/jss.2021.01.32.1.61 

  13. W. R. Saltzman. (2016). The focus family resilienc eprogram: an innovative family intervention for tr auma and loss. Family Process, 55, 647-659. DOI : 10.1111/famp.12250 

  14. K. H. Choo. (2015). Mediation Effects of Resilience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mong Korea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DOI : 10.17485/ijst/2015/v8iS7/70446 

  15. C. D. Spielberger, R. L. Gorsuch, & R. E. Lushene. (1970). Manual for the state - trait anxiety inventory. CA: Californi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16. J. T. Kim. (1978). The Relationship of Trait Anxiety and the Socia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17. A. T. Beck, C. H. Ward, M. Mendelson, J .Mock & J. Erbaugh. (1961).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4, 45-52. DOI : 10.1001/archpsyc.1961.01710120031004 

  18. Y. H. Lee & J. Y. Song. (1991).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1), 98-113.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370621 

  19. J. H. Kim, W. Y. Shin & M. G. Kim. (2009). Developing Measures of Resilience for Korean Adolescents and Testing Cros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Studies on Korean Youth, 20(4), 105-131.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288607 

  20. R. H. Hwang. (2020). Effects of Sense of Self-Control and Depression on Pregnant Women's State-Anxie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3), 207-215. DOI : 10.14400/JDC.2017.15.10.1 

  21. D. H. Han, H. S. Kim & S. H. Jang. (2018). The Effect of Depression, Trait Anxiety, Social Sup port and Adult Attachment on Life Adjustment inC olle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3(1), 73-88. DOI : 10.21097/ksw.2018.02.13.1.73 73 

  22. E. Lee, & R. Ma. (2018). The Relationships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Sleep Time and Depression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Multimedia Services Conve 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18(4), 533-542. DOI : 10.21742/AJMAHS.2018.04.61 

  23. J. S. Bae & J. H. Choi. (2020).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Symptoms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1(12), 547-557. DOI : 10.5762/KAIS.2020.21.12.547 

  24. G. S. Jeong, & B. K. Chung. (2017).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ary Work and Wellbeing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 33(1), 163-178. 

  25. E. S. Kim & H. Y. Jang. (2020). A study on the effect of resilience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tress and career preparati on behavior:The mediation effect of family strength. Counseling Psychology Education Welfare, l7(4), 141-155. DOI : 10.20496/cpew.2020.7.4.1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