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의 자존감이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자녀가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arental Self-esteem on Adolesc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Attitud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5, 2022년, pp.734 - 745  

최혜리 (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  박승민 (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 자존감이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사이를 부모 양육태도가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8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 중 1차년도(2018) 중학교 1학년과 그들의 부모 2,590쌍의 자료를 추출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부모 자존감과 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 자존감이 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부모의 양육태도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 양육태도의 6개 하위 요인 중 비일관성만이 유의미하였다. 결론적으로,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하기 위한 부모 측면의 요소로서, 부모 자신의 자존감 고취, 그리고 부모의 일관성 있는 양육태도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요소로서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을 위한 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self-esteem with adolesc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to investigate whether parental attitudes mediate between them. The SEM was utilized by extracting data from 2,590 pair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th...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44)

  1. 여성가족부, 2020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여성가족부, 2020. 

  2. 김동일, 김은향, 김지연, 김형수, 박승민, 이명경, 이원이, 이은아, 이제경, 이주영, 정여주, 최수미, 최은영, 청소년상담학개론(2판), 학지사, 2020. 

  3. 이상준,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정신건강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제20권, 제3호, pp.47-67, 2018. 

  4. U. Bronfenbrenner,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5. 곽수란, 송미옥, 김영호, "부모의 자존감과 행복감이 아동.청소년기 자녀의 자존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제9권, 1호, pp.11-25, 2021. 

  6. 정다운, "아버지의 사회인구학적 배경과 자존감이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제18권, 4호, pp.353-370, 2014. 

  7. 조성덕, 한세영, "어머니의 자존감과 심리통제 및 행동통제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제20권, 제3호, pp.99-117, 2013. 

  8. S. A. Small, "Parental self-Esteem and its relationship to child rearing practices, parent-adolescent interaction, and adolescent behavior,"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50, No.4, pp.1063-1072, 1988. 

  9. V. Satir, Peoplemaking, CA: Science and Behavior Books, 1972. 

  10. A. Blaszxzynski and L. Nower, "A pathways model of problem and pathological gambling," Addiction, Vol.97, No.5, pp.487-499, 2002. 

  11. S. M. Ba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parenting style, learning motivation, friendship satisfaction, and the addictive use of smartphones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South Korea: Using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Vol.36, No.5, pp.513-531, 2015. 

  12. L. Lian, X. You, J. Huang, and R. Yang, "Who overuses smartphones? Roles of virtues and parenting style in smartphone addiction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65, pp.92-99, 2016. 

  13. 김영숙,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관련 국내 연구 동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제16권, 제3호, pp.17-29, 2015. 

  14. 문성호, 문호영, 한지연,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의 동향에 관한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15권, 제5호, pp.261-285, 2008. 

  15. 문종훈, 전민재, 송이슬, "스마트폰 과사용이 청소년의 건강과 학업에 미치는 영향: 2017 년 청소년건강 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엔터테인먼트 산업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177-186, 2019. 

  16. 임희숙, 김순경, "미디어중독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의존도에 따른 건강습관 및 모발 무기질 영양상태분석,"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제51권, 제4호, pp.295-306, 2018. 

  17. 강민정, 이명순, "청소년의 우울 및 자살관련 형태와 스마트폰 사용과의 관련성,"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1권, 제5호, pp.147-158, 2014. 

  18. B. M. Casey, Linking psychological attributes to smart phone addiction, face-to-face communication, present absence and social capital,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Master's Thesis, 2012. 

  19. 서인균, 이연실, "청소년기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청소년복지연구, 제18권, 제3호, pp.217-241, 2016. 

  20. 김정화, 조춘범,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복지상담교육연구, 제6권, 제2호, pp.381-403, 2017. 

  21. 박두환, 백지숙, "청소년 스마트폰 이용자 유형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적응-스마트폰 이용 동기를 기반으로," 청소년시설환경, 제12권, 제3호, pp.37-47, 2014. 

  22. A. Shechter, F. Diaz, N. Moise, D. E. Anstey, S. Ye, S. Agarwal, and M. Abdalla, "Psychological distress, coping behaviors, and preferences for support among New York healthcare work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General Hospital Psychiatry, Vol.66, pp.1-8, 2020. 

  23. L. L. Finken and P. R. Amato, "Parental self-esteem and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Similarities between mothers and fathers," Sex Roles, Vol.28, No.9-10, pp.569-582, 1993. 

  24. E. Skinner, S. Johnson, and T. Snyder, "Six dimension of parenting: A motivational model," Parental Science and Practice, Vol.5, No.2, pp.175-235, 2005. 

  25. 김태명, 이은주, "한국판 청소년용 동기모형 부모양육태도척도(PSCQ_KA)의 타당화," 청소년학연구, 제24권, 제3호, pp.313-333, 2017. 

  26. 문두식, 최은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10호, pp.213-236, 2015. 

  27. K. Aunola, J. E. Nurmi, T. Onatsu-Arvilommi, L. Pulkkinen, "The role of parents' self-esteem, mastery-orientation and social background in their parenting styles,"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Vol.40, No.4, pp.307-317, 1999. 

  28. E. M. Leerkes and R. V. Burney, "The development of parenting efficacy among new mothers and fathers," Infancy, Vol.12, No.1, pp.45-67, 2007. 

  2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30. 김동일, 정여주, 이주영, 김명찬, 이윤희, 강은비, 금창민, 남지은, "성인용 간략형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제13권, 제2호, pp.629-644, 2012. 

  31.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NJ: Prinsten University Press, 1965. 

  32. J. P. Dillard and L. Shen, "On the nature of reactance and its role in persuasive health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nographs, Vol.72, pp.144-168, 2005. 

  33. 박정혜,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증가 예측요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20권, 제6호, pp.3201-3209, 2018. 

  34. 이재영, 김진숙, "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 영향요인 연구: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제11권, 제1호, pp.1171-1184, 2020. 

  35. L. K. Muthen and B. Muthen, Mplus User's Guide (7th ed.), CA Muthen & Muthen, 2012. 

  36. L. T. Hu and P. M.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Vol.6, No.1, pp.1-55, 1999. 

  37. 김동록, 김도선, 조윤오,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비행과의 관계," 한국민간경비학회보, 제20권, 제3호, pp.1-23, 2021. 

  38. 배성만, "스마트폰 사용유형과 스마트폰에 대한 과도한 기대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정보화정책, 제25권, 제4호, pp.65-83, 2018. 

  39. 김아영, 최정혜.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가족건강성," 현대교육연구(구 중등교육연구), 제26권, pp.241-261, 2014. 

  40. 이정숙, 김준호, "부모 양육태도 불일치가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제16권, 제3호, pp.207-235, 2014. 

  41. 박선주, 조휘연, 황선정, "부모양육태도와 자존감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성화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경영연구, 제6권, 제1호, pp.161-175, 2019. 

  42. T. L. Jones and R. J. Prinz. "Potential roles of parental self-efficacy in parent and child adjustment: A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25, No.3, pp.341-363, 2005. 

  43. 홍원준, "중학생 정서.행동문제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부모의 양육태도,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제31권, 제2호, pp.291-320, 2020. 

  44. 배주미, 조은숙, 조영미, 김경은, 최요한, 오은주,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