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끼를 활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개발 및 이끼별 공기정화 능력 평가
Development of a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moss and evaluation of air purification capability for each moss 원문보기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27 no.3, 2022년, pp.21 - 28  

안도현 ((주)인더텍 기업부설연구소) ,  최현우 (경북대학교병원) ,  이종민 (경북대학교병원) ,  허성필 (강릉원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세먼지는 대기를 타고 호흡기를 거쳐 폐 혹은 혈관에 침투한다. 최근 미세먼지 문제 때문에 국내에 공기청정기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끼는 가장 오래된 지상식물로 중금속과 미세먼지를 흡착하여 분해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본 연구진은 이를 활용하여 화학적 필터를 대체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끼와 기존 화학적 필터(Hepa)의 미세먼지 감소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1 m3큐브를 제작하고 통제된 환경하에서 미세먼지의 감소량을 비교하였다. 미세먼지 상황 하에서 우산 이끼 필터, 쥐꼬리 이끼 필터, 깃털 이끼 필터, 비단 이끼 필터 등을 삽입한 4가지 상황별로 각각 10회씩 총 40회의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미세먼지 감소량을 비교한 결과 미세먼지 양과 30분후의 감소량의 차이는 모든 필터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필터별 차이는 확인 결과 미세먼지, 혼합 가스, CO2, O2 모두 필터별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기존에 알려진 이끼의 산소 발생의 효과는 거의 없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이끼의 종류와 관계없이 미세먼지 감소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향후 개선을 통해 기존 공기정화기의 화학 필터를 대체하거나 보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ne dust enters the lungs or blood vessels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through the air. Recently, due to the fine dust problem, the demand for air purifiers in Korea is also increasing rapidly. Moss is the oldest terrestrial plant, and it is known that it has the property of adsorbing and decompo...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13)

  1. Jong Kyu Choi, In Soon Choi, Kwang KeunCho and Seung Ho Lee1. (2020). Harmfulness of Particulate Matter in Disease Progressio, Journal of Life Science, 30(2), pp. 191-201. https://doi.org/10.5352/JLS.2020.30.2.191 

  2. Zhang, Y., Mo, J., Li, Y., Sundell, J., Wargocki, P., Zha ng, J., Little, J. C., Corsi, R., Deng, Q., Leung, M,H,K., Fang, L., Chen, W., Li. and Sun, Y. (2011). Can commonly-used fan-driven air cleaning technologies improve indoor air quality?, Atmospheric Environment, 45(26), pp. 4329-4343. https://doi.org/10.1016/j.atmosenv.2011.05.041 

  3. Chosun.com. (2016). Ministry of Environment uses OIT emission air purifier air conditioner filter[Internet],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dir/2016/07/22/2016072201907.html (Accessed on Dec. 9th, 2018) 

  4. Song, J. E., Kim, Y. S., Sohn, J. Y. (2008). A Study on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by Korean Native Plants, The 11th International Comference on Indoor Air Quality and Climate, Indoor Air, Aug, Copenhagen, Denmark, pp. 776. http://www.isiaq.org/docs/papers/776.pdf 

  5. Wolverton, B. C. (1989). Interior Landscape Plants for Indoor Air Pollution Abatement, NASA Report, pp. 1-21. https://ntrs.nasa.gov/archive/nasa/casi.ntrs.nasa.gov/19930073077.pdf 

  6. Lee, J. H., Joe, I. S. (2008). A study on development of biofilter system for removing indoor air pollution used by plants - on the basis of function of flowing air and maintaining water in operating biofilter system,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pp. 33-46. UCI : G704-001350.2008.11.4.003 

  7. Thakur Prabhat Kumar., Rahul, Mathur Anil Kumar., Balomajumder Chandrajit. (2011). Biofiltration of Volatile Oraganic Compounds (VOCs)-An Overview, Research Journal of Chemical Sciences, 1(8), 83-92. http://citeseerx.ist.psu.edu/viewdoc/download?doi10.1.1.463.9056&reprep1&typepdf 

  8. Frahm, J. P. (2013). Interesitng Facts about Moss Mats, documents and articles, Kiel University, German, pp. 3-6. http://www.flatroofing.ie/downloads/mossmats interesting facts.pdf 

  9. Yu-bin., Xin-yu., Shi-wei., Tian-guo. (2015). Enrichment ability of Myuroclada maximowiczii and Racomitrium canescens for heavy metals, Heilongjiang Animal Science and Veterinary Medicine, pp. 17. 

  10. Naomi Hasumi. (2018). My little moss garden, Ra'sEye publisher. 

  11. Ju Sung Cho and Cheol Hee Lee. (2013). Effect of Seve ral Cultivation Condition on Growth of Brachythecium rivulare and Myuroclada maximoviczii, Korean J. Plant Rest, 26(1), pp. 052-059. http://dx.doi.org/10.7732/kjpr.2013.26.1.052 

  12. Yoon Seong-shim. (2010). Indoor air purifier A certification system, Status and Prospect of Association Certification Project, pp. 37-46. 

  13. Dohyun Ahn. (2019). Production of air purification verifi cation system using mos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6), pp. 587-591. https://doi.org/10.5762/KAIS.2019.20.6.5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