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물3D모델링을 위한 드론과 스마트폰영상 조합의 3D메쉬 정확도 및 완성도 분석
An Analysis of 3D Mesh Accuracy and Completeness of Combination of Drone and Smartphone Images for Building 3D Modeling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52 no.1, 2022년, pp.69 - 80  

한승희 (공주대학교 도시융합시스템공학과) ,  유상현 (공주대학교 도시융합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드론사진측량은 일반적으로 상공에서 수직 또는 경사로 영상을 획득하므로 3차원 모델링을 위한 목적으로 촬영할 경우 건물의 지면부분에 대한 영상매칭과 점군데이터의 공간정확도가 불량하여 3D메쉬의 완성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드론영상과 지상에서 스마트폰 영상을 획득하여 각각의 공간정확도를 분석함은 물론 드론영상에 스마트폰영상을 조합하지 않았을 경우와 조합해석 했을 경우의 정확도 향상과 3D메쉬의 완성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드론사진측량의 수평(x,y)정확도는 1/200,000정도로 전통적인 사진측량 정확도와 유사하였다. 또한, 촬영방법에 따른 정확도는 사진맷수의 증가보다 대상물에 대한 촬영각도에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스마트폰영상 조합의 경우 정확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3D메쉬의 완성도는 디지털트윈시티 기준을 만족하는 LoD3급의 3D메쉬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드론영상과 지상에서 촬영한 스마트폰 또는 DSLR영상을 조합처리 함으로써 디지털트윈시티를 위한 3D모델 구축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rone photogrammetry generally acquires images vertically or obliquely from above, so when photographing for the purpose of three-dimensional modeling, image matching for the ground of a building and spatial accuracy of point cloud data are poor, resulting in poor 3D mesh completeness. Therefore, to...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19)

  1. 국토지리정보원. 2018. 무인비행장치 이용 공공 측량작업지침https://law.go.kr/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118823(검색일: 2022. 1.11) 

  2. Kim DP, Back KS, Kim SB. 2021. Production and Accuracy Analysis of Topographic Status Map Using Drone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Geo- Environmental Society. 22(2):35-39. 

  3. Kim MS, Park DY. 2020. A Study on Feasible 3D Object Model Generation Plan Based on Utilization Demand, and Generation Cost.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50(1):215-229. 

  4. Kwak SH, Seo YJ, Song JH, Lyu SW. 2016. Accuracy Evaluation of Floodplain Topography Survey Using Small-scale UAV. Proceeding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p.449-453. 

  5. Do MS, Lim ET, Chae JH, Kim SH. 2018. Accuracy Evaluation and Terrain Model Creation of Urban Spac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ITS. 17(5): 117-127. 

  6. Park KC, Won JH, Lee JG, Lee SB. 2019. Analyze the Accuracy of using Drone 3D Point-cloud in Civil Survey Fields.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p.11-13. 

  7. Park JK, Um DY. 2019. Evaluation of Accuracy and Utilization of the Drone Photogrammetry for Open-pit Mine Monitoring.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7(12): 191-196. 

  8. Baek SH, Jang CS. 2021. Case Study on 3D Heritage Building Modeling AccuracyUsing a Drone and a Laser. 韓國軍事學論集 第77輯 第3卷: 577-593. 

  9. Sung HK, Chong KS, Lee CN. 2019. Accuracy Analysis of Low- cost UAV Photogrammetry for Road Sign Positio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7(4): 243-251. 

  10. Jang HM, Kim HJ, Kang HY. 2021. Building Large-scale CityGML Feature for Digital 3D Infrastruc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9(3):187-201. https://doi.org/10.7848/ksgpc. 2021.39.3.187 

  11. Jeong CS, Ahn JH, Shin HJ. 2014. Accuracy Analysis of River Topography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859-860. 

  12. Han SH, Kim KM. 2020. Proposal for the 3D model accuracy of Heterogeneous Image Data Combination in Drone Photogrammetry.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pp.55-56. 

  13. Han SH, Yoo SH. 2020. Proposal for the 3D model enhancement of Heterogeneous Image Data Combination in Drone Photogrammetry.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pp.61-62. 

  14. Han SH, Yoo SH, Kim KM. 2020. Completion Analysis of 3- Dimensional Modeling in Building by Combination of Drone Photography Method,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Proceeding, pp. 183-184. 

  15. Biljecki F, Ledoux H, Stoter J. 2014. Height referen ces of CityGML LOD1 buildings and their infu ence on applications. In: Proceedings of the IS PRS 3D GeoInfo conference. 1-13. https:// doi.org/10.4233/uuid:09d030b5-67d3-467b-babb-5e5ec10f1b38 

  16. Brown D.C. 1980. Application of Close-Range Photogrammetry th Measurements of Structures in Orbit, Final Report, Contract No. : MOM 7DNS-895942, GSI Technical Report No.80-012. Melbourne, Florida. 

  17. Groger G. Kolbe TH, Czerwinski A, Nagel C. 2008. OGC City Geography Markup Language (CityGML) Reference number of this OGC®project document. OGC 08-007r1 Version: 1.0.0. 

  18. Lehner H, Dorfne L. 2020. Digital geoTwin Vienna: Towards a Digital Twin City as Geodata Hub. P FG (2020) 88:63-75. https://doi.org/10.1007/s41064-020-00101-4. 

  19. Wolf PR, Dewitt BA, Wilkinson BE. 2014. Elements of Phohogrammetry with applications in GIS, 4th ed. Mcgraw-Hill. p.87-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