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층 옥외활동의 질적 GIS를 활용한 근린환경 특성의 해석 - 서울시 저소득 노인밀집지역 무수골을 대상으로 -
Interpretive Approaches to the Characteristic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Using Qualitative GIS of the Elderly's Outdoor Activities - Focused on the Musugol, a Low-Income Elderly Concentrated Area in Seoul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50 no.3, 2022년, pp.1 - 18  

윤예화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조경학)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선행연구에 따르면 옥외활동은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화가 진행될수록 일상생활이 도보권 내 근린환경과 밀접해지는 가운데,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적 노화'와 '고령친화'는 근린환경에서 실제 이루어지는 옥외활동 수준과 그 인식에 좌우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 내 저소득 노인밀집지구의 사례에서 노인의 옥외활동이 근린환경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옥외활동의 촉진·억제요인이 작용하는 맥락을 시간적·공간적 여건 및 개인적·사회적 여건에 따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접근방식인 관찰조사와 인지지도 및 심층 인터뷰를 혼합함으로써 질적 GIS 정보를 다각적으로 해석해보았다. 먼저 행태관찰조사를 통해 옥외활동이 이루어지는 주요공간의 활동패턴과 이용자별, 시간대별 특성을 맵핑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거주 노인의 인지지도를 수집하고 주요 외부공간별 근린환경에 대한 인식과 활동목적 등을 인터뷰하여 옥외활동이 이루어지는 상호맥락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시야가 개방'된 쾌적한 공간으로 향하는 '집 바로 앞 골목'의 접근성이나 인지성이 높을 경우 나가고자 하는 욕구가 보다 원활하게 실현되는 것으로 보인다. 노인층에게 '익숙함'이란 것이 매우 중요한 가운데, 공간에 대한 인지성과 접근성을 높임으로써 심리적 경계를 허물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회적 교류와 갈등관계는 노인층의 공간 점유양식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ior studies have shown positive effects of outdoor activities on the elderly's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Active aging' and 'age-friendly' neighborhood can be created by modifying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he outdoor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utdoor activ...

주제어

참고문헌 (29)

  1. An, S. M. and Y. S. Lee(2013) A study on the push and pull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outdoor environments for the elderly: Focus on the case of testbed in Jeonju.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3(1): 141-150. 

  2. Bagheri, N.(2014) What qualitative GIS maps tell and don't tell: Insights from mapping women in Tehran's public spaces. Journal of Cultural Geography 31(2): 166-178. 

  3. Barton, H. and M. Grant(2006) A health map for the local human habitat.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Health 126(6): 252-252. 

  4. Chapin, R. and D. Dobbs-Kepper(2001) Aging in place in assisted living: Philosophy versus policy. The Gerontologist 41(1): 43-50. 

  5. Choo, S. H., H. S. Lee and H. J. Shin(2013) Analyzing changes in travel behavior of the elderly using travel diary survey data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76: 31-45. 

  6. Cope, M. and S. Elwood, Eds.(2009) Qualitative GIS: A Mixed Methods Approach. Sage. 

  7. Eisdorfer, C. E. and M. Lawton(1973) The Psychology of Adult Development and Aging. 

  8. Greenfield, E. A.(2012) Using ecological frameworks to advance a field of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on aging-in-place initiatives. The Gerontologist 52(1): 1-12. 

  9. Goran, D. and M. Whitehead(1991) Policies and Strategies to Promote Social Equity in Health. 

  10. Hartig, T., K. Korpela, G. W. Evans and T. Garling(1997) A measure of restorative quality in environments. Scandinavian Housing and Planning Research 14(4): 175-194. 

  11. Kawachi, I. and L. F. Berkman(2003) Neighborhoods and Health. Oxford University Press. 

  12. Kim, E. J. and M. G. Kang(2011) Effects of built environment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health conditio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27(3): 27-42. 

  13. Kim, Y. J. and K. H. Ahn(2011) Influences of neighborhood's physical environments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to the elderly. Journal of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2(6): 89-99. 

  14. Kim, Y. J. and K. H. Ahn(2012) Analysis on the elderly's catchment area of neighborhood faciliti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and Design 28(5): 215-222. 

  15. Lee, H. S., J. S. Ahn and S. H. Chun(2011) Analysis of environmental correlates with walking among older urban adult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2): 65-72. 

  16. Lee, H. Y., D. Y. Lee, and J. S. You(2015) Temporal-spatial distribution and neighborhoo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highly concentrated districts of the low-income elderly in Seoul. Seoul Studies 16(2): 1-18. 

  17. Lee, S. H. and M. H. Hyun(2003)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8(2): 229-241. 

  18. Mace, R. L.(1998) Universal design in housing. Assistive Technology 10(1): 21-28. 

  19. McKenzie, T. L., D. A. Cohen, A. Sehgal, S. Williamson and D. Golinelli(2006) System for Observing Play and Recreation in Communities(SOPARC): Reliability and feasibility measures. Journal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3(supple 1): S208-S222. 

  20. Mennis, J., M. J. Mason and Y. Cao(2013) Qualitative GIS and the visualization of narrative activity space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27(2): 267-291. 

  21. Moudon, A. V. and C. Lee(2003) Walking and bicycling: An evaluation of environmental audit instruments.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8(1): 21-37. 

  22. Moudon, A. V., C. Lee, A. D. Cheadle, C. Garvin, D. Johnson, T. L. Schmid and L. Lin(2006) Operational definitions of walkable neighborhood: Theoretical and empirical insights. Journal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3(supple 1): S99-S117. 

  23. NHF.(2012) Active Living Impact Checklist. National Heart Foundation of Australia. 

  24. NYC.(2010) Active Design Guidelines: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in Design. City of New York. 

  25. Park, H. S., Y. J. Jung and K. H. Lee(2017) Effect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on elderlys walking route and outdoor activities.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8(6): 17-35. 

  26. Park, H. S. and K. H. Lee(2019) The effect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on elderly's walking time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4(2): 109-121. 

  27. Sasidharan, V. and T. L. McKenzie(2011) Observing physical activity and recreation in natural areas (SOPARNA). Res Q Exerc Sport 82(1): A-6. 

  28. Sung, J. S.(2014) Green-health topology: Promotion of health and happiness through green environ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53: 71-79. 

  29. WHO.(2007) Global age-friendly cities: A guide. World Health Organiz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