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공사의 공종별 유해요인 분석에 따른 작업환경측정 및 특수건강 진단 대상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Examining the Measurement of Construction Working Environment and the Target Analysis of Special Health Check for Site Workers - Based on the Analysis of Harmful Factors at Work Site -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8 no.2 = no.56, 2022년, pp.386 - 394  

손서형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Sunmoon University)

초록

연구목적: 건축공사 시 공정별로 발생하는 각종 유해요인을 파악하여 작업환경측정 및 특수건강진단 대상이 되는 근로자들의 건강보호, 증진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공종별 유해요인분석, 유해요인에 따른 작업환경측정대상과 특수건강진단 항목을 알아볼 수 있다. 연구결과: 건축공사 12개의 공종별 유해요인을 분석하여 작업환경 측정대상과 특수건강 진단항목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 각 공종별 유해요인 분석에 따라 작업환경측정 및 특수건강진단을 정기적으로 실시하므로써 건축근로자들의 직업병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thesis is to measure construction working environment and to improve health protection of site workers, who are required to take special health check, by analyzing harmful factors that are occurred by each site operation. Method: This thesis explicates the analysis of harmful factors p...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현장에서 공정별로 발생할 수 있는 유해요인을 상세히 분석한 후 유해요인별 작업환경측정 대상을 선정하고, 선정한 작업환경측정 대상에 따라 특수건강진단을 실시할 항목을 선정할 수 있도록 세부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Im, S.-S. (2005). A Study on the Precision of Dust Measurement of Some Occupational Health Laboratories. Hansung University. 

  2. Jang, U.-B., Park, Y.-H. (2017).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Practice Education. Bo Sung, Republic of Korea. 

  3. Kim, C.-N. (2005).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Measuring the Working Environment in Korea. Yonsei University. 

  4. Kim, M.-O. (2016). Analysis of Annual Audiometric Test Data of Workers exposed to Noise above 85 dB for 2010-2014 in Some Industries in Chungbuk Province. Hansung University. 

  5. Korea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201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of Harmful Factors and Disease in Subjects of Special Health Examination. 

  6.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6). Guidelines for Health Manager in Construction Industry. 

  7.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1997). Special Health Examination Methods and Health Management Standards. 

  8.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2). Industrial Accident Status Analysis. 

  9. National Legal Information Center (2021). Regulations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10. Park, D.-G., Yoon, C.-S., Baek, N.-W. (2002). Special Health Diagnosis Method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11. Park, H.-N. (1990). A Survey on the Measurement of Work Environment in the Workpla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