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성 규범 순응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남성 성역할 갈등을 매개로
Mediating Effect of Male Gender Role Confli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ormity to Masculine Norm and Psychological Distres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6, 2022년, pp.453 - 466  

백주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  양은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성인 남성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있어서 성역할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차원적인 남성 규범에 대한 순응이 성역할 갈등을 매개로 하여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예측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39세의 남성 참여자 358명을 대상으로 남성 규범 척도, 남성 성역할 갈등척도 그리고 일반정신건강 척도를 사용하여 본 연구를 시행했다. 연구 결과, 남성 규범의 하위 요인에 따라 남성 성역할 갈등을 매개로 하여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남성 규범의 하위 요인인 '힘과 통제'와 '직업과 자립', '정서 억제'는 각각 성역할 갈등의 하위요인인 '여성성에 대한 공포'를 매개로 하여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한편 남성 규범 중 '남성 리더십'과 '가족 부양자'는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대한 부적인 직접 효과를 가졌으며, 성역할 갈등을 매개로 한 간접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남성 규범의 하위 요인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대해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지며, 특히 성역할 갈등 중 여성성에 대한 부정적 정서를 야기함으로써 남성 규범의 역기능적 역할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role of gender roles in psychological distress of Korean adult men. Specifically, it was attempted to verify whether compliance with multidimensional male gender roles predicts psychological distress through gender role conflict.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66)

  1. 원숙연, "성-역할 고정관념의 지형변화와 여성정책에 갖는 함의: 1996년과 2010년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제20권, 제3호, pp.141-171, 2014. 

  2. 김미라, "TV매체에 재현된 새로운 남성성(masculinity) 과 그 한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88-96, 2014. 

  3. 천관율, 정한울, 20대 남자, 시사in 북, 2019. 

  4. 마경희, 조영주, 문희영, 이은아, 이순미, "성불평등과 남성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 제27권, pp.19-247, 2018. 

  5. 박무늬, 민혜영, 장태훈, "청년 세대(20~30대) 남성의 여성 혐오 인식에 관한 연구: 강남역 살인사건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연구, 제27권, 제1호, pp.85-111, 2019. 

  6. 우성범, "한국 남성의 남자다움은 무엇인가?: 남성성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25권, 제3호, pp.203-229, 2019. 

  7. J. M. O'Neil, "Patterns of gender role conflict and strain: sexism and fear of femininity in men's lives," Personnel & Guidance Journal, Vol.60, pp.203-210, 1981. 

  8. R. F. Levant, "Toward the reconstruction of masculinity,"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Vol.5, pp.379-402, 1992. 

  9. 정경미, 남성의 성역할갈등과 도움추구태도의 관계: 수치심과 자기공개기대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0. D. S. Berke, C. A. Sloan, D. Parrott, and A. Zeichner, "Effects of female gender role and gender norm conformity on aggression in men: Does positive masculinity reduce the risk?," Psychology of Men & Masculinity, Vol.13, No.4, pp.367-379, 2012. 

  11. A. Cohn and A. Zeichner, "Effects of masculine identity and gender role stress on aggression in men," Psychology of Men & Masculinity, Vol.7, No.4, pp.179-190, 2006. 

  12. R. F. Levant, D. J. Wimer, and C. M. Williams, "An evaluation of the Health Behavior Inventory-20 (HBI-20) and its relationships to masculinity and attitudes towards seeking psychological help among college men," Psychology of Men & Masculinity, Vol.12, No.1, pp.26-41, 2011. 

  13. J. R. Mahalik and A. B. Rochlen, "Men's likely responses to clinical depression: What are they and do masculinity norms predict them?," Sex Roles, Vol.55, No.9-10, pp.659-667, 2006. 

  14. 우성범, 한국 남성규범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5. J. M. O'Neil, "Male sex role conflicts, sexism, and masculinity: Psychological implications for men, women, and the counseling psychologist," The Counseling Psychologist, 1981. 

  16. J. M. O'Neil, "Summarizing 25 years of research on men's gender role conflict using the gender role conflict scale: New research paradigms and Clinical implication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36, No.3, pp.358-445, 2008. 

  17. 제연화, 심은정, "2/30대 남성의 성역할갈등과 우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7, No.4, pp.931-952, 2015. 

  18. 변지영, 김선경, "남성 성역할갈등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우울과 자기개방 예상 위험의 순차적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20권, 제3호, pp.443-463, 2019. 

  19. 추세원, 최지영, 이영순, "중년남성의 성역할갈등과 심리적 불편감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재활심리연구, 제24권, 제2호, pp.381-396, 2017. 

  20. 정세련, 정은지, 이승연, "남자 중학생의 또래 괴롭힘 피해경험과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 남성 성역할 갈등, 수치심,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제2019권, 제8호, pp.255-255, 2019. 

  21. 이수연, 김인순, 김지현, 김진아, "한국형 남성 성역할 갈등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여성연구, Vol.82, pp.5-33, 2012. 

  22. M. J. Sharpe and P. P. Heppner, "Gender role, gender-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8, No.3, pp.323-330, 1991. 

  23. 최진영, 성역할갈등이 20대 남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20. 

  24. R. F. Levant, "The new psychology of men,"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Vol.27, No.3, pp.259-265, 1995. 

  25. 김신애, 남성의 성역할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국내석사학위논문, 2005. 

  26. 이윤미, 남성의 성역할 갈등과 방어 양상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00. 

  27. 하문선, 김지현, "남성 성역할갈등의 잠재집단과 남성성, 여성성, 우울, 자아존중감의 관계," 상담학연구, Vol.17, No.5, pp.47-64, 2016. 

  28. S. R. Wester, H. F. Christianson, D. L. Vogel, and M. Wei, "Male gender 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 distress: The role of social support," Psychology of Men & Masculinity, Vol.8, pp.215-224, 2007. 

  29. 김도희, "대학 생활적응과 성별 및 성 역할 정체감의 관련성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6, pp.371-383, 2018. 

  30. 박수애, 조은경, "남성 성역할이 우리나라 남서들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8권, 제2호, pp.77-103, 2002. 

  31. 김신애, 정남운, "남성의 성역할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제2006권, 제1호, pp.500-501, 2006. 

  32. 류은정, 서정석, 함미영, 박영례, 문석우, 남범우, "청소년의 성역할 정체감과 불안, 우울, 자살사고," 정신간호학회지, Vol.15, No.2, pp.136-143, 2006. 

  33.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 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제1호, pp.161-177, 2000. 

  34. S. L. Bem,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androgyny," Journal of clinical and counselling psychology, Vol.42, pp.155-162, 1974. 

  35. 정진경, "한국 성역할 검사 (KSRI),"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5권, 제1호, pp.82-92, 1990. 

  36. 김지현, 최희철, "남성 성역할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2권, pp.145-160, 2007. 

  37. J. M. O'Neil, "Gender role conflict research 30 years later: An evidence-based diagnostic schema to assess boys and men in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 JCD, Vol.91, No.4, pp.490-498, 2013. 

  38. J. M. O'Neil, B. J. Helms, R. K. Gable, L. David, and L. S. Wrightman, "Gender-role conflict scale: College men's fear of femininity," Sex Roles, Vol.14, No.5, p.335, 1986. 

  39. S. T. Graef, D. M. Tokar, and K. P. Kaut, "Relations of Masculinity Ideology, Conformity to Masculine Role Norms, and Masculine Gender Role Conflict to Men's Attitudes Toward and Willingness to Seek Career Counseling," Psychology of Men & Masculinity, Vol.11, No.4, pp.319-333, 2010. 

  40. R. M. Eisler and J. R. Skidmore, "Masculine gender role stress: Scale development and component factors in the appraisal of stressful situation," Behavior Modification, Vol.11, No.2, pp.123-136, 1987. 

  41. D. P. Goldberg and V. F. Hillier, "A scaled version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Psychol Med, Vol.9, pp.139-145, 1979. 

  42. 박종익, 김영주, 조맹제, "한국판 일반 건강 설문지의 요인 구조," 신경정신의학, Vol.51, No.4, pp.178-184, 2012. 

  43. A. F. Hayes, Process macro를 이용한 매개분석 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이형권 역), 파주: 신영사, 2013. 

  44. P. E. Shrout and N. Bolger,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7, No.4, p.422, 2002. 

  45. M. S. Kiselica and M. Englar-Carlson, "Identifying, affirming, and building upon male strengths: The positive psychology/positive masculinity model of psychotherapy with boys and men,"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Vol.47, No.3, pp.276-287, 2010. 

  46. 이슬기, 유성경, "남성적 규범과 아버지 신념에 따른 30, 40대 아버지의 잠재 프로파일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1, pp.561-580, 2021. 

  47. S. Cochran and F. Rabinowitz, Men and depression Clin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Academic Press, San Diego, 2000. 

  48. J. J. Gross and O. P. John, "Individual Differences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es: Implications for Affect," Relationships, and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5, No.2, pp.348-362, 2003. 

  49. 나세원, 회피애착과 도움추구태도와의 관계에서 자기은폐와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50. J. M. O'Neil, G. E. Good, and S. E. Holmes, Fifteen Years of Theory and Research on Men's Gender Role Conflict: New Paradigms for Empirical Research, A New Psychology of Men, New York, NY, US: Basic Books, 1995. 

  51. 염순교, 이종화, "고등학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우울," 대한보건연구, Vol.40, No.1, pp.89-98, 2014. 

  52. 정경연, 김홍석, 이정희, "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과 성별에 따른 방어유형," 청소년학연구, Vol.19, No.5, pp.21-46, 2012. 

  53. 이은미, 조현철, "여자 태권도 선수의 성역할 정체감이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Vol.7, No.4, pp.15-23, 2012. 

  54. 하문선, 김지현, "남성 성역할갈등의 남녀 보편화 가능성 검증: 남녀 간 잠재평균분석과 등가제약모형의 적용," 상담학연구, Vol.18, No.3, pp.1-22, 2017. 

  55. D. K. Iwamoto, A. Cheng, C. S. Lee, S. Takamatsu, and D. Gordon, "'Man-ing' up and getting drunk: The role of masculine norms, alcohol intoxication and alcohol-related problems among college men," Addictive Behaviors, Vol.36, pp.906-911, 2011. 

  56. R. F. Levant and D. J. Wimer, "Masculinity constructs as protective buffers and risk factors for men's health," American Journal of Men's Health, Vol.8, pp.110-120, 2014. 

  57. J. R. Mahalik, H. D. Lagan, and J. A. Morrison, "Health behaviors and masculinity in Kenyan and U.S. male college students," Psychology of Men and Masculinity, Vol.7, pp.191-202, 2006. 

  58. J. H. Hammer and G. E. Good, "Positive psychology: An empirical examination of beneficial aspects of endorsement of masculine norms," Psychology of Men & Masculinity, Vol.11, No.4, pp.303-318, 2010. 

  59. A. Kaya, D. K. Iwamoto, J. Brady, L. Clinton, and M. Grivel, "The role of masculine norms and gender role conflict on prospective well-being among men," Psychology of Men & Masculinities, Vol.20, No.1, pp.142-147, 2019. 

  60. J. R. Mahalik, B. D. Locke, L. H. Ludlow, M. A. Diemer, R. P. J. Scott, M. Gottfried, and G. Freitas, "Development of the Conformity to Masculine Norms Inventory," Psychology of Men & Masculinity, Vol.4, No.1, pp.3-25, 2003. 

  61. J. Mirowsky and C. Ross, "Psychiatric diagnosis as refined measuremen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0, No.1, pp.11-25, 1989. 

  62. 김예은, 연규진, "20-30대 여성의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3권, 제3호, pp.499-523, 2018. 

  63. 이유영, 페이스북의 사용 강도가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64. 박유신, 기혼남성의 경제적 스트레스, 배우자 지지/비난행동지각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65. 김영희, 한경혜, "빈곤층 편모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및 심리적 디스트레스가 부모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14권, 제4호, pp.263-276, 1996. 

  66. 김인숙, 빈곤 여성의 사회적 환경 요인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와의 관계,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