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선사들의 부산항 선택요인 변화분석
A Study on the Busan Port Selection Factor Changes of Shipping Companies in the Post-Corona Era 원문보기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46 no.3, 2022년, pp.216 - 226  

심민섭 (한국해양대학교 KMI-KMOU) ,  김주혜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학과) ,  김율성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  남형식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세계 주요 글로벌 해운·항만의 산업 트랜드는 COVID-19 바이러스 확산, 글로벌 기업들의 GVC 재편, IMO의 환경규제 강화 등으로 인해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 속에서 부산항은 2013년 글로벌 컨테이너 항만순위 5위였으나 2014년 닝보-저우산에 밀려 세계 6위로 떨어졌다. 그리고 COVID-19 바이러스가 발생한 이후 2020년 부산항의 글로벌 컨테이너 항만순위는 Qingdao항에 밀려 7위로 떨어졌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부산항이 글로벌 컨테이너 항만들과 경쟁하여 항만 경쟁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부산항의 경쟁력 요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종합적인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5년에 진행된 1차 연구와 비교하여 현재 글로벌 선사들이 항만을 선택하는데 있어 부산항의 경쟁력 요인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향후 기항빈도와 성장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파악하여 종합적인 정책방안을 수립하였다. 분석결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 부산항의 기항선호도와 성장가능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항만시설'로 나타났으며, 향후 기항빈도는 '지정학적 위치' 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dustry trends of major global shipping and ports in the world are changing rapidly because of the spread of COVID-19, resulting in the reorganization of GVCs by global companies, and strengthening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by IMO. Based on these environmental changes, Busan Port was ranked ...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27)

  1. Ahn, K. M.., Kim, S. Y., Choo, Y. G. and Kim, I. S.(2008), "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operating problems and competitiveness of Busan container terminals",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32, No. 8, pp. 667-674. 

  2. Bang, H. S. and Kim, S. C.(2006), "Focusing on the Port Revitalization Alternatives using IP Analysis A Study on the Shipping Company Attraction Strategies of Gwangyang Port", Korea Logistics Review, Vol. 16, No. 4, pp. 155-179. 

  3. Chang, Y. T.(2005), "Factors Affecting Liners' Port Selection by Trade Route",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46, pp. 27-46. 

  4. Chae, G. Y. and Lee, C. Y.(2020), "Competitiveness Evaluation Factors and Strategic Development for the Port of Busan using the SWOT.AHP Method",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 36, No. 1, pp. 105-128. 

  5. Chathumi Kavirathna, Tomoya Kawasaki, Shinya Hanaoka and Takuma Matsuda(2018), "Transshipment hub port selection criteria by shipping lines: the case of hub ports around the bay of Bengal", Journal of Shipping and Trade, Vol. 3, No. 4, pp. 1-25. 

  6. Han, C. H.(2005), "An Empirical Study on the Port Calling Factors of Liner Shipping Company", The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 21, No. 2, pp. 1-14. 

  7. Hur, Y. S.(2006), "Busan Port's Strategy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Port Competitiveness", Busan Development Institute. 

  8. Kim, J. S.(2000),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etitiveness of Pusan Container Port",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 16, pp. 251-280. 

  9. Kim, Y. S.(2005), " An Empirical Study on Decision-Making Model for Port Selection: Global Container Carriers' Perspectives", Korea Maritime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Logistics Systems, PhD Dissertation. 

  10. Kim, J. S.(2006), "A Study on the Features and Rational Specialization Strategies of Busan New Port and Busan Port", Korea trade review, Vol. 31, No. 4, pp. 223-244. 

  11. Kim, S. H.(2015), "Sustainable Port Competitiveness in International Port Operations",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 31, No. 3, pp. 61-74. 

  12. Kim, A. R. and Kim, K. H.(2017)," A Study on the Competitiveness of Terminals in Busan and Shanghai Ports using TOPSIS",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 33, No. 2, pp. 19-32. 

  13. Koh, Y. K.(2006), "The Integration Schemes to Increase the Efficiency in Container Terminal Operations for Gamman Terminal of Busan Port",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Vol. 9, No. 4, pp. 5-27. 

  14. Lirn, Taih-Cherng, et al(2004), "An application of AHP on transhipment port selection: a global perspective.", Maritime Economics & Logistics, Vol. 6, No. 1, pp. 70-91. 

  15. Murphy, Paul, Douglas Dalenberg, and James Daley.(1988), "A contemporary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port operations.", Transportation journal, Vol. 6, No. 1, pp.23-32. 

  16. Murphy, Paul R., James M. Daley, and Douglas R. Dalenberg.(1992), "Port selection criteria: an application of a transportation.",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review Vol. 28, No. 3, pp. 237-255. 

  17. Nam, J. W., Sim, M. S., Cha, J. U., Kim, J. H. and Kim, Y. S.(2021), "A Study on the Demand Analysis of Sharable Resources in the Busan New Port Container Terminal",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rach, Vol. 45, No. 4, pp. 186-193. 

  18. Onwuegbuchunam, Donatus E.(2013), "Port selection criteria by shippers in Nigeria: a discrete choice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Shipping and Transport Logistics, Vol. 5, pp. 532-550. 

  19. Park, Y. T.(2005), "A Study on the Busan Port's Port Cluster Construction Strategy for Northeast Asia Logistics Centralization",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Vol. 8, No. 1, pp. 107-130. 

  20. Shin, G. S.(2007), "A Study on the Determinants Analysis of the Port Competitiveness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Busan New Port",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 23, No. 1, pp. 115-148. 

  21. Shin, J. Y., Lee, J. G. and Park, H. J.(2020), "Simulated Analysis of the Effect of Integrated Operation on Container Terminals in Busan New Port",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44, No. 6, pp. 477-487. 

  22. Song, D. W. and Yeo, K. T. "A Competitive Analysis of Chinese Container Ports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Maritime Economics, Vol. 6, No. 1, pp. 34-52. 

  23. Wiegmans, Bart W., Anthony Van Der Hoest, and Theo E. Notteboom.(2008), "Port and terminal selection by deep-sea container operators.", Maritime Policy & Management, Vol. 35, No. 6, pp. 517-534. 

  24. Willlgale, M. C.(1981) "The Port-Routing Behaviour of Short-Sea Ship Operator; Theory and Practice.",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Vol. 8, No. 2, pp. 109-120. 

  25. Won, S. H., Cho, S. W. and Lee, J. H.(2015), "Counter-strategies of Busan Port against Expansion of Container Vessel Size", The Korean Association of Shipping and Logistics, Vol. 31, No. 2, pp. 249-274. 

  26. Yang, Y. C. and Chen, S. L.(2016), "Determinants of global logistics hub ports : Comparison of the port development policies of Taiwan, Korea, and Japan", Transport Policy, Vol. 45, pp. 179-189. 

  27. Zarei, Sedigheh.(2015) "The key factors in shipping company's port selection for providing their supplies.", International Journal of Economics and Management Engineering, Vol. 9, No. 4, pp. 1317-13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