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덕궁 승화루(承華樓) 일곽의 화계(花階) 조성과 변화 양상
A Study on Creation of Terraced Flower Beds and Aspect of Change in the Seunghwaru Area, Changdeokgung Palace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40 no.1, 2022년, pp.15 - 25  

오준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창덕궁 승화루(承華樓) 남측 공간에 위치한 화계(花階)의 조성 경위를 탐색하고, 화계 조성 전후의 실상을 파악하여 향후 내전(內殿) 지역의 복원정비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00년대 초반 승화루 남측 공간은 낙선재(樂善齋) 일곽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지대(地帶)를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북고남저지형을 따라 행각으로 위요된 마당, 낙선재 서행각(西行閣)과 연결되는 장방형 공지(空地)가 조성되어 있었다. 특히 장방형 공지는 일정 간격으로 장대석 석렬을 배치한 계단형 경사지였다. 둘째, 승화루 화계는 1920년대 후반에 시행된 낙선재 서행각의 신관(新館) 개축공사로부터 비롯되었다. 신관 건립 과정에서 건축 및 부대공간 조성에 필요한 가용지(可用地)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승화루 남측 공간의 원지형을 절토한 이후 절개지를 따라 지형처리 목적의 화계가 조성되었다. 셋째, 화계 조성 이후 승화루 남측 공간의 지형지물에 많은 변형이 발생하였다. 승화루의 앞마당은 낙선재 일곽보다 고지대에 자리하고 있었지만, 화계가 조성되는 과정에서 대부분 절토되어 사라졌다. 계단형 경사지 역시 신관 건축과 화계 조성 이후 자취를 감추었다. 화계의 선형을 따라 승화루 기단과 담장이 새롭게 조성되었으며, 독특한 양식의 협문과 부속 계단도 신설 담장으로 이설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useful basic data for resto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Changdeokgung Palace(昌德宮)'s inner palace area in the future by exploring the background of terraced flower beds installed in the front space of Seunghwaru(承華樓) and grasping the reality before and after terra...

주제어

표/그림 (25)

참고문헌 (29)

  1. 백지성(1998). 한국정원의 식재기반으로서의 화계에 관한 기초적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6(1): 143-157. 

  2. 문화재청(2020). 동궐(창덕궁)의 전통경관 고증 및 조경 복원정비 종합계획 연구. 대전: 문화재청. 

  3. 김효진(2014). 韓國의 階段式 庭園에 관한 硏究.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이승원(2014). 조선시대 궁궐 화계의 시각구조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백종철, 김용기, 사공영보(2003). 창덕궁 주합루 취병 복원에 따른 화계 정비 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1(1): 31-38. 

  6. 유기석(2015). Tree Manage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rraced Flower Beds in Changdeok Pala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3: 46-55. 

  7.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동궐도(東闕圖)」. 

  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동궐도형(東闕圖形)」. 

  9. 국립문화재연구소(2013).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조선왕실 건축도면. 대전: 문화재청. 

  10. 서우학회(1907). 서우(西友) 13권. 京城歷史의 槪要(續). 二. 昌德宮. 

  11. 세키노 타다시(1904). 한국건축조사보고(韓國建築調査報告). 동경: 동경제국대학. 

  12. Jean Perry(1906). Chilgoopie the Glad. 런던: S.W. PARTRIDGE &Co. 

  13. 이규철(2015). 1907~1910년 창덕궁 중심 공간의 재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1(6): 151-162. 

  14. http://www.worthpoint.com 

  15. 서울역사박물관, 주한체코공화국대사관(2011). 1901년 체코인 브라즈의 서울 방문 : 체코 여행가들의 서울 이야기.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조사연구과, 주한체코공화국대사관. 

  16. 조선총독부(1930).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 10권. 

  17. 문화재청(2016). 창덕궁 낙선재 일곽 정밀실측조사보고서. 대전: 문화재청. 

  18. 이강근(2014). 근대기(近代期) 창덕궁(昌德宮) 건축의 변천에 대한 연구. 강좌미술사. 42(-): 11-31. 

  19. 신반도사출판부(1911). 조선의 경무기관(朝鮮之警務機關). 경성: 신반도사출판부. 

  20.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창덕궁평면도(昌德宮平面圖)」. 청구기호 RD04556. 

  21. 영남대학교박물관(1998). 영남대박물관 소장 한국의 옛 지도(도판편). 경산: 영남대학교박물관. 

  22.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낙선재석복헌수강재평면도(樂善齋錫福軒壽康齋平面圖)」. 

  23. 동아일보. 1928년 11월 4일자. 낙선재수선(樂善齋修繕). 

  24. 국가기록원 소장 사진.필름류. 

  25. http://www.museum.go.kr 

  26.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창덕궁평면도(昌德宮平面圖)」. 청구기호 RD04554. 

  27.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창덕궁평면도(昌德宮平面圖)」. 청구기호 RD04555. 

  28. 오준영, 김영모(2019). 동궐(東闕) 추경원(秋景苑)의 조영과 변천에 관한 고찰. 문화재. 52(1): 44-63. 

  29. http://www.heritage.go.kr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