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MM 필터를 이용한 장사정포의 탄종 분리 및 탄착점 예측 통합 알고리즘
Integrated Algorithm for Identification of Long Range Artillery Type and Impact Point Prediction With IMM Filter 원문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50 no.8, 2022년, pp.531 - 540  

정철구 (Department of Aerospace Engineering,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이창훈 (Department of Aerospace Engineering,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탁민제 (Department of Aerospace Engineering,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유동길 (Radar R&D Lab, LIG Nex1) ,  손성환 (Radar R&D Lab, LIG Nex1)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IMM 필터 기반으로 장사정포의 탄종을 식별하고 탄착점을 신속하게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탄도궤적 방정식을 시스템 모델로 사용하고, 각각 다른 탄도계수 값을 갖는 3가지 모델을 IMM 필터에 적용한다. 가속도를 중력, 공기저항, 양력에 의한 3가지 성분으로 나누고 양력가속도를 새로운 상태변수로 추가하여 추정한다. 속도벡터와 양력가속도가 수직이라는 운동학 조건을 유사 측정값으로 추가한 측정방정식을 다룬다. IMM 필터를 통해 추정된 상태변수와 모드 확률이 가장 높은 모델의 탄도계수를 기반으로 탄착점을 예측한다. 탄착점 예측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룽게-쿠타 수치적분 대신, 준해석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적은 계산량으로 탄착점을 예측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최소제곱법을 이용한 상태변수 초기화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 성능을 확인하였다. 탄종식별, 탄착점 예측 및 초기화를 포함한 통합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lgorithm that identifies artillery type and rapidly predicts the impact point based on the IMM filter. The ballistic trajectory equation is used as a system model, and three models with different ballistic coefficient values are used. Acceleration was divided into three...

주제어

참고문헌 (8)

  1. Lee, D. G., Cho, K. S., Shin, J. H. and Kim, J. E., "An analysis study about relationship between ballistic coefficient and accuracy of predicted intercept point of super-high speed targe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Vol. 17, No. 2, 2014, pp. 265~274. 

  2. Hardiman, D. F., Kerce, J. C. and Brown, G. C., "Nonlinear estimation techniques for impact point prediction of ballistic targets," Signal and Data Processing of Small Targets, Vol. 6236, 2006, pp. 99~110. 

  3. Uhm, T. W., "Algorithm and simulation system to calculate the impact point of general bomb," Proceeding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Conference, July 2012, pp. 994~1001. 

  4. Jung, J. K. and Hwang, D. H., "The novel impact point prediction of a ballistic target with interacting multiple models," Proceeding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Conference, October 2013, pp. 450~453. 

  5. Jung, J. K. and Hwang, D. H., "Impact Point Prediction of the Ballistic Target Using a Flight Phase Discrimination,"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Vol. 18, No. 3, 2015, pp. 234~243. 

  6. Moon, K. R., Kim, T. H. and Song, T. L., "Comparison of ballistic-coefficient-based estimation algorithms for precise tracking of a re-entry vehicle and its impact point prediction,"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Vol. 29, No. 4, 2012, pp. 363~374. 

  7. Tahk, M. J. and Speyer, J. L., "Target tracking problems subject to kinematic constraints," IEEE transactions on automatic control, Vol. 35, No. 3, 1990, pp. 324~326. 

  8. Chudinov, P. S., "Approximate analytical investigation of projectile motion in a medium with quadratic drag force,"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Science and Engineering, Vol. 5, No. 1, 2011, pp. 27~4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