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FT 아트의 미래와 전망 :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The Future and Prospects of NFT Art : On the basis of Actor-Network Theor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8 no.4, 2022년, pp.397 - 405  

천미림 (한양대 과학기술윤리법정책센터) ,  김홍규 (한양대 과학기술윤리법정책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NFT 아트는 NFT 기술을 바탕으로 형성된 새로운 미술형태로써 기존 미술계와 미술시장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따라서 NFT 아트가 새로운 미술의 영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가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따라서 NFT 아트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과학기술학(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의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 Theory)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대표적인 사례로 NFT 아티스트 '비플(beeple)'의 사례를 조망한다. 또한 과학기술학 연구자인 그레이엄 하먼(Graham Harman)의 미학을 바탕으로 NFT 아트의 예술적 가치와 전통 미술 네트워크와의 관계를 논의한다. 특히 NFT 프로젝트 '크립토펑크(Crypto punks)'와 새로운 미술장르를 표방하는 '펑키즘(PUNKISM)' 사례를 통해 NFT 아트의 미래와 장르적 지속가능성을 분석한다.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으로 NFT 아트를 분석함으로써 기술적, 미적, 철학적 질문들을 가시화하고 새로운 미술장르로써의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FT art is a new art formed based on NFT technology. This is attracting great attention in the existing art world and art market. Therefore, it is required to analyze whether NFT art can establish itself as a new area of art. Therefor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NFT art is analyzed fr...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15)

  1. https://superrare.com/series/0x28b19a2885b68613d89c4e38eaf5cf3849978d70, (accessed May 17, 2022). 

  2. https://nonfungible.com/market-tracker, (accessed May 17, 2022). 

  3. E. M. Lee, "A Study on the Protection of Creators' Rights Using Social Media for Non-fungible Token Marketplace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7, No. 4, pp. 667-673, 2021. http://dx.doi.org/10.17703/JCCT.2021.7.4.667 

  4. S. R. Seong, R. Hoefer & S. McLaughlin, NFT Revolution, TheQuest, 2021. 

  5. D. M. Park, "NFT Art : Decentralization of the Art World and Aura of Trac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tudies, Vol. 109, pp. 127-152. 2021. DOI : 10.46407/kjci.2021.10.109.127 

  6. Y. H. Jeong, "Blockchain Evolution, Current Status, and Future - Focusing on the U.S. Market Situation", Journal of Payment and Settlement, Vol. 13, No. 2, pp. 87-118, 2021. https://doi.org/10.22898.kpsakr.2021.13.2.87 

  7. K. H. Hong, NFT Future Class, The Korea Economic Daily, 2021. 

  8. M. Fortnow, & Q. Terry, The NFT Handbook, Wiley, 2021. 

  9. B. Latour et al, Human Object Alliance : Actor Network Theory and Technoscience, 2010. (브루노 라투르 외 지음, 홍성욱 엮음, 인간 사물 동맹 :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 이음, 2010. 

  10.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014810, (accessed May 17, 2022). 

  11.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2022163141, (accessed May 17, 2022). 

  12. https://www.ihamnft.com/ko/punkism, (accessed May 17, 2022). 

  13. https://www.larvalabs.com/cryptopunks, (accessed May 17, 2022). 

  14. M. H. Jin, The Shifts of Contemporary Art Scene in the Age of Mass Image, Journal of Korean Modern & Contemporary Art History, pp. 99-132, 2021. https://doi.org/10.46834/jkmcah.2021.12.42.99 

  15. G. Harman, Art and Object, Polity, 20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