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주 전통사찰의 침입외래식물 현황 및 관리방안 - 분황사, 백률사, 삼불사를 중심으로 -
The Invasive Alien Plants and Management Plans of Traditional Temples in Gyeongju - Focused on Bunhwangsa Temple, Baekryulsa Temple and Sambulsa Temple -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40 no.2, 2022년, pp.44 - 58  

유주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분황사, 백률사, 삼불사는 유명한 문화재구역은 아니지만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경주국립공원과 경주역사유적지구에 위치해 환경적, 문화적으로 보존이 필요한 지역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경주 전통사찰의 침입외래식물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문화재의 고유환경과 경관을 관리하기 위함이다. 전체 식물상은 73과 136속 154종 3아종 11변종 4품종 5잡종 12재배품종의 188분류군이며, 조경식물은 163분류군, 침입외래식물은 38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식재된 침입외래식물은 13분류군이며, 생태계교란 생물은 애기수영, 가시상추, 미국쑥부쟁이 3분류군이었다. 침입외래식물은 조경식재와 같은 인위적 원인도 있지만 외부에서 자연적으로 유입된 것도 있었다. 사찰의 주차장은 간섭과 교란이 많아 침입외래식물의 주요 전파경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관리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전통사찰의 조경식재는 한국의 자연환경 및 전통경관에 맞는 자생종 위주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문화재 중심의 식재지침 개발이 요구된다. 두 번째, 전통사찰은 환경적,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위치해 있으므로 침입외래식물의 식재를 자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세 번째, 사찰환경의 보전을 위해 주변의 생태계교란 생물을 조속히 제거해야 할 것이다. 네 번째, 전통사찰의 경관적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입지환경, 역사성 등을 고려하여 특색 있는 식재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unhwangsa Temple, Baekryulsa Temple and Sambulsa Temple are not famous cultural heritage area, but they are visited by many tourists and are located in Gyeongju National Park and Gyeongju Historic Areas, so environmental and cultural preservations ar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nag...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34)

  1. 이영경, 김정은, 이서율(2010). 태양열시설이 전통사찰의 경관경험에 미치는 영향-통도사 진입경간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3): 114-121. 

  2. 홍광표, 심경구, 하재호(2000). 전통사찰의 보존에 대한 문제와 대책.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4): 77-85. 

  3. 이원호, 김동현, 김재웅, 안혜인, 김대열, 조운연(2014). 전통공간 재현을 위한 광한루원의 수목정비방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3): 82-95. 

  4. 이선희, 진혜영, 이현채, 문애라, 최우경, 송유진, 송정화(2016). 한국전통사찰 경내 식재실태 및 식재정비방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4(1): 53-70. 

  5. 신혁탁, 김용식, 이명훈, 윤정원(2011). 성주지역 문화재 지정(보호)구역 내 외래식물의 현황. 문화재. 44(1): 162-181. 

  6. 윤정원, 신현탁, 이며훈, 김기송, 성정원, 박기환, 이창현, 김용식(2012). 경주국립공원 문화재지정구역의 귀화식물 현황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4): 550-558. 

  7. 노재현, 오현경, 한윤희, 박경욱, 변무섭, 허준, 최영현, 신상섭, 이현우, 김효정(2013). 국가지정 문화재 민속마을의 외래식물 식재 및 발생현황-하회.양동.한개마을을 대상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1(2): 1-19. 

  8. 노재현, 오현경, 한윤희, 최영현, 변무섭, 김영숙, 이원호(2014). 제주성읍민속마을의 귀화식물 분포현황 및 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1): 107-119. 

  9. 강민정, 이고운, 김신원(2018). 서울시 전통문화고간의 귀화식물 분포현황-4대 고궁과 종묘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6(1): 45-54. 

  10. 노재현, 오현경, 한상엽, 최영현, 김은옥(2018). 진안 마이산 명승구역 내 귀화식물 현황 및 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6(3): 100-114. 

  11. 네이버지식백과 홈페이지. https://terms.naver.com/ 

  12. 황숙영(2011). 경주 역사숲의 식생구조 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경주시(2021). 제 60회 경주통계연보. 경주시. 

  14. 이창복(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15. 국립수목원(2011). 한국의 재배식물. 국립수목원. 

  16. 윤주복(2015). 우리나라 나무도감. 진선출판사(주). 

  17. 국립수목원(2017). 국가표준식물목록(개정판). 국립수목원. 

  18. 국립수목원(2016). 국가표준재배식물목록(개정). 국립수목원. 

  19. 국립수목원(2019). 국가외래식물목록. 국립수목원. 

  20. 최영은, 김창환(2017). 전라북도 부안군.고창군 무인도서에 분포하는 식물의 생활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연구. 29(4): 245-261. 

  21. 정지현, 홍순천, 박희준, 백원기(2019). 낙동강 중류 지천의 식물상(영강, 내성천, 위천, 감천, 병성천). 한국자원식물학회지. 32(5): 615-632. 

  22. 유주한, 곽수빈(2020). 도시근린공원 내 식재된 조경수목의 특성 분석-함지근린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6(1): 9-17. 

  23. 허상현(2005). 전통사찰의 조경수 식재실태 연구-불국사, 분황사, 기림사, 골굴사-. 사찰조경연구. 10: 79-92. 

  24. 임양재, 전의식(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3(3-4): 69-83. 

  25. 홍광표, 유주한(2015) 해인사의 조경식물 분포 및 식재특성 분석. 신라연구. 46: 365-386. 

  26. 오충현, 정욱주, 이임규, 김민경, 박은하(2012). 아파트단지 조경수 적정식재밀도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0(6): 140-147. 

  27. 길지현, 김창기(2014). 외래 관상식물의 국내 귀화 현황. Weed Turf. Sci. 3(3): 206-214. 

  28. 추연수, 김중권, 이효혜미(2017). 도로개발 사업이 외래식물 유입에 미치는 영향.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4(3): 156-168. 

  29. 유주한, 홍광표, 이동훈(2010). 삼보사찰의 조경식물 및 식재특성. 한국조경학회지. 38(1): 119-128. 

  30. 홍광표(2005). 아름다운 사찰 만들기의 기본적 요건. 사찰조경연구. 10: 1-14. 

  31. 홍광표, 유주한(2016) 봉정사의 조경식물 종류와 특성.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2(2): 57-64. 

  32. 원종화, 정진형, 김창섭, 이기의(2005). 조경식물의 식재와 이용-원주시와 횡성군을 중심으로-. 삼림과학연구. 21: 34-58. 

  33. 김창기, 길지현(2017). 한반도 외래식물. 자연과 생태. 

  34. 송임근, 박선주(2019). 경주시 주요 사적지 및 도시공원의 귀화식물분포. 환경생물. 37(2): 144-1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