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판 동성애자/양성애자 다차원 정체성 척도 타당화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Lesbian, Gay, and Bisexual Identity Scale 원문보기

한국심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문화 및 사회문제, v.28 no.2, 2022년, pp.133 - 161  

이소정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  김은하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동성애자와 양성애자의 정체성을 다차원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Mohr와 Kendra(2011)가 개발한 The Lesbian, Gay, and Bisexual Identity Scale(LGBIS)을 한국어로 번안하고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로 번역한 LGBIS를 201명의 동성애자와 양성애자에게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요인 부하량이 낮은 한 문항을 삭제하고 8개 하위요인(26문항)으로 한국판 LGBIS를 구성하였다. 8개 하위요인은 원척도와 동일하게 수용걱정, 은닉 동기, 정체성 불확신, 내면화된 동성애 부정, 고된 과정, 정체성 우월, 정체성 긍정, 정체성 중심이었다. 또한, 한국판 LGBIS의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은닉 동기'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의 내적합치도는 만족스러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210명의 동성애자와 양성애자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8요인 모형(26문항)이 양호한 적합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판 LGBIS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각 하위요인과 정체성 및 심리적 기능을 측정하는 척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판 LGBIS는 총 26문항, 8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척도로, 국내 동성애자와 양성자에게 사용하기에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nslate and validate the Lesbian, Gay, and Bisexual Identity Scale(LGBIS), which is a scale measuring the multidimensional identities of sexual minorities. For this, we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a sample of 201 LGBs(homosexuals and bisexuals). ...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76)

  1. 강병철, 하경희 (2007). 청소년 동성애자의 성 정체성 드러내기가 자살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35, 167-189. 

  2. 강병철, 하경희 (2012). 청소년 성소수자의 긍정적 성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청소년학연구, 19(2), 99-128. 

  3. 김은하, 정보현, 김하영 (2020). 레즈비언 대학(원)생의 긍정적 성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상담학연구, 21(2), 241-267. 

  4. 김진이 (2017). 가족의 거부로 인한 성소수자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합의적 질적연구(CQR).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3(3), 605-634. 

  5. 김혜민, 유금란 (2020). 개념도를 활용한 남성 동성애자에 대한 이성애자 성인의 인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1), 417-438. 

  6. 김혜숙 (1993). 한국 집단 자아존중 척도.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89-301. 

  7. 나영정, 김지혜, 류민희, 이승현, 장서연, 정현희, 조혜인, 한가람, 성적지향 성별정체성 법정책연구회 (2014). 한국 LGBTI 커뮤니티 사회적 욕구조사 최종보고서. 서울: 친구사이. 

  8. 나영정, 정현희 (2015). 성소수자 인구, 커뮤니티를 그리는 작업에서 마주치는 문제들: 한국 LGBTI 커뮤니티 사회적 욕구조사를 중심으로. 여성이론(32), 92-108. 

  9. 박도담, 유성경 (2019). 한국판 성적 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 척도(Korean Version of the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 Scale: K-SOM)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1(3), 899-927. 

  10. 박수영, 공춘옥, 정윤경 (2018). 동성애자 및 양성애자 내담자의 상담 참여결정 요인에 대한 인식. 상담학연구, 19(3), 367-383. 

  11. 박은실 (2010). 양성애 여성의 횡단적 주체성 형성과 도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박의주 (2012). 남성 동성애자의 내재화된 동성애 혐오와 심리적 안녕감, 드러내기 간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임효 (2008). 동성애자의 성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교육학적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정은, 남궁미, 정서진 (2019). 동성애자 내담자의 상담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여성 동성애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1(4), 997-1021. 

  15. 박준호, Lawrence Gerstein, Deborah Miller (2014). 대학생 동성애 상담: 상담자 훈련을 위한 체계적 모델의 활용. 인간이해, 35(1), 53-71. 

  16. 박홍석, 이정미 (2016). 정적정서 부적정서 척도(PANAS)의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4), 617-641. 

  17. 배병렬 (2011).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원리와 실제. 서울: 도서출판 청람. 

  18. 안이수 (2018). 성소수자에 관한 주관성 연구: Q방법론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8(1), 527-539. 

  19. 여기동, 이미형 (2006). 한국 남성의 동성애 성 정체성 발달 과정과 정신건강. 정신간호학회지, 15(3), 289-298. 

  20. 우사라, 유성경 (2017). 상담자의 동성애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동성애자 상담 유능감에 따른 임상적 판단 및 반응.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2), 311-334. 

  21. 윤이현, 유민희, 류재희, 박선웅 (2016). 동성애자에 대한 외현적 및 암묵적 태도.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2(3), 343-362 

  22. 이솔희 (2019). 한국판 LGB 미묘한 차별 경험척도(K-LGB-MA)의 개발 및 타당화.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호림 (2015). 소수자 스트레스가 한국 성소수자(LGB)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임민경 (2014). 남녀 동성애자의 내면화된 성적낙인 척도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임영진 (2012). 한국판 삶의 만족도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3), 877-896. 

  26. 장지윤, 안현의 (2018). 한국판 동성애자/양성애자 긍정적 정체성 척도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2), 273-295. 

  27. 전겸구, 이민규 (1992). 한국판 CES-D 개발 연구.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1(1), 65-76. 

  28. 정애경, 윤은희 (2020). 한국 이성애자의 동성애 및 동성애자에 대한 태도: 탐색적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2), 583-608. 

  29.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30. Abdelmoula, M. & Akrout, F. (2015). The effect of sample size and the number of items on reliability coefficients: Alpha and rho: A meta-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Numerical Methods and Applications, 19(1), 1-20. 

  3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04, February 26). COPP Position statement on therapies focused on attempts to change sexual orientation (Reparative or Conversion Therapies). Retrived from https://pubmed.ncbi.nlm.nih.gov/11183192/ 

  32.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1). Definition of terms: Sex, gender, gender identity, sexual orientation. Retrieved from https://www.apa.org/pi/lgbt/resources/guidelines. 

  33. Ashmore, R. D., Deaux, K., & McLaughlin-Volpe, T. (2004). An organizing framework for collective identity: Articulation and significance of multidimensionality, Psychological Bulletin, 130(1), 80-114. 

  34. Baams, L., Grossman, A. H., & Russell, S. T. (2015). Minority stress and mechanisms of risk for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lesbian, gay, and bisexual youth. Developmental Psychology, 51(5), 688-696. 

  35. Balsam, K. F., & Mohr, J. J. (2007). Adaptation to sexual orientation stigma: A comparison of bisexual and lesbian/gay adul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4, 306-319. 

  36. Brady, S., & Busse, W. J. (1994). The Gay Identity Questionnaire: A brief measure of homosexual identity formation. Journal of Homosexuality, 26, 1-22. 

  37. Cass, V. (1979). Homosexual identity formation: A theoretical model. Journal of Homosexuality, 4(1), 219-235. 

  38. Cass, V. (1984). Homosexual identity formation: Testing a theoretical model. Journal of Sex Research. 20, 143-167. 

  39. Comrey, A. L., & Lee, H. B. (1992). A first course in factor analysis. Hillsdal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0. Costello, A., & Osborne, J. (2005).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recommendations for getting the most from your analysi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10(7), 1-9. 

  41. Cramer, R. J., Burks, A. C., Golom, F. D., Stroud, C. H., & Graham, J. L. (2016). The lesbian, gay, and bisexual identity scale: Factor analytic evidence and associations with health and well-being.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50(1-2), 71-88. 

  42. D'Augelli, A. R., & Grossman, A. H. (2001). Disclosure of sexual orientation, victimization, and mental health among lesbian, gay, and bisexual older adult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6(10), 1008-1027. 

  43. de Oliveira, J. M., Lopes, D., Costa, C. G., & Nogueira, C. (2012). Lesbian, Gay, and Bisexual Identity Scale (LGBIS): Construct validation, sensitivity analyses and other psychometric properties. The Spanish Journal of Psychology, 15(1), 334-347. 

  44. Diamond, L. M. (2007). A dynamical systems approach to the development and expression of female same-sex sexuality.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2(2), 142-161. 

  45.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46. Feinstein, B. A., Dyar, C., Bhatia, V., Latack, J. A., & Davila, J. (2014). Willingness to engage in romantic and sexual activities with bisexual partners: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 differences. Psychology of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Diversity, 1(3), 255-262. 

  47. Feinstein, B. A., Goldfried, M. R., & Davila, J.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nd mental health among lesbians and gay men: An examination of internalized homonegativity and rejection sensitivity as potential mechanism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80(5), 917-927. 

  48. Goodrich, M. M., & Brammer, M. K. (2021). Cass's homosexual identity formation: A critical analysis. Journal of Multicultural Counseling and Development, 49(4), 239-253. 

  49. Hayfield, N., Clarke, V., & Halliwell, E. (2014). Bisexual women's understandings of social marginalisation: 'The heterosexuals don't understand us but nor do the lesbians'. Feminism & Psychology, 24(3), 352-372. 

  50. Herek, G. M., Gillis, J. R., & Cogan, J. C. (2009). Internalized stigma among sexual minority adults: Insights from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6(1), 32-43. 

  51. Hogarty, K., Hines, C., Kromrey, J., Ferron, J., & Mumford, K. (2005). The quality of factor solution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influence of sample size, communality, and overdeterminatio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5(2), 202-226. 

  52. Jackson, S. D., & Mohr, J. J. (2016). Conceptualizing the closet: Differentiating stigma concealment and nondisclosure processes. Psychology of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Diversity, 3(1), 80-92. 

  53. Kim, E. H., Kim, H., & Lee, K. (2021).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the romantic relationship experiences. Psychology & Sexuality, Published online first. 

  54. King, M., Semlyen, J., Tai, S. S., Killaspy, H., Osborn, D., Popelyuk, D., & Nazareth, I. (2008). A systemic review of mental disorder, suicide, and deliberate self-harm in lesbian, gay, and bisexual people. BMC Psychiatry, 8, 70. 

  55. Lingiardi, V., Baiocco, R., & Nardelli, N. (2012). Measure of internalized sexual stigma for lesbians and gay men: a new scale. Journal of Homosexuality, 59(8), 1191-1210. 

  56. Luhtanen, R. K., & Crocker, J. (1992). A collective self-esteem scale: Self-evaluation of one's social identit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8, 302-318 

  57. Martin, J., & Dean, L. (1987). Ego-dystonic homosexuality scale. Colombia University. Unpublished manuscript. 

  58. Mayfield, W. (2001). The development of an internalized homonegativity inventory for gay men. Journal of Homosexuality. 41(2), 53-76. 

  59. McCarn, S. R., & Fassinger, R. (1996). Revisiting sexual minority identity formation: A new model of lesbian identity and it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y, 24(3), 508-534. 

  60. Meyer, I. H. (2003). Prejudice, social stress, and mental health in lesbian, gay, and bisexual populations: Conceptual issues and research evidence. Psychological Bulletin, 129(5), 674-697. 

  61. Meyer, I. H. (2010). Identity, stress, and resilience in lesbians, gay men, and bisexual of color.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8(3), 442-454. 

  62. Mohr, J. J., Chopp, R. M., & Wong, S. J. (2013). Psychotherapists' stereotypes of heterosexual, gay, and biseuxal men. Journal of Gay & Lesbian Social Services, 25(1), 37-55. 

  63. Mohr, J. J., & Fassinger, R. (2000). Measuring dimensions of lesbian and gay male experience.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33(2), 66-90. 

  64. Mohr, J. J., Kendra, M. S. (2011). Revision and extension of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sexual minority identity: The lesbian, gay, and bisexual identity scal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8(2), 234-245. 

  65. Moleiro, C., & Pinto, N (2015).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Review of concepts, controversies, and their relation to psychopathology classification systems. Frontiers in Psychology, 6, 1511. 

  66. Newcomb, M. E., & Mustanski, B. (2010). Internalized homophobia and internalized mental health problems: A meta-analytic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30(8), 1019-1029. 

  67.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 NY: McGraw-Hill. 

  68. OECD (2019). A spotlight on LGB people. Society at a Glance 2019. Retrieved from https://www.oecd.org/korea/sag2019-korea-en.pdf 

  69. Phinney, J. S. (1992). The multigroup ethnic identity measure: A new scale for use with diverse groups.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7(2), 156-176. 

  70. Riggle, E. D. B., Mohr, J. J., Rostosky, S. S., Fingerhut, A. W., & Balsam, K. F. (2014). A multifactor lesbian, gay, and bisexual positive identity measure(LGB-PIM). Psychology of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Diversity, 1(4), 398-411 

  71. Riggle, E. D. B., Rostosky, S. S., Black, W. W., & Rosenkrantz, D. E. (2017). Outness, concealment, and authenticity: Associations with LGB individuals' psychological distress and well-being. Psychology of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Diversity, 4(1), 51-62. 

  72. Riggle, E. D. B., Whitman, J. S., Olson, A., Rostosky, S. S., & Strong, S. (2008). The positive aspects of being a lesbian or gay man.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9(2), 210-217. 

  73. Szymanski, D. M., Kashubeck-West, S., & Meyer, J. (2008). Internalized heterosexism: A historical and theoretical overview.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6(4), 510-524. 

  74. Wast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6), 1063-1070. 

  75. World Values Survey Association. (2010). WV6_Results_South Korea 2010_v20180912. Retrieved from http://www.worldvaluessurvey.org/WVSDocumentationWV6.jsp. 

  76. Yi, H., Lee, H., Park, J., Choi, B., & Kim, S. S. (2017). Health disparities between lesbian, gay, and bisexual adults and the general population in South Korea: Rainbow connection project. Epidemiology and Health, 39, e201704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