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독교교육학 연구 동향 분석: 코로나19 시기 게재 논문(2020.3~2022.6)을 중심으로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Christian Education: Papers Published During COVID-19 (2020.3 - 2022.6) 원문보기

기독교교육 논총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v.72, 2022년, pp.97 - 115  

신승범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기간 기독교교육학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0년 3월부터 2022년 6월 사이 발간된 "기독교교육논총" 과 "기독교교육정보"에 수록된 172편의 논문을 기독교교육학 하위영역과 연구방법에 따라 분류하였다. 분류 결과, 전체 논문 가운데 38.5%가 기독교교육 기초학에 속했고, 기독교교육 실천학에 해당하는 논문은 61.5%로 기초학 영역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기독교교육 실천학을 구분해서 살펴보면, 발달단계별 분류 관련 논문은 전체 논문의 25%를 차지했고, 장별 분류 관련 논문은 전체 논문의 55.2%를, 기능별 분류 관련 논문은 전체 논문의 40.7%를 차지했다. 연구방법 분류와 관련해서는, '문헌연구'가 전체 연구의 62.7%를 차지했고 '조사연구' 방법이 21.5%, '개발연구'가 9.9%로 이전과 비교했을 때 기독교교육학의 연구방법이 다양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및 제언 :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발견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교육학 연구의 동향 파악을 위해 연구를 분석하고 분류할 수 있는 범주 기준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둘째, 문헌연구로 편중되어 있던 기독교교육학의 연구방법이 최근 이론 중심에서 이론과 실천의 균형을 잡으려는 시도로 전환되었고 융복합 연구가 증가되면서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이 다양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셋째, 코로나바이러스의 출현과 확산으로 인해 야기된 문제가 기독교교육학 연구에도 반영되기 시작했다. 마지막으로, 전체 논문을 고려했을 때 특성별 분류에 해당하는 논문이 많지 않은데 향후 기독교교육의 현장성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해 현장과 발달단계의 하위영역을 세분화하여 다루는 연구가 많아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Christian education research during the COVID-19 period. To this end, 172 thes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and "Korea Society for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pub-lished between March 2020 and June 2022 we...

주제어

참고문헌 (20)

  1. Kwon, J. G (2020). Infection, Disease, and Christian Spirituality.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63, 65-89.? 

  2. Kim, S. J (2020).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Post COVID-19.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Korea, 63, 39-64.? 

  3. Kim, H. S. (2012). A Research Analysis for an Alternative Paradigm in Christian Education with a Focus on Research?Methodology. Korea Society for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28, 347-377.? 

  4. Kim, H. S. (2019). Research Trends of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58, 147-176.? 

  5. Kim, H. J. (2008). Evaluation & Prospect on Academic Societies for Christian Education in Digital Era. Korea?Society for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20, 69-88.? 

  6. Ma, E. H., Kim, N. I., Kim, S. H., & Huh, K. Y. (2020). Web-based Child-parent Integrated Worship Practice and?Strategies in COVID 19 era: Focusing on Christian Social Emotional Character Developing Program for Young?Children. Korea Society for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66, 197-220.? 

  7. Park, K. S. (2011). The Research Trends of Christian Peace Education in Korea and the Future Tasks. Journal of?Christian Education in Korea, 40, 13-46.? 

  8. Park, S. J. (2013). An Analysis of the Curriculum of Christian Education Departments on the Basis of the Identity?of Christian Education.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33, 201-239.? 

  9. Sohn, J. W. (2017). A Study of Christian Education Research Trends by Language Network Analysis. Korea Society?for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54, 179-214.? 

  10. Cho, S. K. (2007). New tasks of the fundamental department for praxis-oriented Christian education study. Journal?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14, 19-46.? 

  11. Oh, I. T. (2002). Research History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8,?43-127.? 

  12. Oh, I. T. (2008). Bibliography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1945-2005. Seoul: Korea Society for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 Gidokhangyo. 

  13. Yoo, J. D. (2020). Christian Education and the Post Coronavirus Er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68,?11-40.? 

  14. Yoo, J. E. (2020).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Learner-Learner Interaction, and Class Satisfaction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Journal of Christian?Education in Korea, 63, 255-281.? 

  15. Lee, E, K. (2020). Worship and faith education in an untact society: : Toward multifaceted education beyond the?untact education. Korea Society for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66, 295-322.? 

  16. Lim, C. H. (2014). Current Research Trends in Korean Christian Education (2006.3~2013.12). Journal of Christian?Education in Korea, 37, 1-24.? 

  17. Lim, C. H. (2019). Analysis of Thematic Trends within Academic Paper Titles in 3 main Korean Christian Education?Journals.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60, 13-43.? 

  18. Lim, C. H. (2020). Bibliography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II) 2006-2018. Seoul: Korea Society for Christian?Religious Education.? 

  19. Choi, E, T. (2020). A Study of the Model Christian Familial-Spiritual Education for The Era of Covid-19. Journal?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63, 91-120.? 

  20. Ham, S. S. (2020). After Covid-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Curriculum for Korean Reunification.?Korea Society for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66, 259-29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