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생활권 기초생활서비스 항목 설정 및 공간데이터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Deriving Basic Living Service Items and Establishing Spatial Data in Rural Areas 원문보기

韓國農村建築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v.24 no.3, 2022년, pp.39 - 46  

김수연 (국립농업과학원 농촌환경자원과) ,  김상범 (국립농업과학원 농촌환경자원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rive basic living service facility items in rural areas and construct related spatial data. To do this, a literature review on the laws and systems related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ervices in rural areas, rural spatial planning, and the 'Rural Convention' strategic pl...

주제어

참고문헌 (23)

  1. 김광선, 민경찬, 농어촌서비스기준 이행실태 점검.평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2. 김상범, 조숙영, 박미정,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농촌 공간 분석 가이드라인, 2020. 

  3. 김익회 외 5인, 농촌지역의 마이크로공간데이터 조사방법론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 세종: 국토연구원, 2020. 

  4. 김익회, 손재선, 장요한, 마이크로공간데이터 조사방법론과 농촌지역활용사례, 국토정책 Brief, 2021. 

  5. 김태엽,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의 현황 및 향후 과제, 이슈와 논점, 2018. 

  6. 김홍석, 지방인구 감소에 대한 대응전략 연구, 국회예산정책처 연구용역 최종 보고서, 2021. 

  7. 농림축산식품부, 농촌공간 전략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2021a. 

  8. 농림축산식품부, 2021년 농촌협약 추진계획, 2021b. 

  9. 농림축산식품부, 농어촌서비스기준 이행실태 점검평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 

  10.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어촌 삶의 질 세미나 자료집, 2022. 

  11. 박미정 외 3인, 농촌마을의 공간빅데이터를 활용한 정주여건 분석연구, 국립농업과학원 완결과제 최종보고서, 2020. 

  12. 박미정 외 3인, 공공데이터를 통해 본 복지농촌 3.6.5 생활서비스, 2019. 

  13. 배승종, 김대식, 농촌공간 생활인프라와 서비스 공급전략 탐색, Rural Resources, 62(3), 2020. 

  14. 송석현 외 3인, 한국의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의 효과에 대한 연구: 생태계 관점에서, 한국지역정보학회지, 20(4), 2017. 

  15. 신민지 외 4인, 공익형 농촌 생활서비스 접근성 분석, 농촌계획학회지, 25(3), 2019. 

  16. 안광현, 생활서비스에 따른 지역유형분류, 국가정책연구, 24(3), 2010. 

  17. 양승환, 이병준, 윤성수, 기초생활인프라 최저기준에 따른 보은군의 생활인프라 시설 충족도 분석 및 유형화, 한국농공학회논문집, 62(3), 2020. 

  18. 엄성준 외 3인, 빅데이터 기반 기초생활서비스 항목의 재설정,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0. 

  19. 윤상오, 현지우,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공공데이터 포털의 국가중점데이터 개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3(1), 2019. 

  20. 정도채, 농어촌서비스기준으로 살펴본 농어촌 생활 SOC 구축 방향, 국토, 449, 2019. 

  21. 하혜영, 김예성, 지방소멸 위기지역의 현황과 향후 과제, NARS 입법.정책, 85, 2021. 

  22. 국토교통부, 공간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지오코딩, 2021.10.12., http://geobigdata.go.kr/portal/analysis/geoCoding.do 

  2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홈페이지, 농어촌서비스기준 점검.평가, 2022.05.18., https://www.krei.re.kr/committee/contents.do?key46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