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뱀장어 전용어도 개선을 위한 인공어도 실험 II. 자갈 입자 및 각도에 대하여
Experiment of Artificial Ladder for the Improve of Eel Ladder: II. About Pebble Size and Ladder Angle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34 no.2, 2022년, pp.127 - 132  

김재구 (주식회사 알파생태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하천 하류의 대부분이 보에 막혀 있어 회유성 어종의 이동 및 상류와의 연결을 위한 어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어류의 자유로운 이동에 도움이 될 어도는 생태적 교각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현재 가동되고 있는 실뱀장어 전용어도는 바닥에 솔이 심어져 있으며, 솔 이외에 바닥 재질이 실뱀장어의 소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금강하굿둑에 설치한 모형어도를 이용한 소상 실험을 진행했다. 모형어도는 길이 1.2 m, 넓이 0.3 m, 높이 0.1 m로, 어도 바닥에 각기 다른 입자의 3가지 자갈을 붙여 제작하였다. 첫 번째 어도는 입자가 5 mm인 자갈을 사용하였고, 두 번째 어도는 입자가 2 mm인 자갈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세 번째 어도는 입자가 1 mm 이하인 모래시멘트를 굳혀 제작하였다. 모든 실험은 1시간씩 5회 반복하여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각도가 낮을수록 더 많은 실뱀장어가 소상하였고, 자갈의 입자는 작을수록 실뱀장어가 더 많이 소상하였으나, 시멘트로 만든 어도는 실뱀장어가 거의 소상하지 못했다. 자갈을 굳혀 만든 모형어도는 솔 간격 어도에 비해 유량 및 유속이 적어 실뱀장어가 더욱 많이 소상하였으며, 차후 다양한 바닥 재질 및 변수를 적용한 실험을 통해 어도를 개선하면 더 많은 실뱀장어가 소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of the downstream of the river is blocked by beams, so fishways are required for the movement of conciliatory fish species and connection with the upstream.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as an ecological pier that can help free movement of fish. The three previously installed eel ladders use ...

주제어

참고문헌 (19)

  1. Aida, K., K. Tsukamoto and K. Yamauchi. 2012. Eel biology. Tokyo, Japan: Springer. 

  2. Chow, S., H. Kurogi, N. Mochioka, S. Kaji, M. Okazaki and K. Tsukamoto. 2009. Discovery of mature freshwater eels in the open ocean. Fish. Sci., 75: 257-259. https://doi.org/10.1007/s12562-008-0017-5. 

  3. Dekker, W. 2003. Worldwide decline of eel resources necessitates immediate action-Quebec Declaration of Concern. Fisheries, 28: 28-30. 

  4. Hwang, S.D., T.W. Lee, H.B. Hwang, I.S. Choi and S.J. Hwang. 2009. Upstream behavior of glass eels (Anguilla japonica) in an experimental eel-ladder. Korean J. Ichthyol., 21: 262-272. 

  5. Jo, H.B., S.N. Kwak, K.H. Kim, W.O. Lee, K.Y. Park, I.S. Kwak and D.K. Kim. 2019. Migration of glass eel (Anguilla japonica) through fish way and lock gate in an Estuarine Barrage. Korean J. Ecol. Environ., 52: 65-70. https://doi.org/10.11614/KSL.2019.52.1.065. 

  6. Kim, I.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ublishing, Seoul, Korea, 467pp. 

  7. Kim, J.O., K.S. Jang, H.S. Shin, H. Yang and J.H. Jang. 2010. Ecological function assessment for a fishways of Geumgang Estuary Dike. J. Korean Soc. Agric. Eng., 52: 1-7. https://doi.org/10.5389/KSAE.2010.52.3.001. 

  8. Kimura, S., K. Tsukamoto and T. Sugimoto. 1994. A model for the larval migration of the Japanese eel: Roles of the trade winds and salinity front. Mar. Biol., 119: 185-190. https://doi.org/10.1007/BF00349555. 

  9. Lee, T.W. 2003. A study of the early life history and migration of glass eels in order to predict stock siz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85pp. 

  10.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A study on the selection of estuaries subject to pilot restoration to damage the aquatic ecosystem and improve health,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pp. 15-57. 

  11.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9. Monitoring the eel ladder.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ejong, Korea, 98pp. 

  12.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20. Monitoring the eel ladder.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ejong, Korea, 136pp. 

  13. Solomon, D. and M. Beach. 2004 Fish pass design for eel and elver (Anguilla anguilla). Environment Agenc., pp. 1-105. 

  14. Tear, T.H., J.M. Scott, P.H. Hayward and B. Griffith. 1993. Status and prospects for success of the endangered species act: a look at recovery plans. Science, 262: 976-977. https://doi.org/10.1126/science.262.5136.976. 

  15. Tesch, F.W. and R.J. White. 2008. The eel. John Wiley & Sons, 416pp. 

  16. Watz, J., P.A. Nilsson, E. Degerman, C. Tamario and O. Calles. 2019. Climbing the ladder: An evaluation of three different anguillid eelclimbing substrata and placement of upstream passage solutions atmigration barriers. Animal Conservation, 22: 452-462. 

  17. White, E.M. and B. Knights. 1997. Dynamics of upstream migration of the European eel, Anguilla anguilla (L.), in the rivers Severn and Avon, England,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effects of man-made barriers. Fish. Manag. Ecol., 4: 311-324. https://doi.org/10.1046/j.1365-2400.1997.00050.x. 

  18. Wippelhauser, G. and M. Gallagher. 2000. Eel and elver progress report. Stock Enhancement division, Maine department of Marine Resources, Augusta, Maine, U. S. A., 33pp. 

  19. Yang, H.J., K.H. Kim and J.D. Kum. 2001. The fish fauna and migration of the fishes in the fish way of the Nakdong River mouth dam. Korean J. Limnol., 34: 251-25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