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동해 연안에 출현하는 도루묵(Arctoscopus japonic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Coastal Waters of East Sea,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34 no.2, 2022년, pp.113 - 118  

진수연 (경상국립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김도균 (경상국립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성기창 (경상국립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강다연 (경상국립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이주은 (경상국립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박현솔 (경상국립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양혜진 (경상국립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서호영 (전남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  백근욱 (경상국립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번 연구에 사용된 도루묵은 2020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우리나라 동해에서 동해구외끌이저인망과 연안자망 어업을 통해 총 781개체를 채집하였다. 채집된 도루묵의 전장범위는 14.8~25.4 cm였다. 도루묵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54.7%의 상대중요도지수비를 나타낸 단각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각각 33.7%와 11.6%를 차지한 두족류와 난바다곤쟁이류였다. 그외 게류, 새우류, 어류, 갯지렁이류가 출현하였으나 그 양은 매우 적었다. 계절별 위내용물 조성을 살펴본 결과, 모든 계절에 단각류를 주로 섭식하였으며, 여름철에 두족류의 섭식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봄철에 난바다곤쟁이류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크기군별 위내용물 조성을 살펴본 결과, 도루묵은 모든 크기군에서 단각류가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었으며, 성장함에 따라 단각류와 난바다곤쟁이류의 비율은 감소하고 두족류의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개체당 평균먹이생물 개체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중량은 크기군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eding habits of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were studied using 781 specimens collected by Eastern Sea Danish and gill net from January 2020 to December 2021 in the coastal waters of East Sea, Korea. The size of the specimens ranged from 14.8 to 25.4 cm in total length. A. japonicus were fe...

주제어

참고문헌 (24)

  1. Choi, Y.M., B.S. Yoon, H.S. Kim, J.H. Park, K.Y. Park, J.B. Lee, J.H. Yang and M.H. Sohn. 2013. Feeding habits of Lycodes tanakae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middle East Sea,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6: 843-850. 

  2. Gerking, S.D. 1994. Feeding ecology of fish. Academic Press Sandiego CA, U.S.A., 416. 

  3. Hyslop, E.J. 1980. Stomach contents analysis: a review of methods and their application. J. Fish. Biol., 17: 411-429. 

  4. Iguchi, N., T. Ikeda and A. Imamura. 1993. Growth and life cycle of an euphausiid crustacean (Euphausia pacifica Hansen) in Toyama bey, southern Japan sea. Bull. Jpn. Sea Natl. Fish. Res. Inst. Jpn., 43: 69-81. 

  5. Kang, D.Y., A.R. Ko, J.M. Jeong and G.W. Baeck. 2019. Diet composition of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coastal waters of East Sea, Korea. J. Korean Soc. Fish. Ocean Technol., 55: 320-326. https://doi.org/10.3796/KSFOT.2019.55.4.320. 

  6. Kim, I.S., Y. Choi, C.L. Lee, Y.J. Lee, B.J. Kim and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sa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615pp. 

  7. Kim, Y.H., D.H. Shin, J.H. Lee, D.H. Kwon, S. Kang, H.K. Seok and H.K. Cha. 2017. Distribution of the firefly squid, Watasenia scintillans larva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during summer and autumn. J. Korean Soc. Mar. Environ. Saf., 23: 902-908. https://doi.org/10.7837/kosomes.2017.23.7.902. 

  8. Ko, A.R., S.J. Lee, J.H. Yang and G.W. Baeck. 2020. Diet of the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 in the East Sea,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53: 456-463. https://doi.org/10.5657/KFAS.2020.0456. 

  9. Komoto, R., H. Kudou and T. Takatsu. 2011. Vertical distribution and feeding habits of Japanes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larvae and juveniles off Akita prefecture in the Sea of Japan. Aquacult. Sci., 59: 615-630. https://doi.org/10.11233/AQUA-CULTURESCI.59.615. 

  10. KOSIS. 2022. Statistic database for fisheries production. Retrieved from http://www.fips.go.kr on May 2022. 

  11. Lee, B.R., W. Park, H.W. Lee, J.H. Choi, T.Y. Oh and D.N. Kim. 2021.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Euphausiids in Korean Waters in 2016. Korean J. Fish. Aquat. Sci., 54: 456-466. https://doi.org/10.5657/KFAS.2021.0456. 

  12. Lee, H.W. and Y.J. Kang. 2006. Age determination and growth using the transverse section method of otoliths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Eastern Sea of Korea. Ocean Polar Res., 28: 237-243. https://doi.org/10.4217/OPR.2006.28.3.237. 

  13. Lee, H.W., J.H. Kim and Y.J. Kang. 2006. Sexual Maturation and spawning in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East Sea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9: 349-356. 

  14. Lee, H.W., Y.J. Kang, S.H. Huh and G.W. Baeck. 2007. Feeding habits of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East Sea, Korea. Korean J. Ichthyol., 19: 44-50. 

  15. OCPC. 2022. Monthly ocean climate review (December 2021), Ocean Climate Prediction Center,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Retrieved from https://www.ocpc.kr. 

  16. Panchenko, V.V. and D.V. Antonenko. 2021. The Japanes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Steindachner 1881) (Trichodontidae) in Peter the Great Bay (Sea of Japan): Bathymetric distribution and some comments on its biology. Russ. J. Mar. Biol., 47: 459-469. 

  17. Park, J.M., H.K. Jung and C.I. Lee. 2021. Factors influencing dietary changes of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 inhabiting the East Sea off the Korean coast. J. Mar. Sci. Eng., 9: 1154. https://doi.org/10.3390/jmse9111154. 

  18. Pinkas, L., M.S. Oliphant and I.L.K. Iverson.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s. Fish Bull., 152: 1-105. 

  19. Whitehouse, G.A., K.Y. Aydin, A.B. Hollowed, K.K. Holsman, W. Cheng, A. Faig, A.C. Haynie, A.J. Hermann, K.A. Kearney, A.E. Punt and T.E. Essington. 2021. Bottom-up impacts of forecasted climate change on the eastern Bering Sea food web. Front. Mar. Sci., 8. https://doi.org/10.3389/fmars.2021.624301. 

  20. Yamada, Y., T. Ikeda and A. Tsuda. 2004. Comparative life-history study on sympatric hyperiid amphipods (Themisto pacifica and T. japonica) in the Oyashio region, western North Pacific. Mar. Biol., 145: 515-527. https://doi.org/10.1007/s00227-004-1329-3. 

  21. Yang, J.H., S.I. Lee, H.K. Cha, S.C. Yoon, D.S. Chang and Y.Y. Chun. 2008. Age and growth of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East Sea of Korea. J. Korean Soc. Fish. Ocean Technol., 44: 312-322. https://doi.org/10.3796/KSFT.2008.44.4.312. 

  22. Yang, J.H., S.I. Lee, K.Y. Park, S.C. Yoon, J.B. Kim, Y.Y. Chun, S.W. Kim and J.B. Lee. 2012. Migration and distribution changes of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East Sea. J. Korean Soc. Fish. Ocean Technol., 48: 401-414. 

  23. Yang, J.H., S.C. Yoon, J.H. Park, Y.M. Choi, J.B. Lee and B.S. Yoon. 2013. Distribution and migration of larval and juvenil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coastal waters off Gangwondo,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6: 649-652. https://doi.org/10.3796/KSFT.2012.48.4.401. 

  24. Yoon, S.C., J.H. Yang, J.H. Park, Y.M. Choi, J.H. Park and D.W. Lee. 2012.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the coastal waters off Jumunjin, Gangwondo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5: 379-3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