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콘크리트의 탄산화 특성 분석
Analysis of carbonation characteristics on waste concrete 원문보기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v.32 no.4, 2022년, pp.151 - 158  

김남일 (한국세라믹기술원 저탄소&디지털 전환사업단) ,  이종태 (한국세라믹기술원 저탄소&디지털 전환사업단) ,  추용식 (한국세라믹기술원 저탄소&디지털 전환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폐콘크리트 분쇄물의 탄산화 가능성 검토를 위해 폐콘크리트 분쇄물의 기초물성 측정 및 탄산화를 실시하였으며, 탄산화 시료의 CaCO3 생성량, 결정성 분석 및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폐콘크리트 분쇄물의 탄산화 전 CaCO3 함량은 14.51 %이었으며, 24시간 탄산화 시 CaCO3 함량은 28.52 %, 미분쇄 후 24시간 탄산화 시의 CaCO3 함량은 32.73 %이었다. 탄산화 시간에 따른 폐콘크리트 분쇄물의 탄산화는 초기 6시간까지 급격히 이루어졌으나, 12시간 이후 24시간까지의 탄산화는 서서히 진행되었다. 특히 12시간 이후 24시간까지의 CaCO3 생성량은 2.32 % 수준에 불과하였다. 폐콘크리트 탄산화 후 미세구조 관찰 시 calcite 형상의 CaCO3 결정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또한 XRD 패턴에서도 동일 결정 피크를 검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생성된 CaCO3 결정은 calcite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waste concrete sample obtained as various particle size (0~2.36 mm) was carried out the basic measurements and carbonation for analyzing the possibility of its carbonation. It was then investigated some analysis such as crystallization (XRD pattern), microstructure (SEM), and the ...

주제어

표/그림 (12)

참고문헌 (13)

  1. Generation of construction waste and waste concrete in korea, National statistics portal, Korea statistical office Homepage. 

  2. H.Y. Shin, S.W. Ji, J.Y. Woo, G.O. Ahn and S.H. An, "A feasibility study on the utilization of by-product sludge generated from waste concrete recycling process", J. KIRR 25 (2016) 29. 

  3. C.S. Na and J.H. Park, "Production facilities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of recycled aggregate", J. Rec. Const. Resources 5 (2010) 15. 

  4. D.G. Kim, K.H. Yang, E.A. Seo and H.S. Yoon, "Assessment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granulated ground waste concrete powders compiled from waste concrete and mortar", JKCI 33 (2021) 327. 

  5. J.C. Ahn, J.H. Lee and B.H. Kang, "Properties of recycle cement made of cementitious powder from concrete waste by conditions of burning", AIK 19 (2003) 109. 

  6. X. Chen, Y. Li, Z. Zhu and L. Ma, "Evaluation of waste concrete recycled powder on the preparation of low exothermic cement", J. Bulid. Eng. 53 (2022) 104511. 

  7. Y. Wu, H. Mehdizadeh, K.H. Mo and T.C. Ling, "High-temperature CO 2 for accelerating the carbonation of recycled concrete fines", J. Bulid. Eng. 52 (2022) 104526. 

  8. Y. Zhang, H. Chen and Q. Wang, "Accelerated carbonation of regenerated cementitious materials from waste concrete for CO 2 sequestration", J. Bulid. Eng. 55 (2022) 104701. 

  9. M. Zajac, J. Skibsted, F. Bullerjahn and J. Skocek, "Semi-dry carbonation of recycled concrete paste", J CO2 Util. 63 (2022) 102111. 

  10. X. Xian, D. Zhang and Y. Shao, "Flue gas carbonation curing of cement paste and concrete at ambient pressure", J. Clean. Prod. 313 (2021) 127943. 

  11. L. Liu, Y. Liu, X. Tian and X. Chen, "Superior CO 2 uptake and enhanced compressive strength for carbonation curing of cement based materials via flue gas", Constr Build Mater. 346 (2022) 128364. 

  12. K. Okano, S. Miyamaru, A. Kitao, H. Takano, T. Aketo, M. Toda, K. Honda and H. Ohtake, "Amorphous calcium silicate hydrates and their possible mechanism for recovering phosphate from seawater", Sep. Purif. Technol. 144 (2015) 63. 

  13. D. Wang, Y. Fang, Y. Zhang and J. Chang, "Changes in mineral composition, growth of calcite crystal, and promo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duced by carbonation of β-C 2 S", J CO2 Util. 34 (2019) 1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